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목차

들어가며

인스턴스 생성하기

이름 및 OS 설정

키 페어

네트워크 설정


들어가며

해당 내용은 AWS 무료 계정을 기반으로 작성되었고, 아직 배우는 중으로 전부를 다루는 것은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이번 과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꼭! VPC를 설정해줘야 합니다 해당 내용은 아래에 다루었으니 확인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AWS Cloud] AWS VPC 관리하기

목차 들어가며 VPC Subnat 라우팅 테이블 IGW(Internet GateWay) EIP NAT Gateway 보안 그룹 들어가며 해당 내용은 AWS 무료 계정을 기반으로 작성되었고, 아직 배우는 중으로 전부를 다루는 것은 아님을 알려

easyitwanner.tistory.com


인스턴스 생성하기


이름 및 OS 설정

이름을 지정하고 원하는 OS를 선택해줄 수 있습니다. 저는 Amazon Linux를 선택했습니다. 2023 버전은 약간의 오류같은 이슈가 있어 Amazon Linux 2버전을 선택하는 것도 좋습니다.


키 페어

t2.micro는 버전과 크기를 뜻하는데 저는 프리티어이고 공부용임으로 그대로 두고 진행했습니다. 또 보안을 위해 키페어를 지정하는 것은 필수입니다. 기존에 있다면 그것을 써도 상관 없습니다.
원하는 이름을 설정해주고 유형을 선택하는데 저는 기본 구성으로 만들었습니다.


네트워크 설정

기본은 디폴트로 선택되어 있으나 우리가 생성한 VPC를 사용해야 합니다.
이름과 맞는 Subnet을 지정해줍니다.
보안 그룹은 이전 VPC를 진행하며 생성했고 알맞게 지정해줍니다.
이제 개수를 지정하고 시작하면 마무리가 됩니다.


 

반응형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Cloud] S3 Bucket 생성  (0) 2023.05.17
[AWS Cloud] User 및 Group생성하기(IAM)  (0) 2023.05.17
[AWS Cloud] AWS VPC 관리하기  (0) 2023.05.17
[AWS 클라우드] S3 Browser 다운로드  (0) 2023.05.16
[AWS 클라우드] AWS VPC 구성 (2)  (0) 2023.0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