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명령어] 실무에서 많이 사용하는 텍스트 필터링하여 검색하기 (grep)
grep grep 명령은 텍스트를 검색하고 필터링하는 데 사용되는 Linux의 강력하고 다양한 도구입니다. "Global Regular Expression Print"의 약자입니다. 정규식을 활용하여 grep은 파일 또는 텍스트 스트림 내에서 특정 패턴을 검색하고 일치하는 항목이 포함된 줄을 인쇄할 수 있습니다. 특정 패턴을 필터링해 출력해주기 때문에 트러블 슈팅과 같은 작업에서 많이 사용된다고 합니다. 실무에서는 엄청난 개수의 컨테이너를 활용하거나, 컨테이너가 아니더라도 많은 수의 작업을 진행하게 되고, 여기서 뭐가 문제인지 찾는 것은 굉장히 힘들고 고된 작업이니다. 때문에 그나마 조금 더 수월한 작업을 위해 grep명령어를 사용해 주는 것 입니다. 간단하지만 정말정말 중요합니다! 간단하지만 꼭 알아주..
2023.03.30
no image
[Linux 명령어]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는 3가지 방법 (nmtui, nmcli, vi)
목차 nmtui와 nmcli nmcli 명령어 예시 nmtui 활용 예시 vi 명령어 활용 nmtui와 nmcli Linux에서 nmtui 및 nmcli는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두 가지 명령어다. Nmcli(NetworkManager Command-Line Interface) Nmcli는 다음을 제어할 수 있는 강력한 명령줄 도구다. NetworkManager 및 보고 네트워크 상태. Linux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장치 및 연결을 관리하고 구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Nmcli는 새 연결 만들기, 기존 연결 수정, 네트워크 장치 관리와 같은 네트워킹 구성을 위한 포괄적인 기능 세트를 제공한다. 헤드리스 서버에서 네트워크를 관리해야 하는 관리자와 명령줄 작업을 선호하는 사용자에게 유용한 ..
2023.03.18
[Linux 기본 명령어] UID, GID 변경하기(user, group / mod 명령어 ②)
usermod 기본적으로 mod 관련 명령어는 일반 사용자는 불가능하고 root나 그에 준하는 사용자가 사용이 가능하다. usermod (옵션) (그룹명) (사용자명) -c 또는 --comment : 사용자 계정에 새로운 코멘트를 추가합니다. -d 또는 --home :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를 변경합니다. -e 또는 --expiredate : 사용자 계정의 만료 날짜를 설정합니다. -g 또는 --gid : 사용자의 기본 그룹 ID를 변경합니다. -l 또는 --login :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 이름을 변경합니다. -s 또는 --shell : 사용자의 기본 쉘을 변경합니다. -u 또는 --uid : 사용자의 UID를 변경합니다. groupmod groupmod (옵션) (그룹명) -g, --gid GID: ..
2023.03.11
no image
[Linux 기본 명령어] 임의의 용량을 만드는 명령어 (truncate, dd)
truncate와 dd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파일 크기를 변경하거나, 디스크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디스크 이미지를 복사하는 등 다양한 디스크 관련 작업을 수행하는 명령어다. 아직은 단순 테스트에만 사용중이지만 실 활용에는 더욱 다양하게 사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아직 배우는 입장이다보니 응용에 있어 어려운 부분이 있다. truncate truncate 명령어는 파일의 크기를 조정하는 명령어 중 하나로 truncate 명령어를 사용하면 파일의 크기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 truncate 명령어는 파일의 끝을 삭제하거나, 파일의 크기를 줄이는 데 매우 유용하다. 예를 들어, 로그 파일과 같이 큰 파일의 크기를 줄이거나, 일부 미디어 파일에서 헤더를 제거할 때 유용하다. 또한, truncate 명령어는 파일을..
2023.03.11
no image
[Linux 기본 명령어] 권한 추가, 제거(디렉토리, 파일 / mod 명령어) ①
사용자가 어느 그룹에 속해 있는지(GID) 혹은 사용자의 아이디(UID)는 무엇인지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 페이지에 정리해 놓았다. 오늘은 파일나 디렉토리의 권한을 수정해 볼 것이고, 이 다음에는 특정 사용자나 그룹을 지정해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해볼 생각이다. [Linux 이론] 사용자와 그룹 정보 분석하기 권한을 조절하기 전에 우리는 구성에 대해 먼저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각 파일의 특징을 알아보고 이 중 passwd와 shadow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임의의 a 라는 사용자를 만들어 확인해 보았다. easyitwanner.tistory.com chmod chmod는 리눅스에서 파일과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다. chmod 명령어를 사용하면 소유자, 그룹, 기타 사용자의 읽기, ..
2023.03.10
[Linux 기본 명령어] 사용자와 그룹을 지정하는 명령어와 옵션 (user, gruop)
2023.03.07 - [Linux/이론] - [Linux 이론] 디렉토리, 파일의 속성 분석하기 [Linux 이론] 디렉토리, 파일의 속성 분석하기 오늘은 ls -l 을 사용했을 때 나오는 저 알수없는 글자에 대해 알아보자. 기본 구성 drwxr-xr-x. 5 root root 46 Mar 6 21:16 2 이것은 다음과 같이 분해할 수 있다. d / rwx / r-x / r-x / . / 5 / root / root / 46 / Mar 6 21 easyitwanner.tistory.com 이전에 이 페이지에서 파일과 디렉토리 정보의 구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 포스팅에서는 이 중 '권한'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볼 예정이고, 사용자를 만들고 그룹을 지정해볼 것이다. 사용자 생성 명령어 useradd ..
2023.03.09
반응형
grep

grep 명령은 텍스트를 검색하고 필터링하는 데 사용되는 Linux의 강력하고 다양한 도구입니다. "Global Regular Expression Print"의 약자입니다. 정규식을 활용하여 grep은 파일 또는 텍스트 스트림 내에서 특정 패턴을 검색하고 일치하는 항목이 포함된 줄을 인쇄할 수 있습니다.

 

특정 패턴을 필터링해 출력해주기 때문에 트러블 슈팅과 같은 작업에서 많이 사용된다고 합니다. 실무에서는 엄청난 개수의 컨테이너를 활용하거나, 컨테이너가 아니더라도 많은 수의 작업을 진행하게 되고, 여기서 뭐가 문제인지 찾는 것은 굉장히 힘들고 고된 작업이니다. 때문에 그나마 조금 더 수월한 작업을 위해 grep명령어를 사용해 주는 것 입니다.

간단하지만 정말정말 중요합니다! 간단하지만 꼭 알아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명령어와 옵션

다음은 grep 명령 구문의 기본 개요입니다.

grep [options] 'pattern' [file]
  • options: grep 명령의 동작을 수정하는 선택적 플래그입니다.
  • pattern: 일반 문자열 또는 정규식일 수 있는 검색 패턴으로 작은따옴표 또는 큰따옴표로 묶습니다.
  • file: 검색할 파일입니다. 적어주지 않으면 grep은 표준 입력(stdin)을 검색합니다.

 

옵션_

-i: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고 검색합니다.
-v: 검색을 반전하여 패턴과 일치하지 않는 줄을 반환합니다.
-n: 출력에서 ​​일치하는 줄의 줄 번호를 표시합니다.
-r 또는 -R: 디렉토리를 통해 재귀 검색을 수행합니다.
-E: 확장 정규 표현식 사용을 활성화합니다.
-c: 실제 줄 대신 일치하는 줄 수를 인쇄합니다.
-l: 실제 일치하는 줄이 아니라 일치하는 파일의 이름만 인쇄합니다.
-e: 검색할 여러 패턴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사용 예

"log.txt"라는 파일에서 "error"라는 단어를 검색합니다.

grep 'error' log.txt


"log.txt"에서 "error"에 대한 대소문자를 구분하지 않는 검색:

grep -i 'error' log.txt


"log.txt"에서 "success"라는 단어가 포함되지 않은 줄을 찾습니다.

grep -v 'success' log.txt


"log.txt"에서 "error"라는 단어의 발생 횟수를 계산합니다.

grep -c 'error' log.txt


"log.txt"에서 "error" 또는 "warning"이 포함된 줄을 검색합니다.

grep -E 'error|warning' log.txt


"logs" 디렉터리의 모든 파일에서 "error"를 재귀적으로 검색합니다.

grep -r 'error' logs/

 

cat을 사용해 파일의 내용을 출력하는데 이 때 내용을 grep 조건에 맞춰 검색합니다.

cat someting.txt | grep someword
반응형
반응형

목차

  1. nmtui와 nmcli
  2. nmcli 명령어 예시
  3. nmtui 활용 예시
  4. vi 명령어 활용

nmtui와 nmcli

Linux에서 nmtui 및 nmcli는 네트워크 연결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두 가지 명령어다.

  • Nmcli(NetworkManager Command-Line Interface)
    Nmcli는 다음을 제어할 수 있는 강력한 명령줄 도구다. NetworkManager 및 보고 네트워크 상태. Linux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장치 및 연결을 관리하고 구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Nmcli는 새 연결 만들기, 기존 연결 수정, 네트워크 장치 관리와 같은 네트워킹 구성을 위한 포괄적인 기능 세트를 제공한다. 헤드리스 서버에서 네트워크를 관리해야 하는 관리자와 명령줄 작업을 선호하는 사용자에게 유용한 도구다.

  • Nmtui(Network Manager Text User Interface)
    Nmtui는 NetworkManager를 사용하는 Linux 배포판에서 Wi-Fi 연결을 관리할 수 있는 간단한 TUI(텍스트 사용자 인터페이스)다. nmcli CLI의 대부분의 기능을 노출하는 기본 그래픽 인터페이스다. Nmtui는 대화형 프롬프트가 포함된 저주 기반 TUI를 제공한다. 메뉴와 프롬프트를 사용하여 무선 연결을 관리하는 간단한 방법을 제공하므로 명령줄보다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선호하는 사용자에게 이상적이다.

 

nmtui와 nmcli는 모두 NetworkManager 패키지의 일부로 Nmcli는 더 강력하고 유연하며 nmtui는 더 사용자 친화적이고 초보자도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이들은 서로를 보완하며 필요와 선호도에 따라 상호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급 네트워킹 작업에 nmcli를 사용하고 빠르고 쉬운 네트워크 관리에 nmtui를 사용할 수 있다.


nmcli 명령어 예시

1. 디스플레이 장치 상태

nmcli dev status (사용 가능한 모든 장치의 상태 표시)

2. 디스플레이 연결 상태

nmcli con show (사용 가능한 모든 연결의 상태를 표시)

3. 새로운 연결 생성

nmcli con add con-name <연결 이름> ifname <인터페이스 이름> type <연결 타입>

<연결 이름>을 원하는 연결 이름으로, <인터페이스 이름>을 사용하려는 인터페이스 이름으로, <연결 타입>을 생성하려는 연결 유형(예: 이더넷, wifi 등)으로 작성한다.

4. 연결 활성화

nmcli con up <연결 이름>  (해당 이름의 연결이 활성화 된다.)

5. 연결 비활성화

nmcli con down <연결 이름> (해당 이름의 연결이 비활성화)

6. 연결 편집

nmcli con edit <연결 이름> (해당 연결의 구성을 변경할 수 있는 대화형 편집기가 열린다.)

7. 연결 세부 정보

nmcli con show <연결 이름> (해당 연결의 세부 정보 출력)

8. 장치 세부 정보 표시

nmcli dev show <장치 이름> (해당 장치의 구성 세부 정보 출력)

9. 고정 IP 주소 설정

nmcli con mod <연결 이름> ipv4.addresses <ip 주소>/<서브넷 마스크>

<연결 이름>을 수정하려는 연결 이름으로 바꾸고 <IP 주소>/<서브넷 마스크>를 원하는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로 바꾼다. 

nmtui 활용 예시

 

연결을 추가/제거하거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페이지다.
Add 선택 시 이렇게 추가할 연결 타입이 나온다.
선택한 네트워크에 대해 자세히 설정할 수 있다.
선택한 네트워크를 제거한다.
나갈 때 사용하자.
여기서 2번째인 Activate a connection 옵션에 들어가보자
활성화 상태일 때는 *표시가 있다.
비활성화 시 아무 표시가 없다.
네트워크 이름을 설정할 수 있다.
해당칸에 원하는 이름을 넣어주면 설정이 가능하다.

해당 명령어는 nmcli보다 비교적 시각적인 변화가 확실하며 간단한 모습이다.


vi 명령어 활용

자신의 디바이스의 이름을 먼저 확인한다.
다음 명령어 끝에 ifcfg- 다음에 자신의 디바이스 명을 입력해준다. 처음에 이 파일이 없는 경우에는 위의 방법으로 변경하자.
위쪽 사진의 iv가 아닌 vi 명령어로 진행한다.
나는 해당 파일이 없어 예시만 보여주겠다.
다음과 같이 변경해주고, 리눅스는 대소문자를 철저히 구분하니 유의하자.
원하는 이름, 주소로 변경 후 저장해준다.

ip를 다시 시작해주면 적용이 되는데 2가지 방법이 있다.

 

1. nmcli 이용

2. systemctl 이용


vi 명령어를 활용하는 방법은 같은 방법을 사용하더라도 어떠한 상황에서는 되는데 또 어더한 상황에서는 안된다. 직접하면서 느낀바로는 처음 설정 시 nmtui나 nmcli로 설정하면 vi를 이용이 어렵고, 반대로 vi를 먼저 사용하면 vi와 함께 나머지 명령어도 사용이 가능했다. 정확한 원리는 잘 모르겠다. 마지막 방법이 안된다면 당황하지말고 침착하게 다른 명령어를 이용하도록 하자.

반응형
반응형
usermod

기본적으로 mod 관련 명령어는 일반 사용자는 불가능하고 root나 그에 준하는 사용자가 사용이 가능하다.

usermod (옵션) (그룹명) (사용자명)
  • -c 또는 --comment : 사용자 계정에 새로운 코멘트를 추가합니다.
  • -d 또는 --home :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를 변경합니다.
  • -e 또는 --expiredate : 사용자 계정의 만료 날짜를 설정합니다.
  • -g 또는 --gid : 사용자의 기본 그룹 ID를 변경합니다.
  • -l 또는 --login : 사용자 계정의 로그인 이름을 변경합니다.
  • -s 또는 --shell : 사용자의 기본 쉘을 변경합니다.
  • -u 또는 --uid : 사용자의 UID를 변경합니다.

groupmod
groupmod (옵션) (그룹명)
  • -g, --gid GID: 그룹의 GID를 수정합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그룹의 ID를 바꿀 수 있습니다.
  • -n, --new-name: 그룹의 이름을 수정합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그룹의 이름을 바꿀 수 있습니다.
  • -o, --non-unique: 중복된 GID를 사용하는 그룹을 생성합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GID가 이미 사용 중인 그룹과 중복된 GID를 가지는 그룹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 -v, --verbose: 작업의 세부 정보를 출력합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그룹 정보를 수정할 때 어떤 변경 사항이 있는지 상세히 출력합니다.

사용자와 그룹에 대해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 페이지에 자세히 적어 놓았으니 확인하면 좋을 듯 하다. 또한 더 다양한 명령어를 알고 싶다면 명령어 --help를 입력해보면 좋을 것이다.

[Linux 이론] 사용자와 그룹 정보 분석하기

 

[Linux 이론] 사용자와 그룹 정보 분석하기

권한을 조절하기 전에 우리는 구성에 대해 먼저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각 파일의 특징을 알아보고 이 중 passwd와 shadow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임의의 a 라는 사용자를 만들어 확인해 보았다.

easyitwanner.tistory.com

 

반응형
반응형

truncate와 dd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파일 크기를 변경하거나, 디스크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디스크 이미지를 복사하는 등 다양한 디스크 관련 작업을 수행하는 명령어다. 아직은 단순 테스트에만 사용중이지만 실 활용에는 더욱 다양하게 사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아직 배우는 입장이다보니 응용에 있어 어려운 부분이 있다.


truncate

truncate 명령어는 파일의 크기를 조정하는 명령어 중 하나로 truncate 명령어를 사용하면 파일의 크기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

 

truncate 명령어는 파일의 끝을 삭제하거나, 파일의 크기를 줄이는 데 매우 유용하다. 예를 들어, 로그 파일과 같이 큰 파일의 크기를 줄이거나, 일부 미디어 파일에서 헤더를 제거할 때 유용하다. 또한, truncate 명령어는 파일을 생성하거나 파일의 크기를 늘리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truncate 명령어는 파일의 크기를 조정하는 데 매우 빠르며, 다른 명령어에 비해 시스템 자원을 적게 사용한다. 따라서, truncate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파일의 크기를 조정하는 데 매우 유용한 명령어다.

 

truncate [옵션] 파일이름

- 옵션

  • -c, --no-create: 파일이 없을 경우 생성하지 않는다.
  • -o, --io-blocks: 파일 크기를 블록 수로 지정한다.
  • -r, --reference: 다른 파일의 크기를 참조하여 파일 크기를 조정한다.
  • -s, --size: 파일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지정한다.
  • -w, --help: 명령어 사용 방법을 출력한다.

예시

위와 같이 M, G 등 용량을 나타내는 기호를 같이 사용하면 조금 더 편하게 지정 가능하다.


dd

dd 명령어는 데이터를 다른 위치로 복사하거나 디스크 이미지를 생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다.  이 명령어는 블록 단위로 데이터를 처리하며, 주로 디스크 이미지를 만들거나 디스크를 복사하거나 백업하는 데 사용된다. dd 명령어는 강력한 도구이지만, 실수로 사용자의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파일 시스템을 손상시킬 수도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dd [option]...

- 옵션

  • if : 입력 파일을 지정합니다.
  • of : 출력 파일을 지정합니다.
  • bs : 입력 및 출력 블록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지정합니다.
  • count : 입력 파일에서 복사할 블록 수를 지정합니다.
  • seek: 대상 파일에 블록을 쓰기 전 건너뛸 블록 수를 지정합니다.
  • skip: 입력 파일에서 건너뛸 블록 수를 지정합니다.
  • status: 명령어 실행 시 진행 상황을 표시합니다.

이중에 if, of, bs, count는 꼭 입력해 줘야한다. 특히 count를 입력하지 않는다면 디스크가 다 차오를 때까지 무한 반복되는 불상사가 발생하니 주의하길 바란다.


dd 참고 문헌

[1], [2], [3]

기타 궁금한 내용이 있다면 페이지에 접속해보는 것도 좋을 것같다.


반응형
반응형

 사용자가 어느 그룹에 속해 있는지(GID) 혹은 사용자의 아이디(UID)는 무엇인지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 페이지에 정리해 놓았다. 오늘은 파일나 디렉토리의 권한을 수정해 볼 것이고, 이 다음에는 특정 사용자나 그룹을 지정해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해볼 생각이다.

 

[Linux 이론] 사용자와 그룹 정보 분석하기

권한을 조절하기 전에 우리는 구성에 대해 먼저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각 파일의 특징을 알아보고 이 중 passwd와 shadow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임의의 a 라는 사용자를 만들어 확인해 보았다.

easyitwanner.tistory.com


chmod

chmod는 리눅스에서 파일과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다. chmod 명령어를 사용하면 소유자, 그룹, 기타 사용자의 읽기, 쓰기 및 실행 권한을 수정할 수 있다.

chmod 명령어
chmod (옵션) (모드) (이름) 
옵션은 다음과 같다.
-c, --changes: 권한이 변경된 파일만 출력한다
.-f, --silent, --quiet: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지 않고 진행한다
.-R, --recursive: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의 권한도 함께 변경한다.

이 때 모드는 숫자 또는 문자열을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권한 모드를 나타내는 문자열은 r (읽기), w (쓰기), x (실행)로 표시되며, 각 권한에 대해 - (권한 없음)으로 나타낼 수 있다. 권한 모드를 나타내는 숫자는 8진수 숫자 3자리로 나타내며, 각 자리는 소유자, 그룹, 기타 사용자의 권한을 각각 나타낸다.

모드
a : 모두
u : user(소유자)
g : group(그룹)
o : others(기타 사용자)

예시

이 a 디렉토리와 a.txt 파일에 대해 실습을 진행해 보겠다.

chmod (권한을 변경할 대상) (파일이나 디렉토리 이름)으로 지정을 한다. 이 때 대상과 권한을 지정할 때 w(읽기), r(쓰기), x(열기)를 지정해주어야 하며 - 기호는 권한을 제거, + 기호는 권한을 추가한다. 대상도 한번에 지정이 가능하고, 부여하거나 제거할 권한도 한번에 지정할 수 있다.

주로 이 방법을 더 많이 사용하는데 숫자로 지정하는 것이다. 숫자는 3자리로 구성되고 각각 u, g, o의 권한을 뜻한다. 각 권한을 숫자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w : 4

r : 2

x : 1

이 숫자를 권한을 주고 싶은 만큼 더해서 주면 된다. 읽기와 열기 권한을 주고 싶다면 5, 주지 않을 것이라면 0과 같은 조합이 가능하다. 숫자에 조금만 익숙해지면 직관적이고 빠른 타이핑이 가능해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반응형
반응형

2023.03.07 - [Linux/이론] - [Linux 이론] 디렉토리, 파일의 속성 분석하기

 

[Linux 이론] 디렉토리, 파일의 속성 분석하기

오늘은 ls -l 을 사용했을 때 나오는 저 알수없는 글자에 대해 알아보자. 기본 구성 drwxr-xr-x. 5 root root 46 Mar 6 21:16 2 이것은 다음과 같이 분해할 수 있다. d / rwx / r-x / r-x / . / 5 / root / root / 46 / Mar 6 21

easyitwanner.tistory.com

이전에 이 페이지에서 파일과 디렉토리 정보의 구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 포스팅에서는 이 중 '권한'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볼 예정이고, 사용자를 만들고 그룹을 지정해볼 것이다.


사용자 생성 명령어

useradd (옵션) (이름)

 

user의 속성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 페이지에 설명해 놓았으니 확인하면 도움이 될 것이다.

2023.03.08 - [Linux/이론] - [Linux 이론] 사용자와 그룹 정보 분석하기

 

[Linux 이론] 사용자와 그룹 정보 분석하기

권한을 조절하기 전에 우리는 구성에 대해 먼저 알아야 할 필요가 있다. 각 파일의 특징을 알아보고 이 중 passwd와 shadow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임의의 a 라는 사용자를 만들어 확인해 보았다.

easyitwanner.tistory.com

계정과 관련된 옵션

  • -c, --comment : 계정에 대한 설명을 추가합니다.
  • -d, --home : 사용자 홈 디렉토리를 설정합니다.
  • -e, --expiredate : 계정 만료 날짜를 설정합니다.
  • -f, --inactive : 계정의 비활성화 기간을 설정합니다.
  • -g, --gid : 새로운 계정의 주 그룹을 설정합니다.
  • -G, --groups : 새로운 계정에 추가할 보조 그룹을 설정합니다.
  • -k, --skel : 새로운 계정을 위한 스켈레톤 디렉토리를 설정합니다.
  • -m, --create-home : 새로운 계정의 홈 디렉토리를 생성합니다.
  • -r, --system : 시스템 계정을 생성합니다.
  • -s, --shell : 새로운 계정의 로그인 셸을 설정합니다.
  • -u, --uid : 새로운 계정의 UID를 설정합니다.

여기서 이전에 다룬적이 없는 내용에 대해 짤막하게 정리하겠다.

 

* 시스템 계정

시스템에서 구동되는 서비스들이 시스템 자원에 접근하는 권한을 부여받기 위해서 사용되는 특별한 계정으로, 이는 시스템 프로세스에서 사용되고 로그인이나 홈 디렉토리가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주로 관리 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할 일은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 스켈레톤 디렉터리

새로운 사용자가 생성될 때, 사용자의 홈디렉토리에 미리 복사되는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토리이다. 여기에는 새로운 사용자가 로그인할 때 필요한 설정 파일, 쉘 스크립트, 문서 등의 파일이 포함 될 수 있다.

 

* 셀

명령어와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사용하는 인터페이스로 쉽게 말해, 커널과 사용자간의 다리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용자부터 명령을 받아 그것을 해석하고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역할을 한다.


비밀번호 관련 옵션
  • -p, --password : 계정의 암호를 직접 설정합니다. (passwd [비밀번호 설정할 사용자명])
  • -s, --stdin : 표준 입력으로부터 암호를 입력 받습니다.( echo '비밀번호' | passwd --stdin [사용자명])

사용자 지우기

userdel (옵션) (지울 사용자명)

 

-r : 사용자와 해당 홈 디렉토리를 같이 삭제

-f : 강제로 제거


그룹 생성 명령어

groupadd (옵션) (생성할 그룹 이름)

  • -g, --gid (GID): 새로운 그룹의 GID(Group ID)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groupadd -g 1000 mygroup 명령어는 "mygroup"이라는 이름의 그룹을 생성하면서 GID를 1000으로 설정한다.
  • -r, --system: 시스템 그룹(System Group)을 생성합니한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GID가 500 이하인 그룹이 생성된다.
  • -K, --key <key>=<value>: 그룹 생성 시 그룹의 속성을 설정합니다.

    Ex_ groupadd -K SYSLOG_FILE=/var/log/messages mygroup

    > "mygroup"이라는 이름의 그룹을 생성하면서 SYSLOG_FILE 속성을 "/var/log/messages"로 설정한다.

그룹 제거 명령어
  • -f, --force: 그룹에 속한 사용자가 있다면 강제로 그룹을 삭제합니다.

그룹과 사용자에 대한 명령어를 이렇게 정리해 보았지만 이것만 있는 것은 아니다.라는 것을 명심했으면 한다. 물론 이 이외에 자주 쓸만한게 있을까 싶지만 혹시 모르겠다면 --help명령어를 이용해보면 좋다. 천천히 배우고 있다면 이왕 하면서 영어 공부도 해두면 좋을 것이다. 만약 이 업계로 간다면 외국인을 자주 접해게 될 수 있고(외국계 기업일 경우), 그게 아니더라도 명령어 같은 것들은 영어를 알면 비교적 쉽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user + add = 사용자 추가, user + del = 사용자 지우기처럼 영어 단어를 함축하고 붙여 명령어로 쓰기 때문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