no image
[Windows 설치] VMware에 윈도우 OS 설치하기 + 키 없이 윈도우 사용
시작하기에 앞서 기본적인 하드웨어 구성은 아래 페이지에 팁들과 함께 작성해 놓았으니 참고 바란다. 또한 이 페이지에서 윈도우를 키 없이 사용하는 것이 불법으로 이용하는 것을 장려하는 것이 절대 아님을 밝힌다. [VMware]VMware 워크스테이션 제작 우리가 리눅스를 연습하기위해 컴퓨터를 이용하는 것처럼 가상화 프로그램에서도 마찬가지로 하드웨어를 준비해줘야 한다. 실제가 아닌 가상 하드웨어를 구비하는 것이니 걱정은 안해도 된다. easyitwanner.tistory.com 목차 하드웨어 구성하기 BIOS와 UEFI의 특징과 차이점 Windows 설치 Windows 초기 설정 Windows를 키 없이 써도 될까? 경쟁사와 구도 하드웨어 구성하기 이전에 하드웨어 구성은 자세히 설명 해놓았으니 여기서는 간단..
2023.03.18
[Ansible 이론] Ansible이란?
Ansible Ansible은 오픈소스 자동화 도구로, 시스템 구성 관리, 응용 프로그램 배포, 작업 간소화, 서버 프로비저닝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리눅스, macOS, Windows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Python으로 작성되어 있다. Ansible의 배경에는 "Infrastructure as Code"라는 개념이 깔려 있다. 이는 인프라를 코드로 관리하는 방식으로, 리소스 및 설정을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정의하고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Ansible을 사용하면 이러한 관점에서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구성을 일관성 있게 관리할 수 있으며, 자동화된 작업으로 인해 인프라 관리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특징 에이전트 없는 구조 Ansible은 원격 호스트에 에이전트를 설치할 ..
2023.03.18
[기타 이론] File system [1] (windows용)
파일 시스템(File System) 파일 시스템(File System)은 운영 체제에서 데이터를 구성하고 저장소 장치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소프트웨어다. 파일 시스템은 데이터의 물리적 위치를 가리키는 인덱스 또는 데이터베이스로 생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는 디렉토리라는 폴더에 구성되어 있다. 윈도우 운영 체제에서는 FAT16, FAT32, exFAT, NTFS의 4가지 파일 시스템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파일 시스템에는 각각의 특징이 있다. FAT16은 MS-DOS, 윈도우 95와 같은 구식 시스템을 위해 만들어졌으며, NTFS는 최신 파일 시스템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각각의 특징을 아래에서 알아보자. FAT16 FAT16은 "File Allocation ..
2023.03.12
[Storage 이론] 파티션
파티션은 하드디스크를 논리적으로 분할하여 사용하는 기능이다. 이는 하나의 하드디스크를 여러 개의 파티션으로 나누어 각각 운영 체제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파티션을 사용하면 컴퓨터를 조작하는데 있어 다양한 이점이 있다. 파티션은 운영 체제 설치 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하드디스크에 여러 개의 파티션을 만들어 각각 다른 운영 체제를 설치하면, 하드디스크를 여러 개로 인식하여 각각 다른 운영 체제를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의 컴퓨터에서 여러 개의 운영 체제를 실행할 수 있으며, 이는 개발자나 시스템 관리자 등에게 매우 유용하다. 또한, 파티션을 사용하면 데이터를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영 체제와 프로그램 등을 한 파티션에 저장하고, 사용자 데이..
2023.03.11
[Storage 이론] 스토리지 유형과 특징
스토리지(저장 장치)는 모든 컴퓨터 시스템의 필수 구성 요소로, 컴퓨터가 데이터를 유지하고 검색할 수 있게 해준다.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보존하는 데 사용되는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저장 장치는 사용자가 문서, 이미지, 비디오 및 원시 데이터를 비롯한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컴퓨터 하드웨어의 필수 구성 요소다. 데이터 저장의 기본 목적은 향후 사용을 위해 데이터를 보존하는 것이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플래시 드라이브 및 광학 드라이브를 포함하여 다양한 유형의 저장 장치가 있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는 자기 디스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저장 장치다. 반대로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는 플래시 메..
2023.03.11
no image
SSH 클라이언트 사용해보기(원격 통신)
오늘은 SSH 클라이언트(PuTTY, Xshell)를 이용해 볼 것이다. 이것에 대한 정보가 궁금하다면 다음 페이지에 접속해보면 자세히 설명과 다운로드 방법을 정리해 놓았다. https://easyitwanner.tistory.com/4 SSH Client란? (PuTTY, Xshell) SSH(Secure SHell) 클라이언트는 안전한 원격 프로토콜인 SSH를 사용하여 원격 서버 또는 기기에 접속하는 소프트웨로 이 글에서는 putty와 Xshell을 소개할 것이다. SSH 클라이언트 특징 1. 보안 SHH 프로 easyitwanner.tistory.com PuTTY 처음 실행하면 이러한 모습이 나타난다. 하지만 우리는 포트번호가 무엇으로 되어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확인을 해볼 필요가 있다. VMware..
2023.03.01
반응형

시작하기에 앞서 기본적인 하드웨어 구성은 아래 페이지에 팁들과 함께 작성해 놓았으니 참고 바란다. 또한 이 페이지에서 윈도우를 키 없이 사용하는 것이 불법으로 이용하는 것을 장려하는 것이 절대 아님을 밝힌다.

 

[VMware]VMware 워크스테이션 제작

우리가 리눅스를 연습하기위해 컴퓨터를 이용하는 것처럼 가상화 프로그램에서도 마찬가지로 하드웨어를 준비해줘야 한다. 실제가 아닌 가상 하드웨어를 구비하는 것이니 걱정은 안해도 된다.

easyitwanner.tistory.com

목차

  1. 하드웨어 구성하기
  2. BIOS와 UEFI의 특징과 차이점
  3. Windows 설치
  4. Windows 초기 설정
  5. Windows를 키 없이 써도 될까?
  6. 경쟁사와 구도

하드웨어 구성하기

이전에 하드웨어 구성은 자세히 설명 해놓았으니 여기서는 간단하게 넘어가도록 하겠다.

워크스테이션 버전은 팀원들의 버전들 중 가장 낮은 버전에 맞춰야 함
여기서 2번째를 선택해 OS를 선택해도 된다. 3번은 나중에 선택 옵션이다.
윈도우 설치 예정으로 윈도우를 꼭 체크해준다.
이름은 각자 편하게 설정하자.


BIOS와 UEFI의 특징과 차이점

BIOS와 UEFI의 특징이나 차이점 등을 이전에 정리하지 못했으니 이번 기회에 간단히 정리하도록 하겠다.


BIOS의 특징
  1. 오랫동안 사용된 전통적인 방식으로, 컴퓨터의 부팅 과정에서 하드웨어와 운영 체제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2. 16비트 코드로 작성되어 있으며, 1MB 이하의 메모리만 사용할 수 있다.
  3. MBR(Master Boot Record) 파티션 스키마를 사용한다.
  4. 텍스트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UEFI의 특징
  1. BIOS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안 및 성능 개선을 목표로 개발된 새로운 펌웨어 인터페이스다.
  2. 32비트 또는 64비트 코드로 작성되어 있으며, 더 많은 메모리를 사용할 수 있다.
  3. GPT(GUID Partition Table) 파티션 스키마를 사용하여 더 큰 하드 드라이브와 더 많은 파티션을 지원한다.
  4. 그래픽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설정을 변경할 수 있으며, 마우스를 이용한 조작이 가능하다.

BIOS와 UEFI의 주요 차이점
  1. 성능 및 속도
    UEFI는 더 빠른 부팅 시간과 더 나은 성능을 제공한다.

  2. 보안
    UEFI는 Secure Boot 기능을 통해 부팅 과정에서 악성 코드의 실행을 방지할 수 있다.

  3. 하드웨어 지원
    UEFI는 더 큰 하드 드라이브(2TB 이상)와 더 많은 파티션을 지원한다.

  4. 사용자 인터페이스
    BIOS는 텍스트 기반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UEFI는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5. 호환성
    BIOS는 MBR 파티션 스키마를 사용하고, UEFI는 GPT 파티션 스키마를 사용한다.

멀티로 선택하면 성능이 눈에 띄게 저하됨으로 싱글로 선택하자.

생성이 잘 된것을 확인할 수 있다.


Windows 설치

각자 OS를 구해서 실행시키면 된다. 이것을 사용할 때 공식 사이트에 배포되어있는 OS를 사용해도 된다. 인증이 필요하지 않냐 물어볼 수 있으니 이 내용은 마지막에 언급하도록 하겠다.

엔터프라이즈로 체크해주자
동의를 해야 진행이 가능하다.
아래 고급을 선택한다.
다음을 선택한다.
윈도우가 설치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완료되면 자동으로 꺼졌다 켜질 것이다.


Windows 초기 설정

먼저 학습을 위해 설치하는 것임으로 위치나 기타 설정들은 전부 아니요를 선택했다. 인터넷 연결방법은 linux와 연계해서 나중에 해 볼 것이다.


Windows를 키 없이 써도 될까?

MS(Microsoft)가 가정용 무료 Windows 사용을 적극적으로 막지는 않는데 몇 가지 이유를 확인해보자면 다음과 같다. (뇌피셜이 약간 가미되어 있으니 참고바란다.)

  1. 시장 점유율 유지
    무료 Windows 사용자들이 많아질수록, Windows의 시장 점유율이 높아진다. 이를 통해 MS는 다른 운영 체제와 경쟁할 때 강한 지위를 유지할 수 있다.

  2. 서비스 및 앱 판매
    무료 Windows 사용자들은 여전히 MS의 다른 유료 서비스와 앱을 구매할 수 있다. 이를 통해 MS는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다.

  3. 사용자 경험 개선
    많은 사용자들이 Windows를 사용하게 되면, 그들의 피드백을 통해 시스템을 개선하고 버그를 수정할 수 있다. 이는 결국 전체 사용자 경험의 개선으로 이어진다.

  4. 소프트웨어 해킹 및 불법 복제 방지
    유료 사용자와 무료 사용자를 완전히 구분하지 않음으로써, MS는 소프트웨어 해킹 및 불법 복제를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5. 기업 및 정부 고객 확보
    가정용 사용자들이 무료로 Windows를 사용하게 되면, 이들은 추후 기업이나 정부 기관에서도 Windows를 선호할 확률이 높아진다. 이를 통해 MS는 기업 및 정부 고객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된다.

  6. 긍정적 이미지 구축
    무료로 제공되는 Windows를 통해 사용자들이 만족한 경험을 누리게 되면, MS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업의 브랜드 가치가 상승하게 된다.

경쟁사와 구도

안드로이드 OS와 애플 OS(iOS) 자체는 사용자에게 무료로 제공된다. 이들 운영 체제는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기기에 포함되어 제공되며, 사용자는 별도의 비용을 지불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운영 체제를 만드는 회사들은 다른 방식으로 수익을 창출한다.

  1. 하드웨어 판매
    애플은 아이폰, 아이패드 등 자체 하드웨어를 판매하며, 그 안에 iOS가 탑재되어 있다. 이를 통해 애플은 수익을 얻는다. 안드로이드의 경우, 구글은 자체 브랜드인 픽셀 스마트폰을 판매하고, 다른 제조사들과 파트너십을 맺어 수익을 창출한다.

  2. 앱 스토어
    애플은 앱 스토어(App Store)를 통해 수익을 얻다. 개발자들은 앱을 앱 스토어에 등록하고 판매할 때, 애플에 일정한 수수료를 지불해야 한다. 구글도 구글 플레이 스토어를 통해 유사한 수익을 창출한다.

  3. 서비스 판매
    애플은 아이클라우드, 애플 뮤직 등 다양한 서비스를 판매하고, 구글은 구글 드라이브, 유튜브 프리미엄 등 서비스를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한다.

위와 같은 이유로 개인이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막고 있지는 않지만, 오른쪽 하단에 인증되지 않았다는 문자가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사용과 보안에 약간의 제약이 있으나 사용에는 지장이 없다. 하지만 상업적 혹은 기업에서 사용하는 것은 비교적 제재 중 인것으로 알고 있으니 주의하도록하자.


 

반응형
반응형
Ansible

Ansible은 오픈소스 자동화 도구로, 시스템 구성 관리, 응용 프로그램 배포, 작업 간소화, 서버 프로비저닝 등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리눅스, macOS, Windows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Python으로 작성되어 있다.

 

Ansible의 배경에는 "Infrastructure as Code"라는 개념이 깔려 있다. 이는 인프라를 코드로 관리하는 방식으로, 리소스 및 설정을 프로그래밍 방식으로 정의하고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Ansible을 사용하면 이러한 관점에서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 구성을 일관성 있게 관리할 수 있으며, 자동화된 작업으로 인해 인프라 관리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특징
  • 에이전트 없는 구조
    Ansible은 원격 호스트에 에이전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대신 SSH 또는 WinRM을 통해 원격 호스트와 통신한다. 이로 인해 관리 오버헤드가 줄어들고 배포가 간단해진다.

  • 선언적 언어
    Ansible은 YAML을 사용하여 인간 친화적인 선언적 언어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원하는 상태를 정의하고 Ansible이 이를 실현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시스템 관리가 더욱 간편해지며,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 보수성이 향상된다.

  • 모듈화
    Ansible은 다양한 모듈을 제공하여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한 모듈을 사용하여 특정 작업을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커스텀 모듈을 작성할 수도 있다.

  • 플레이북
    Ansible의 핵심 기능 중 하나는 플레이북이다. 플레이북은 여러 개의 작업을 단계별로 정의한 YAML 파일이다. 이를 통해 시스템 구성, 애플리케이션 배포 등의 일련의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다.

  • 확장성과 커뮤니티
    Ansible은 확장성이 높고 다양한 플러그인, 역할(role), 갤럭시(galaxy) 등을 통해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쉽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강력한 커뮤니티 지원을 받고 있어, 수많은 공개된 역할 및 플러그인이 사용 가능하다.

  • 멀티 플랫폼 지원
    Ansible은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하여 리눅스, macOS, Windows 등의 시스템을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여러 환경에서의 일관된 시스템 관리가 가능하다.

수행 가능한 작업들

Ansible을 사용하면 시스템 관리자와 개발자들이 손쉽게 인프라를 관리하고, 응용 프로그램을 배포하며, 일상적인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다. 이렇게 Ansible은 시스템 관리 및 배포 작업을 단순화하고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강력한 자동화 도구로 인기를 얻고 있다. 사용자는 Ansible을 통해 아래와 같은 작업들을 수행할 수 있다.

  • 시스템 및 패키지 관리
    패키지 설치, 업데이트, 삭제 등의 일반적인 시스템 관리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다.

  • 서비스 관리
    서비스를 시작, 중지, 재시작하거나 상태를 확인하는 등의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다.

  • 사용자 및 그룹 관리
    사용자 계정 생성, 삭제, 그룹 변경 등의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다.

  • 보안 설정
    방화벽 설정, SELinux 정책 관리 등의 보안 관련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다.

  • 애플리케이션 배포
    웹 애플리케이션,데이터베이스 등의 응용 프로그램을 자동으로 배포하고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개발 및 운영 환경에서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 인프라 프로비저닝
    클라우드 서비스, 가상 머신, 컨테이너 등의 리소스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

  • 네트워크 관리
    네트워크 장비 및 설정을 관리하고 변경사항을 적용하는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다.

  • 워크플로우 관리
    여러 작업을 순차적으로 실행하거나 병렬로 처리하는 등의 복잡한 워크플로우를 구성할 수 있다.

Ansible은 이러한 작업들을 단순화하고 일관성 있게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또한, 다양한통합과 플러그인을 제공하여 다른 자동화 도구, 모니터링 시스템, 클라우드 서비스 등과 손쉽게 연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을 높이고, 보다 유연한 인프라 관리가 가능해진다.


단점
  • 디버깅
    Ansible에는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가 없기 때문에 디버깅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Ansible은 YAML 구문을 사용하므로 특히 언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의 경우 플레이북에서 오류를 식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

  • 성능
    Ansible의 성능은 Linux의 네트워크 자동화에 제한이 될 수 있다. Ansible은 Python에 의존하기 때문에 컴파일된 언어를 사용하는 Puppet과 같은 다른 도구에 비해 느릴 수 있다.

  • 복잡한 데이터 구조 및 제어 흐름
    네트워크 자동화 작업에는 종종 복잡한 데이터 구조 및 제어 흐름이 필요하므로 Ansible에서 관리하기 어려울 수 있다. Ansible은 이러한 상황을 처리하기 위한 모듈을 제공하지만 경험이 없는 사용자가 이해하고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제한에도 불구하고 Ansible은 간단한 배포, 구성 및 사용 편의성 덕분에 여전히 Linux 환경에서 구성 관리 및 자동화를 위한 널리 사용되는 도구이다.


반응형
반응형
파일 시스템(File System)

파일 시스템(File System)은 운영 체제에서 데이터를 구성하고 저장소 장치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소프트웨어다. 파일 시스템은 데이터의 물리적 위치를 가리키는 인덱스 또는 데이터베이스로 생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는 디렉토리라는 폴더에 구성되어 있다.

 

윈도우 운영 체제에서는 FAT16, FAT32, exFAT, NTFS의 4가지 파일 시스템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파일 시스템에는 각각의 특징이 있다.

 

FAT16은 MS-DOS, 윈도우 95와 같은 구식 시스템을 위해 만들어졌으며, NTFS는 최신 파일 시스템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각각의 특징을 아래에서 알아보자.


FAT16

FAT16은 "File Allocation Table 16"의 약자로, 16비트 파일 시스템이다. 이 파일 시스템은 초기에 플로피 디스크에 사용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하드 디스크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Windows 95 OEM 서비스 릴리스 2(OSR2)부터 Windows는 FAT16과 FAT32를 모두 지원한다. 그러나 FAT16은 최대 파일 크기 2GB, 최대 볼륨 크기 4GB를 지원하기 때문에 현재 사용되는 대부분의 파일에는 적합하지 않다.

 

FAT16은 가장 간단한 파일 시스템 중 하나이며, 볼륨 맨 위에 있는 파일 할당 테이블(FAT)을 특징으로 한다. 이 테이블은 볼륨을 보호하기 위해 두 개의 복사본이 유지된다. FAT16은 Windows 10에서도 지원되며, Disk Management에서 가상 하드 디스크(VHD)를 만들고 8MB 파티션을 FAT16로 포맷할 수 있다.


FAT32

FAT32는 Microsoft에서 1996년에 소개된 파일 시스템으로, MS-DOS 7.1 및 Windows 95 OSR2에서 사용되었다. FAT32는 FAT16의 후속 버전으로, 이전 버전을 대체하는 대신에 확장 기능으로 사용되었다. FAT32의 기술적 뿌리는 1977년 Microsoft가 최초로 개발한 File Allocation Table (FAT)에 거슬러 올라간다. 

 

FAT32는 FAT 파일 시스템의 32비트 버전으로, 크로스 플랫폼 지원으로 인해 작은 이동식 플래시 드라이브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4GB를 초과하는 최대 개별 파일 크기와 2TB의 최대 볼륨 크기를 지원한다. FAT32 볼륨은 32KB 클러스터를 사용하여 최대 268,173,300개의 파일을 보유할 수 있다.

 

그러나 FAT32는 NTFS나 exFAT과 같은 더 고급 파일 시스템과 비교하면 파일 크기가 제한적이므로, 대용량 파일을 다루어야 하는 경우 NTFS나 exFAT을 사용해야 한다.


exFAT

exFAT는 2006년에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도입된 파일 시스템이다. FAT32의 파일 크기와 드라이브 크기 제한을 없애고 OS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대용량 플래시 드라이브와 SD 카드에 최적화되어 있다. exFAT는 FAT32의 4GB 파일 크기 제한을 뛰어넘는 큰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exFAT는 Windows 및 macOS 운영 체제에서 대용량 휴대용 저장 장치에 가장 적합한 포맷이다. 이 파일 시스템은 Windows XP부터 표준 Windows 포맷이 되었으며, FAT보다 용량 제한이 적고 더 큰 파일 크기를 지원한다. 또한, NTFS보다는 호환성이 높아서 미디어 플레이어, 게임 콘솔, 다양한 운영 체제에서 사용하기 적합하다.

 

exFAT는 FAT 파일 시스템 계열의 FAT32의 후속 제품이다. FAT32보다 더 많은 용량을 지원하면서, 더 큰 파일을 저장할 수 있으며 호환성이 높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 파일 시스템의 몇 가지 구성 요소에 대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NTFS

NTFS는 New Technology File System의 약자로, 1993년 마이크로소프트가 윈도우 NT 3.1과 함께 처음 소개한 파일 시스템이다. NTFS는 윈도우 11, 윈도우 10, 윈도우 8, 윈도우 7,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XP, 윈도우 2000 및 윈도우 NT 운영 체제에서 사용되는 주 파일 시스템이다.

 

NTFS는 보안 기술, 암호화, 디스크 할당량 및 풍부한 메타데이터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CSV(Cluster Shared Volumes)와 함께 사용하여 여러 노드에서 동시에 액세스할 수 있는 계속 사용 가능한 볼륨을 제공할 수 있다.

 

NTFS는 윈도우 NT 운영 체제에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및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에 파일을 저장하고 검색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파일 시스템은 파일을 효율적으로 저장, 구성 및 검색하는 프로세스를 제공하며, FAT32의 제한 사항을 극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예를 들어, FAT32는 최대 파일 크기가 32GB인 반면 NTFS는 최대 파일 크기가 16 EB(엑사바이트)까지 지원된다. NTFS 파일 시스템에는 파일 및 폴더에 대한 NTFS 권한과 공유 권한 두 가지 권한이 제공되며, NTFS 권한은 NTFS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된 볼륨에 저장된 모든 파일과 폴더에 적용된다.

 

NTFS는 윈도우 NT에서만 지원하는 파일 시스템 중 유일하게 파일에 개별적으로 권한을 할당할 수 있는 파일 시스템이다. 또한 NTFS 파일 시스템은 모든 파일, 폴더, 레지스트리 키, 프린터 및 Active Directory 개체에 사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윈도우의 파일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 았고, 다음은 리눅스의 파일 시스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참고 문헌

[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

반응형
반응형

파티션은 하드디스크를 논리적으로 분할하여 사용하는 기능이다. 이는 하나의 하드디스크를 여러 개의 파티션으로 나누어 각각 운영 체제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파티션을 사용하면 컴퓨터를 조작하는데 있어 다양한 이점이 있다.

 

파티션은 운영 체제 설치 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하드디스크에 여러 개의 파티션을 만들어 각각 다른 운영 체제를 설치하면, 하드디스크를 여러 개로 인식하여 각각 다른 운영 체제를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의 컴퓨터에서 여러 개의 운영 체제를 실행할 수 있으며, 이는 개발자나 시스템 관리자 등에게 매우 유용하다.

 

또한, 파티션을 사용하면 데이터를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영 체제와 프로그램 등을 한 파티션에 저장하고, 사용자 데이터를 다른 파티션에 저장할 경우, 시스템 장애가 발생해도 사용자 데이터는 보존할 수 있으며, 복구에 용이하다. 또한, 파티션을 나누어 사용하면 파일 시스템이 보다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파티션에는 기본 파티션, 확장 또는 보조 파티션, 논리 파티션 등이 있으며, 각각의 파티션은 운영 체제 설치, 파일 시스템 생성, 데이터 저장 등에 활용된다. 파티션을 만드는 방법은 운영 체제별로 다를 수 있으며, Windows 운영 체제에서는 디스크 관리 도구를 이용하여 파티션을 생성하고 삭제할 수 있다.

 

리눅스에서는 파티션을 생성하려면 fdisk나 parted 같은 명령어를 사용한다. fdisk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티션 생성 모드로 들어갈 수 있다. 이때 입력한 명령어는 " fdisk [디스크 패턴]" 이다.

 

parted 명령어를 사용하여 디스크에 파티션을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parted -a opt /dev/sda mkpart primary ext4 0 % 100 %" 명령어를 사용하면 디스크 전체를 하나의 파티션으로 나눌 수 있다. 명령어에 대한 실습은 차후 진행하도록 하겠다.

 

파티션 테이블은 디스크의 파티션 레이아웃을 설명한다. MBR(Master Boot Record)와 GPT(GUID Partition Table)가 있다. MBR은 오래된 표준이고, GPT는 최근에 나온 표준이다.

 

리눅스에서는 일반적으로 세 가지 파티션으로 나눈다. 시스템 파일을 보관하는 루트 디렉토리(/)를 포함하는 파티션, 사용자 구성 파일과 개인 데이터를 보관하는 /home 디렉토리를 포함하는 파티션, 그리고 스왑 파티션이 있다.


참고 문헌 : [1][2][3][4][5][6][7][8][9]

반응형
반응형

스토리지(저장 장치)는 모든 컴퓨터 시스템의 필수 구성 요소로, 컴퓨터가 데이터를 유지하고 검색할 수 있게 해준다.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보존하는 데 사용되는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저장 장치는 사용자가 문서, 이미지, 비디오 및 원시 데이터를 비롯한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컴퓨터 하드웨어의 필수 구성 요소다.

 

데이터 저장의 기본 목적은 향후 사용을 위해 데이터를 보존하는 것이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플래시 드라이브 및 광학 드라이브를 포함하여 다양한 유형의 저장 장치가 있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는 자기 디스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저장 장치다. 반대로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는 플래시 메모리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므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보다 빠르고 내구성이 뛰어나다.

 

스토리지 장치는 기본 스토리지와 보조 스토리지의 두 가지 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 기본 저장소는 휘발성 저장소라고도 하며 컴퓨터가 실행되는 동안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캐시 메모리가 포함된다. 보조 저장소는 비휘발성 저장소로 컴퓨터가 꺼져 있어도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플래시 드라이브 및 광학 드라이브가 포함된다.


DAS

DAS(Data Acquisition System)는 실제 소스에서 데이터를 수집, 저장 및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다양한 센서 또는 기기에서 데이터를 캡처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저장, 분석 및 프레젠테이션을 위해 처리하기 위해 함께 작동하는 일련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다.

 

시스템과 물리적 전용 케이블으로 직접 연결이 돼 속도가 빠르고 비교적 저렴하며 구성이 쉽다는 특징이 있지만, 케이블 길이나 본체에 제한이 있고, 원거리 설치가 불가능 하다는 단점이 있다.

 

DAS의 주요 구성 요소에는 센서 또는 트랜스듀서, 신호 조정, ADC(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DSP(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데이터 저장 및 분석을 위한 컴퓨터 또는 제어 센터가 포함된다. 센서 또는 트랜스듀서는 온도, 압력 또는 전압과 같은 물리적 매개변수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 다음 ADC에 의해 디지털화되기 전에 품질을 개선하도록 조정된다. DSP 장치는 디지털화된 신호를 처리하고 저장 및 분석을 위해 컴퓨터 또는 제어 센터로 보낸다.

 

데이터 수집 시스템은 모니터링, 측정 및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공학, 과학 및 의학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장치들은 환경 센서, 산업 장비, 의료 기기 및 과학 장비를 포함한 다양한 소스에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NAS

NAS(Network Attached Storage)는 표준 이더넷 연결을 통해 LAN(Local Area Network) 노드에 파일 기반 공유 스토리지를 제공하는 전용 파일 스토리지 장치다. NAS 시스템은 네트워크의 어느 곳에서나 액세스할 수 있는 중앙 위치에서 여러 장치 및 사용자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도록 설계되었다.

 

NAS 장치는 장치가 네트워크의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하나 이상의 하드 드라이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운영 체제로 구성된다. NAS 시스템은 유연하고 확장 가능합니다. 즉, 필요에 따라 추가 스토리지를 추가할 수 있으며 여러 사용자가 장치에 저장된 파일에 동시에 액세스할 수 있다.

 

NAS 장치는 독립 실행형 장치로 설정하거나 더 큰 SAN(Storage Area Network)의 일부로 설정할 수 있다. NAS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SAN 시스템보다 관리하기 쉽고 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에 중소기업과 가정 사용자에게 널리 사용된다.

 

NAS 장치 사용의 중요한 이점 중 하나는 컴퓨터, 스마트폰 및 태블릿을 포함하여 네트워크의 모든 장치에서 파일에 액세스할 수 있다는 것이다. NAS 시스템에는 종종 사용자가 데이터를 자동으로 백업하거나 여러 장치에서 파일을 동기화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내장되어 있다.

 

하지만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는데, 특히 네트워크에 병목 현상이 발생할 경우 이러한 현상이 더 심해진다.


SAN

SAN(Storage Area Network)은 조직의 운영 체제와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특수 네트워크이며 다양한 스토리지 장치로 SAN의 주요 목적은 서버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블록 수준 스토리지를 제공하여 여러 서버가 동일한 스토리지 장치에 동시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NAS의 장점을 살리고 속도를 올렸으며, 광케이블을 사용하는데 비록 DAS보다는 느릴 수 있지만 NAS보다는 훨씬 빠르다. 하지만 별도의 SAN 스위치가 필요하고 시스템에는 HBA 카드가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 측면에서 엄청난 소요가 필요할 수 있다.

 

SAN은 일반적으로 파이버 채널 스위치와 스토리지 어레이를 사용하여 스토리지 장치를 서버 또는 네트워크의 다른 장치에 연결한다. SAN은 고가용성과 내결함성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즉, 하나의 저장 장치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해당 데이터에 의존하는 응용 프로그램이나 서버를 중단하지 않고 다른 장치에서 데이터에 계속 액세스할 수 있다는 뜻이다.

 

SAN은 전사적 자원 관리(ERP) 및 고객 관계 관리(CRM) 워크로드와 같은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SAN 프로토콜은 FCP(Fibre Channel Protocol)로, SCSI 명령이 내장된 파이버 채널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그러나 일부 SAN 배포에서는 iSCSI 및 FCoE와 같은 다른 프로토콜도 사용된다.

 

클라이언트 운영 체제에서 SAN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은 로컬 서버에 직접 연결된 것처럼 SAN 저장 장치에 액세스할 수 있다. SAN은 종종 NAS(Network Attached Storage)와 같은 다른 스토리지 기술과 함께 사용되어 조직에 완벽한 스토리지 솔루션을 제공한다.


 

반응형
반응형

 

 


PuTTY

처음 실행하면 이러한 모습이 나타난다. 하지만 우리는 포트번호가 무엇으로 되어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확인을 해볼 필요가 있다.

VMware 가상 장치에 로그인 후 ss 혹은 netstat 명령어로 포트의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명령어만 입력하면 6만여가지나 되는 모든 포트들을 보여주므로 활성화 되어있는 포트만 확인할 필요가 있다. 해당 명령아가 포트 번호 확인 명령어 뒤에 -tuln을 붙이는 것이다.

포트 번호를 확인했으니 Host Name에는 접속할 가상 장치 IP와 포트번호를 입력한 후 Open을 눌러주면 원격으로 열 수 있다.

자주 접속하는 경우 이렇게 세이브를 해놓으면 빠르게 접속할 수 있어 편리하다.

IP와 비밀번호가 Rocky_01과 동일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Google과 다른 가장 장치에 핑이 잘 보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Xshell

다음은 Xshell을 설정해보자.

실행하면 나오는 첫 화면이다. 이미 만들어져있는 세션을 바로 실행할 수 도 있다.

해당 사진이나 그 위의 사진의 방법으로 세션을 새로 만들 수 있다.



한번만 확인할 것인지 해당 호스트 키는 바로 연결할 지 알려주는 메시지이다. 지금은 연습을 하고 있지만 나중에 실무에 들어가면 정말 다양한 호스트에 접속을 할 텐데 상황에 맞춰서 실행주면 된다.


호스트 ID(IP)와 암호를 입력해주면 다음 이미지처럼 로그인이 될 것이다.


핑을 보내보면 잘 가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연결 완료!)


이제 다른 호스트도 연결해보자. Xshell은 인터페이스나 편의 기능이 정말 훌륭한 편이다.

호스트 이름은 우리가 파일 이름 바꾸듯이 바꿀 수 있다.


복사본 정리가 완료 되었으니 각 호스트에 맞게 호스트ID(IP)를 변경해준다.

각각 잘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Xshell의 장점은 위에서 봤던 편의 기능도 있고 한번에 여러개를 작동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둘다 마찬가지 이지만 VMware에는 없는 "복붙"기능이 있다는 것이다!

명령어를 이렇게 붙여놓을 수 있다는 것이 얼마나 편리한가! 그냥 VMare를 사용하기보다 이러한 클라이언트를 이용하는 이유가 확실히 있는 것 같다.


오늘은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