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image
[Linux 명령어] 일정 시간이나 특정 시간마다 명령어 수행하기(at, cron)
at at 명령어는 특정 시간에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한 번만 실행되는 작업을 예약할 수 있다. at 명령어를 사용하면 실행하고자 하는 명령어와 함께 실행할 시간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9시에 실행할 작업을 생성하려면 "at 09:00"과 같이 입력하고, 이후 명령어를 입력한다. 그러면 at 명령어 프롬프트가 나타나며, 입력한 작업이 예약된다. at 명령어는 일회성 작업을 예약하는 데 사용되며, 미래의 어느 시간에든 프로그램 또는 메일 등을 실행할 수 있다. at 명령어를 사용하면 일회성 작업을 예약할 수 있으며, 이 작업은 cron job과는 달리 반복적으로 실행되지 않는다. at 명령어는 일회성 작업을 예약하는 데 사용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실행되는 작업은 ..
2023.03.14
no image
[Linux 명령어] vi에 편의 기능 추가 (vim)
Vim은 리눅스에서 많이 사용되는 명령어 기반의 텍스트 에디터다. Vi 에디터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Vi와 호환성이 높다. Vim은 새로운 파일 생성, 기존 파일 편집, 파일 읽기 등 다양한 일반적인 vi 에디터의 사용처 외에도 프로그램 편집에 많이 사용된다. Vim은 Vi의 일반 모드와 삽입 모드를 포함하여 시각적 모드, 명령 줄 모드, Ex 모드와 같은 다른 모드도 가지고 있다. 각 모드는 다른 기능을 제공한다. Vim은 다중 레벨 실행 취소, 다중 창 및 버퍼, 구문 강조, 명령 줄 편집, 파일 이름 완성, 완벽한 도움말 시스템, 시각적 선택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다운로드 dnf install -y vim 사용 vim (옵션) (파일이름)
2023.03.14
no image
[Linux 명령어] 파티션 지정하기 (fdisk) + LVM이란?
fdisk는 Linux에서 사용하는 명령줄 도구로, 하드 디스크의 파티션 테이블을 만들고 조작할 수 있게 해주는 메뉴 기반의 유틸리티다. fdisk를 사용하면 하드 디스크에서 파티션의 정보를 볼 수 있으며, 파티션의 크기와 위치를 수정하거나 삭제, 새로운 파티션을 만들거나 부팅 가능한 파티션을 설정할 수 있다. fdisk는 사용자가 파티션 테이블을 조작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root 또는 sudo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잘못 사용하면 하드 디스크의 파티션 테이블을 변경해 데이터 손실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사용 전 주의가 필요하다. fdisk는 하드 디스크와 USB 드라이브, SD 카드 등 다양한 저장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DOS-type 파티션 테이블, BSD-type 및 SUN-..
2023.03.12
[Linux 명령어] 레드햇 패키지 매니저 (rpm)
리눅스에서 RPM(Red Hat Package Manager)은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만들고 설치하고 검증하고 갱신하며 제거할 수 있는 패키지 관리자로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모든 소프트웨어를 설치 및 삭제, 업그레이드하는 관리 툴이다. RPM 패키지의 구성 요소는 패키지 이름, 버전, 릴리즈, 아키텍처로 이루어져 있으며, 예를 들어 "mysql-5.0.22-2.1.i386.rpm"과 같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RPM 패키지를 설치하면 파일의 의존성을 자동으로 해결해주므로 패키지 설치 과정이 간편해지며, 설치된 패키지 정보는 "rpm -qa" 명령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RPM 패키지와 다르게 소스 패키지는 일반적으로 설치 경로를 수동으로 지정하여 설치한다. 이로 인해 RPM 패키지와 소스 패키..
2023.03.11
no image
[Linux 명령어] 리눅스 아카이브 명령어와 옵션 (tar) [2]
이번 포스팅에서는 바로 이전에 다루지 못했던 zip/unzip, gzip, bzip2, xz 4가지를 알아볼 것이다. 특징 1. zip : 윈도우와 호환성 때문에 사용한다. 2. gzip : 리눅스 기본 압축 프로그램이다. 3. bzip2 : gzip에 비해 압축률이 30% 가량 향상되었다. 4. xz : bzip2의 느린 속도를 개선했다. 다운로드 (레드햇 기반 OS 기준) zip rm으로 123.tar을 없애고 집을 풀어보자. 다시 123.tar이 만들어진 것을 볼 수 있다. gzip, bzip2, xz 압축 gzip, bzip2, xz의 공통 옵션은 -0~9를 통해 압축률을 지정할 수 있고, 9에 가까울수록 속도는 느려지고 압축률은 올라간다. 아래 사진에서는 9로 표시 되었지만 -9로 해야 잘 적용..
2023.03.07
no image
[Linux 명령어] 리눅스 아카이브 명령어와 옵션 (tar) [1]
리눅스에서 tar 명령어는 아카이브 파일을 생성, 추출 및 조작하는 데 사용되는 유틸리티다. 아카이브 파일은 하나의 파일에 여러 개의 파일 및 디렉토리가 저장된 컬렉션이다. tar 명령어는 파일을 압축 및 해제하는 것뿐만 아니라 중요한 데이터를 백업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tar 명령어를 사용하려면 원하는 작업을 정의하는 옵션 집합을 지정한 후 아카이브 파일 이름과 포함될 파일 목록을 지정해야 한다. 실습 이미지를 보기 전에 명령어와 그에대한 옵션을 먼저 확인해보자. tar 사용법 및 옵션 명령어 tar (옵션) (생성할 파일명) (대상 파일/디렉토리명) 옵션 c: 새로운 아카이브 파일 생성 x: 기존 아카이브 파일에서 파일 추출 t: 기존 아카이브 파일의 내용 표시 f: 아카이브 파일 이름 지정 v: 과..
2023.03.07
반응형
at

at 명령어는 특정 시간에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어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한 번만 실행되는 작업을 예약할 수 있다. at 명령어를 사용하면 실행하고자 하는 명령어와 함께 실행할 시간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9시에 실행할 작업을 생성하려면 "at 09:00"과 같이 입력하고, 이후 명령어를 입력한다. 그러면 at 명령어 프롬프트가 나타나며, 입력한 작업이 예약된다.

at 명령어는 일회성 작업을 예약하는 데 사용되며, 미래의 어느 시간에든 프로그램 또는 메일 등을 실행할 수 있다. at 명령어를 사용하면 일회성 작업을 예약할 수 있으며, 이 작업은 cron job과는 달리 반복적으로 실행되지 않는다. at 명령어는 일회성 작업을 예약하는 데 사용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실행되는 작업은 cron job을 사용한다.

at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명령어를 실행하거나 파일을 읽어 들이는 데 사용된다. at 명령어를 사용하면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셸을 사용하며, 입력된 작업은 at job으로 그룹화되어 실행된다.

따라서 at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한 번만 실행되는 작업을 예약하기 위한 명령어다. at 명령어를 사용하면 특정 시간에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으며, 이 작업은 cron job과 달리 일회성 작업으로 실행된다.

다운로드
dnf install -y at

at 시작 및 enable 시키기
systemctl enable --now atd

사용예
at hh:mm yyyy-MM-dd (명령어)
at now + (숫자) minutes(혹은 다른 시간 단위) (명령어)
at hh:mm today(tomorrow 등)

cron

cron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자동화된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레벨 프로세스 또는 서비스다. 이는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해서 실행되는 작업을 예약하는 데 사용된다. crontab이란 명령어를 사용하여 cron 작업을 예약할 수 있으며, 특정 시간 또는 일정한 간격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cron은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 동작하며, 지정된 디렉토리를 검사하여 예약된 작업이 있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지정된 시간에 작업을 실행한다. 이때, cron은 데몬 프로세스로 동작하며, 사용자의 개입 없이 작업을 수행한다.

cron은 백업, 로그 파일 정리, 간단한 작업 스케줄링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crontab 파일에 작업 스케줄을 설정해야 한다. 이때, crontab은 cron table의 약자로, cron 작업을 스케줄링하기 위해 사용된다.

* 위치를 정확히 맞출 필요는 없고 순서대로 *분 *시 *일 *월 *요일 *username *명령어이다. 이때 명령어는 스크립트를 작성해 그것을 일정 시간마다 작성하게 할 수 있다.

반응형
반응형

Vim은 리눅스에서 많이 사용되는 명령어 기반의 텍스트 에디터다. Vi 에디터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Vi와 호환성이 높다. Vim은 새로운 파일 생성, 기존 파일 편집, 파일 읽기 등 다양한 일반적인 vi 에디터의 사용처 외에도 프로그램 편집에 많이 사용된다.

 

Vim은 Vi의 일반 모드와 삽입 모드를 포함하여 시각적 모드, 명령 줄 모드, Ex 모드와 같은 다른 모드도 가지고 있다. 각 모드는 다른 기능을 제공한다. Vim은 다중 레벨 실행 취소, 다중 창 및 버퍼, 구문 강조, 명령 줄 편집, 파일 이름 완성, 완벽한 도움말 시스템, 시각적 선택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다운로드
dnf install -y vim
사용
vim (옵션<없어도됨>) (파일이름)

vim 다운로드 전
vim 다운로드 후


반응형
반응형

fdisk는 Linux에서 사용하는 명령줄 도구로, 하드 디스크의 파티션 테이블을 만들고 조작할 수 있게 해주는 메뉴 기반의 유틸리티다.

 

fdisk를 사용하면 하드 디스크에서 파티션의 정보를 볼 수 있으며, 파티션의 크기와 위치를 수정하거나 삭제, 새로운 파티션을 만들거나 부팅 가능한 파티션을 설정할 수 있다.

 

fdisk는 사용자가 파티션 테이블을 조작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root 또는 sudo 사용자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잘못 사용하면 하드 디스크의 파티션 테이블을 변경해 데이터 손실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사용 전 주의가 필요하다.

 

fdisk는 하드 디스크와 USB 드라이브, SD 카드 등 다양한 저장 장치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DOS-type 파티션 테이블, BSD-type 및 SUN-type 디스크 레이블 등 다양한 파티션 테이블을 인식할 수 있다.

 

fdisk는 사용자 친화적인 메뉴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파티션의 생성, 삭제, 크기 조정, 이동, 복사 등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다.

 

파티션 생성을 위해서는 사용하지 않은 공간이 있는 디스크를 선택해야 하며, 파티션을 생성하기 전에 운영체제에서 해당 파티션을 인식할 수 있도록 파일 시스템을 생성해야 한다.


2023.03.12 - [가상화 소프트웨어/VMware] - [VMware] Linux 가상 장치 하드웨어 추가하기

 

[VMware] Linux 가상 장치 하드웨어 추가하기

이제 곧 다룰 하드웨어 파티션 분할과 주 하드웨어와 보조 하드웨어를 연결하는 작업을 진행할 텐데, 그전에 장치를 물리적으로 추가해주는 작업을 할 것이다. 우리가 컴퓨터 본체나 노트북에 S

easyitwanner.tistory.com

장치를 추가하고 디스크의 이름을 확인하는 방법은 여기에 정리해 놓았으니 확인하기 바란다.


fdisk 진입 명령어

하드웨어를 추가하면 /dev 디렉토리에 이름과 함께 추가된다.
이 명령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 옵션이다.


파티션 추가하기

1. Partition type

새로운 파티션을 추가하기 위해 n(new)로 진입한다. 이 하드웨어에서는 총 4개의 primary타입을 만들 수 있고 이중 하나에만 extended를 적용할 수 있다. extended를 적용하면 최대 12 부분으로 분할이 가능하다. 이렇게 총 15개의 파티션으로 나눌 수 있는 것이다.

 

따로 적지 않으면 default 값인 primary로 적용된다.

 

2. Using default response P.

 1) 파티션 넘버 지정 : 1~4번까지 지정이 가능하고 따로 적지 않는다면 맨 앞번호부터 순차적으로 부여된다.

 2) 시작 섹터 : 어느 부분부터 사용을 시작할지 지정할 수 있고 단위는 byte다. 지정하지 않는다면 2048번으로 지정된다.

 3) 마지막 섹터 : 파티션을 사용할 용량을 지정하는 것으로 K, M, G 와 같이 용량단위로 간편하게 설정이 가능하다. 공백으로 둔다면 남은 공간을 모두 지정한다.


파티션 타입 변경하기

t로 변경이 가능하고 L을 사용해 변경 가능한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LVM(Logical Volume Management)

리눅스에서의 파티션 타입 'LVM'은 논리 볼륨 관리(Logical Volume Management)의 약자로, 전통적인 파티션 기반의 저장소 시스템 관리 방식 대신 논리 볼륨을 생성하고 이를 마치 디스크 파티션처럼 파일 시스템에 쉽게 마운트할 수 있게 해주는 방식이다.

 

LVM은 디스크 용량을 개별적인 디스크 용량 기반에서 사용 가능한 드라이브들의 용량을 결합하거나 풀링함으로써 관리한다. LVM 파티션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fdisk 파티셔닝 툴을 이용해 파티션 타입을 'Linux LVM'으로 설정하고, 이를 LVM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물리 볼륨로 변환해야 한다. 물리 볼륨은 각각의 파티션과 일대일 매핑이 된다.

 

LVM을 사용하면 물리적인 하드 드라이브와 파티션들이 기존에 존재했던 드라이브와 파티션들에 바인딩되는 것이 아니라, 추상화 레이어에서 서로 분리되어 다루어진다. 이러한 LVM 파티션의 크기를 조정하는 것은 간단한 작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서버의 다운 타임 없이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앞으로 다룰 mount 명령어와 파티션 조정을 위해 이 페이지에서는 LVM으로 파티션 타입을 변경할 것이다.


파티션 확인하기(p)


파티션 지우기(d)

파티션은 하나일 경우 바로 지워지고, 여러 개라면 지정해서 지울 수 있다. 파티션이 여러개이고 지울 때 파티션을 지정하지 않는다면 앞에서부터 1개씩 지워진다.


저장, 나가기

마지막으로 저장하고 나가는 옵션은 w이고 변경없이 나간다면 q를 입력해주면 된다.

파티션이 생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참고 문헌 : [1][2][3][4][5][6][7][8][9][10][11][12][13][14][15][16]

반응형
반응형

리눅스에서 RPM(Red Hat Package Manager)은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만들고 설치하고 검증하고 갱신하며 제거할 수 있는 패키지 관리자로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모든 소프트웨어를 설치 및 삭제, 업그레이드하는 관리 툴이다.

 

RPM 패키지의 구성 요소는 패키지 이름, 버전, 릴리즈, 아키텍처로 이루어져 있으며, 예를 들어 "mysql-5.0.22-2.1.i386.rpm"과 같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RPM 패키지를 설치하면 파일의 의존성을 자동으로 해결해주므로 패키지 설치 과정이 간편해지며, 설치된 패키지 정보는 "rpm -qa" 명령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RPM 패키지와 다르게 소스 패키지는 일반적으로 설치 경로를 수동으로 지정하여 설치한다. 이로 인해 RPM 패키지와 소스 패키지를 동일한 서버에 설치할 수 있지만, 같은 80 포트를 점유하기 때문에 동시에 하나만 열 수 있다. RPM 패키지를 설치할 때는 "rpm -i 패키지명" 혹은 "rpm -Uvh 패키지명" 명령어를 사용하며, 설치된 패키지는 "rpm -qi 설치된패키지명" 명령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RPM은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에 바로 실행할 수 있는 설치 파일을 제공한다. 이러한 설치파일의 확장명은 *.rpm이며, 이를 패키지라고 부르기도 한다. RPM을 사용하면 각 패키지의 필요 요소를 전부 따로 다운로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RPM의 문제점으로는 의존성을 들 수 있는데, 예를들면 페도라의 기본 웹 브라우저인 Firefox는 X윈도우에서 가동된다면, X윈도우가 설치 되지 않는 상태에서 Firefox를 설치하면 설치가 되지 않다.


옵션

RPM 패키지는 rpm 명령어나 yum 명령어를 통해 설치 가능하다. 주요 4개 명령어에 대해서는 설치, 업그레이드, 삭제, 정보 확인이 있다. RPM 설치 관련 옵션은 다양하다. 예를들어 설치 관련 옵션 중 -i(--install)은 패키지 설치 시엔 -i 옵션을 사용한다. v(verbose), h 등의 옵션과 함께 사용 가능하다.

 

RPM 명령어의 사용법은 설치 모드, 갱신 모드, 제거 모드, 질의 모드, 검증 모드 등이 있다. RPM의 주요 기능 중 하나는 패키지 설치 및 업그레이드이며, 이 기능을 위해 i와 U 옵션을 사용한다.

 

rpm (옵션) (패키지명)

설치 관련 옵션

  • -i(--install) : 패키지를 설치할 때 사용하는 옵션입니다. v, h 옵션과 함께 사용 가능하다.
  • v (verbose) : 설치 시 상세 내용을 함께 출력한다.
  • h (hash marks) : 설치 시 진행 상황을 #으로 표시한다.
  • 예시 : rpm -ivh [패키지명]

업그레이드 관련 옵션

  • -U(--upgrade) : 기존에 설치된 패키지를 업그레이드할 때 사용하는 옵션이다. v, h 옵션과 함께 사용 가능하다.
  • 예시 : rpm -Uvh [패키지명]

삭제 관련 옵션

  • -e(--erase) : 패키지를 삭제할 때 사용하는 옵션이다. --nodeps 옵션과 함께 사용 가능하다.
  • --nodeps : 의존성 무시하고 강제로 삭제한다.
  • 예시 : rpm -e [패키지명]

정보 확인 관련 옵션

  • -q(--query) : 패키지 정보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옵션입니다. i, p, l, c, d 옵션과 함께 사용 가능하다.
  • i (info) : 패키지 정보를 출력한다.
  • p (provides) : 패키지가 제공하는 파일 목록을 출력한다.
  • l (list) : 패키지에 포함된 파일 목록을 출력한다.
  • c (changelog) : 패키지의 변경 내용을 출력한다.
  • d (docfiles) : 패키지 설치 시 생성되는 문서 파일 목록을 출력한다.
  • 예시 : rpm -qi [패키지명]

의존성 문제

 

의존성 문제가 발생하면 해당 패키지를 설치할 수 없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라이브러리나 패키지를 먼저 설치해야 한다. 의존성을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다.

  • Shell 접속하여 bash 명령어로 $ rpm -qR [라이브러리명] 을 입력한다. 해당 라이브러리가 의존하는 다른 라이브러리나 패키지들을 확인할 수 있다.
  • 아래 사이트에서 라이브러리 검색 후 Requires 부분을 확인하여 의존성을 확인할 수 있다. [https://centos.pkgs.org/7/centos-x86_64/ CentOS 7 - CentOS x86_64 centos.pkgs.org]
  • rpm 명령어중 -qR 옵션은 현재 패키지가 의존하고 있는 패키지 목록을 보여준다. 

의존성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 의존하는 패키지를 먼저 설치한다.
  • rpm 명령어에 --nodeps 옵션을 추가하여 의존성 문제를 무시하고 강제로 패키지를 설치한다.
  • yum을 사용하여 의존성 문제를 해결합니다. yum은 자동으로 의존하는 패키지를 설치한다. 

참고 문헌 : [1][2][3][4][5][6][7][8][9][10][11][12][13][14][15][16][17][18]

반응형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바로 이전에 다루지 못했던 zip/unzip, gzip, bzip2, xz 4가지를 알아볼 것이다.


특징

1. zip : 윈도우와 호환성 때문에 사용한다.

2. gzip : 리눅스 기본 압축 프로그램이다.

3. bzip2 : gzip에 비해 압축률이 30% 가량 향상되었다.

4. xz : bzip2의 느린 속도를 개선했다.


다운로드 (레드햇 기반 OS 기준)

zip과 unzip은 각각 받아야 하는데 이렇게 한번에 받을 수 있다. 둘은 세트이다.


zip

zip 파일이 생성된것을 볼 수 있다.

rm으로 123.tar을 없애고 집을 풀어보자.

다시 123.tar이 만들어진 것을 볼 수 있다.


gzip, bzip2, xz 압축

gzip, bzip2, xz의 공통 옵션은 -0~9를 통해 압축률을 지정할 수 있고, 9에 가까울수록 속도는 느려지고 압축률은 올라간다.

아래 사진에서는 9로 표시 되었지만 -9로 해야 잘 적용이 될 것이다. (어쩐지 오류가 계속 출력되었었다.)

 

압축 해제

명령어

gzip : gunzip

bzip2 : bunzip2

xz : unxz


 

반응형
반응형

리눅스에서 tar 명령어는 아카이브 파일을 생성, 추출 및 조작하는 데 사용되는 유틸리티다. 아카이브 파일은 하나의 파일에 여러 개의 파일 및 디렉토리가 저장된 컬렉션이다. tar 명령어는 파일을 압축 및 해제하는 것뿐만 아니라 중요한 데이터를 백업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tar 명령어를 사용하려면 원하는 작업을 정의하는 옵션 집합을 지정한 후 아카이브 파일 이름과 포함될 파일 목록을 지정해야 한다. 실습 이미지를 보기 전에 명령어와 그에대한 옵션을 먼저 확인해보자.


tar 사용법 및 옵션

명령어

tar (옵션) (생성할 파일명) (대상 파일/디렉토리명)

 

옵션

c: 새로운 아카이브 파일 생성

x: 기존 아카이브 파일에서 파일 추출

t: 기존 아카이브 파일의 내용 표시

f: 아카이브 파일 이름 지정

v: 과정 출력

 

아래 3가지는 2편에서 다루도록하겠다.

 

z: gzip을 사용하여 아카이브 파일 압축

j: bzip2를 사용하여 아카이브 파일 압축

xz: :xz를 사용하여 아카이브 파일 압축


tar 다운로드


tar 생성

/1 디렉토리에 1~100 디렉토리를 만들었다.

tar 명령어는 독특하게 꼭 f로 파일 이름을 지정해주어야 한다. 이것이 없으면 명령어가 작동하지 않았다. v 명령어는 대부분의 공통으로 과정을 보여달라는 내용으로 필요한 경우에는 명령어를 넣어 확인하면 좋다.

tar가 잘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ar 해제

디렉토리가 너무 많아 눈이 아프니 나머지는 지워주자.

모아놓은 디렉토리와 파일을 해제하는 명령어이다. 옵션에 f는 필수이니 꼭! 잊지 말자. ls나 tree를 사용하면 tar가 풀려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tar 구성 확인

해당 옵션은 tar를 굳이 다시 풀지 않고 내용을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위와 똑같이 출력이 되지만, tree나 ls로 확인하면  따로변한것이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tar에 파일/디렉토리 추가

디렉토리가 100개나 있으니 눈이 너무 아파 다 지우고 3개짜리 파일로 다시 만들어 주었다.

이 txt 파일을 123.tar에 넣어 볼 것이다.

초기 123.tar 구성

r 을 이용해 a.txt, b.txt가 tar안으로 잘 들어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u 명령어는 r과 거의 같지만 내부 구성 파일이 업데이트 되어 있다면 덮어쓰고 아니면 넘어간다. 패치 압축 파일을 생성할 때 자주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