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페이, 손가락 동작 두 번에 결제 완료 단말기·교통카드 미지원 등 과제 산적 삼성페이에 결제 속도·거리 크게 앞서
요약
한국에 상륙한 애플페이가 첫날부터 가입자 100만 명을 돌파했다. 애플페이는 애플 생태계에서 강력한 위상을 지니며, 엄지와 검지를 두 번 부딪히는 간편한 결제 방법과 아이폰 2대에서 등록 및 이용이 가능한 등의 기능이 있어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한 애플의 ‘센스’가 돋보인다. 그러나 교통카드를 지원하지 않고 결제 범위도 한정적인 등의 한계가 있어, 앞으로는 교통카드 문제와 범용성 확대가 숙제로 남아있다. 반면, 삼성페이는 오프라인 결제 1위를 지키기 위해 온라인 결제 1위 네이버페이와의 연동을 시작했다. 이번 협력으로 네이버페이 이용자는 어디서든 간편하게 결제가 가능하다.
수치 및 이슈
1. 애플페이가 21일 한국에 상륙한 첫날 가입자 100만 명을 돌파하며 파란
2. 와이파이나 데이터 연결이 없어도 아이폰이나 애플워치로 애플페이 결제가 가능
3. 애플페이는 단말기에서 10cm 이상 멀리 떨어져도 결제가 이뤄졌다
본문
엄지와 검지를 두 번 맞대니 애플워치에서 애플워치가 켜졌다. 결제는 순식간에 이뤄졌다.
애플페이가 21일 한국에 상륙한 첫날 가입자 100만 명을 돌파하며 파란을 일으켰다. 돌풍 속에는 고객 편의를 고민한 애플페이의 신기능이 있었다.
애플 생태계 속 애플페이의 위력은 막강했다. 애플워치를 찬 손의 엄지와 검지를 집게 손 모양으로 두 번 부딪히니 곧바로 애플페이가 실행돼 결제까지 한 번에 이뤄졌다.
와이파이나 데이터 연결이 없어도 아이폰이나 애플워치로 애플페이 결제가 가능했다.
소비자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한 애플의 ‘센스’도 눈에 띈다. 애플페이는 아이폰 2대에서 등록 및 이용할 수 있다. 카드 하나를 둘이 같이 써야 하는 경우, 예컨대 소득공제를 이유로 카드를 같이 쓰는 부부를 배려한 것이다. 삼성페이는 1대만 등록 가능하다.
결제 범위도 애플이 앞섰다. 삼성페이의 경우 단말기에 기기를 가까이 대야 결제가 됐지만 애플페이는 단말기에서 10cm 이상 멀리 떨어져도 결제가 이뤄졌다.
한 이용자는 애플페이를 켜놓은 상태에서 줄을 서고 있다가 앞 사람의 물건이 대신 결제됐다는 웃지 못할 사연을 전하기도 했다.
물론 ‘반쪽 페이’라는 비판도 존재한다. 애플페이는 교통카드를 지원하지 않는다. 버스나 지하철 이용 시 교통카드를 지원하는 실물 카드를 따로 소지해야 한다.
‘복불복’ 결제도 아쉽다. 애플페이는 NFC(근거리무선통신) 결제를 지원한다. 그러나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 따르면 전국 신용카드 가맹점 290만 곳 중 NFC 단말기를 보유한 곳은 편의점, 신세계백화점, 롯데백화점, 스타벅스 등 약 10%에 불과하다. 가맹점 대부분 MST(마그네틱보안전송) 단말기를 갖췄다.
NFC 단말기를 갖춰도 애플페이가 된다는 보장은 없다. 스타벅스의 경우 NFC 단말기가 있지만 애플페이 결제가 불가능하다. 신세계그룹 계열 가맹점들이 당장 애플페이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애플페의 앞으로 숙제는 교통카드 문제 해결 및 범용성 확대다.
애플은 국내 교통카드 사업자인 티머니, 캐시비 등과 교통카드 탑재를 놓고 비용문제로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그룹에 뿌리를 둔 신세계그룹 계열의 가맹점들이 당장 애플페이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고 있어 애플의 세력 확장에도 난관이 예상된다.
한편, 애플페이의 침공에 맞서 오프라인 결제 1위 삼성페이는 23일부터 온라인 결제 1위 네이버페이와 연동한 간편 결제 서비스를 시작했다. 이번 협력으로 3150만 네이버페이 이용자는 앱에서 삼성페이를 작동시켜 간단 인증 후 단말기를 구비한 모든 곳에서 결제를 할 수 있게 된다.
광주광역시는 K-Health 사업을 통해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기반의 의료데이터 통합 플랫폼을 구축하여 인공지능(AI) 진단 지원 서비스와 AI 앰뷸런스 등을 제공하고 있다. 21종의 인공지능(AI) 진단솔루션이 전남대병원, 조선대병원, 기독병원 등에 도입되어 있으며, 응급의료시스템과 개인건강관리를 위한 공공의료앱 등도 개발하고 있다. 이를 통해 광주는 성공 모델을 확립하여 전국에 확산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수치및이슈
1. 광주광역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K-Health 국민의료 인공지능(AI)서비스 및 산업생태계 구축(이하 K-Health사업)’ 1차년도 사업을 완료하고 4월부터 2차년도 사업을 시작
2. 현재 광주지역 138개 병·의원이 참여하고 있으며, 사업이 완료되는 2025년까지 광주와 여수, 목포 등 인근 5개 도시 병·의원 450여곳 이상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
3. 시민들은 앱을 통해 자신이 방문한 병·의원 진료·의료영상·건강정보 등 의료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손쉽게 확인하고 이 정보들을 기반으로 개인의 건강관리 상담도 가능해진다
본문
광주광역시가 인공지능(AI)과 결합한 미래 의료로 혁신의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광주광역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K-Health 국민의료 인공지능(AI)서비스 및 산업생태계 구축(이하 K-Health사업)’ 1차년도 사업을 완료하고 4월부터 2차년도 사업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광주테크노파크가 주관하고 인공지능산업융합사업단, 전남대병원, 조선대병원, 한국스마트헬스케어협회가 협력해 추진하는 이 사업은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클라우드 기반의 의료데이터 통합 플랫폼을 구축한다. 현재 광주지역 138개 병·의원이 참여하고 있으며, 사업이 완료되는 2025년까지 광주와 여수, 목포 등 인근 5개 도시 병·의원 450여곳 이상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플랫폼이 구축되면 다양한 의료서비스를 통해 생성된 데이터를 기업과 연구소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K-Health사업은 도시 전역 병의원의 의료데이터를 한데 모으는 클라우드 연계를 통해 시민들과 의료진들에게 한층 더 선진화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먼저 인공지능(AI)진단지원서비스, 인공지능(AI)앰뷸런스 등 선진화된 의료서비스를 제공해 정확한 질병 진단 서비스와 긴급 후송되는 중환자들의 골든타임 확보 등의 해결책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지금까지 폐질환진단 등 총 21종의 인공지능(AI) 진단솔루션이 전남대병원, 조선대병원, 기독병원 등에 도입돼 진료 때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 수요조사를 통해 활용성이 높은 우수한 진단솔루션을 추가 도입할 예정이다.
또 소방본부에서 운영하고 있는 구급차와 광주지역 응급의료센터에 인공지능(AI)기반 응급의료시스템(AI앰뷸런스)을 도입했다. 앞으로는 응급환자의 상태와 병원 현황을 인공지능(AI)으로 분석해 신속한 이송이 가능해진다.
인공지능(AI)기반 응급의료시스템은 현재 8대의 구급차와 응급의료센터 5개소에 설치했으며, 2025년까지 소방본부 38대 구급차 전체와 지역 전체 응급의료센터 20곳에 시스템을 구축·운영할 계획이다.
빛고을노인건강타운에 시범적으로 구축해 운영하고 있는 라이프로그 건강관리소(헬스케어 실증센터)를 동구 창업지원센터(서석동)와 서구 서빛마루복지관(풍암동) 등 2곳에 추가로 구축해 시민의 기초체력 측정 등 개인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 밖에 개인이 자신의 건강데이터를 관리하고 활용할 수 있는 공공의료앱을 개발해 시민들에게 제공한다. 시민들은 앱을 통해 자신이 방문한 병·의원 진료·의료영상·건강정보 등 의료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손쉽게 확인하고 이 정보들을 기반으로 개인의 건강관리 상담도 가능해진다.
향후에는 시민들의 데이터 제공에 대한 보상체계까지 별도로 마련해 개인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시민 체감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김용승 시 인공지능산업국장은 “K-Health사업의 다양한 의료서비스와 인공지능(AI)기반 의료데이터 활용 환경 조성을 통해 광주에 성공모델을 정착시키고 이를 전국으로 확산시키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시 부실한 계획, 오해, 안일한 활용, 낮은 데이터 접근성 등의 주요 도전과제를 안고 있다. 전문가들은 실용적이고 구조화된 아키텍처 접근방식과 전략적인 계획이 필수적이며, 마이그레이션을 베드락 프로젝트로 오해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강조했다. 또한 클라우드 비용이 많이 들며, 숨겨진 비용도 계획 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경고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진화로 하이브리드 멀티클라우드 환경이 생겨나고 있으며, 기업은 진화된 클라우드와 함께 추진해 나갈 필요가 있다.
클라우드 채택 과정에서 주의해야 할 5가지 사항에 대해 설명했다. 첫째, 무질서한 플랫폼 확산을 피하기 위해 멀티모달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고, 소프트웨어 리소스 사용 상황을 파악해야 한다. 둘째, 불충분한 보안으로 인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클라우드 보안 관련 실수를 피하고 보안 평가를 철저히 해야 한다. 셋째, 필요한 역량을 과소평가하지 말고 클라우드 배포 및 관리에 필요한 기술 및 경험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넷째, 마이그레이션을 서두르지 말고 디지털화를 추진할 때는 적절한 단계를 거쳐야 하며, 클라우드의 진화를 지속적으로 파악하며 비즈니스 전략을 정렬해야 한다. 다섯째, 클라우드 채택에 따른 리스크와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명확하고 신중한 프레임워크를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조치들을 통해 기업은 클라우드 채택을 보다 안정적이고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수치및이슈
해당 내용은 전체적으로 참고할 만한 내용들 임으로 한번씩 읽어보는 것을 추천한다.
본문
부실한 계획 세부적인 클라우드 전략이 없다면 문제가 될 수 있다. 엔터프라이즈 컨설팅 회사인 캡제미니 아메리카스(Capgemini Americas)의 수석 이사이자 전문가 조직(Center of Excellence) 책임자인 윌리엄 펠저스는 “클라우드로 전환 시 실용적이고 구조화된 아키텍처 접근방식이 상당히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클라우드로 전환 시 전략적으로 생각하는 게 필수적이라고 지적한다. 그는 “적절한 아키텍처를 설계하고 준비한다면, 이슈 발생 시 트러블슈팅(troubleshooting) 및 디버깅(debugging) 기간을 적어도 며칠은 줄일 수 있다”라고 말했다.
계획에서 마이그레이션에 이르는 과정에서 발생한 모든 실수로부터 배우는 것 또한 중요하다. 그는 “클라우드에 다짜고짜 뛰어들어 무작정 파악하고자 하는 이들은 성공하지 못할 것이다”라고 경고했다.
마이그레이션에 대한 오해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은 일회성 프로세스가 아니다. 엔터프라이즈 자문 회사 액센츄어(Accenture)의 클라우드 퍼스트(cloud first) 리드인 칼틱 나레인은 “이는 복잡한 상호 관련 이슈가 있는 지속적인 여정이다”라고 설명했다.
많은 IT 리더들은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을 베드락(bedrock) 시작일 및 종료일을 가진 전통적인 프로젝트로 오해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액센츄어 연구에 따르면, 자신의 클라우드 여정이 완료된 것으로 간주하는 기업의 32%는 실제로 조직을 위험에 빠뜨리며 얻을 수 있는 가치를 잃고 있다.
나레인은 “조직이 비용 절감에만 좁게 초점을 맞출 경우, 퍼블릭, 프라이빗 및 엣지를 비롯한 많은 역동적 형태의 클라우드를 더욱 전략적으로 사용하는 조직에 비해 불리해질 수 있다. 실제로 우리의 연구에 따르면, 클라우드를 전략적으로 검토한 이러한 조직은 효율성에만 주안점을 둔 조직보다 더 많은 비용을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라고 설명했다.
클라우드 비용의 과소평가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은 늘 즉각적인 비용 절감으로 이어진다는 것은 흔한 오해다. 존 와일리 & 선즈(John Wiley & Sons)의 CTO인 아레프 마틴은 “실제로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은 비용이 많이 든다. 또한 모든 비용을 완전히 파악하지 못할 경우 비즈니스가 실패할 수 있다”라고 경고했다.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은 흔히 비용 절감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신중하고 세부적인 계획이 필수적이다. 그럼에도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이 진행됨에 따라 숨겨진 비용은 필연적으로 나타나고 증가할 것이다. 마틴은 “프로젝트 시작 시 전반적인 클라우드 예산을 확보하도록 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클라우드 비용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때로는 기존 데이터시설에서 떠나는 비용과 같이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비용도 있다. 그러나 많은 비용의 경우 이처럼 확실하지는 않다. 그는 “리스킬링(reskilling), 업스킬링(upskilling) 및 적합한 클라우드 인재 발굴 등과 같은 인재 관련 비용 혹은 비즈니스 구조를 재구성하는 데 드는 비용이 그 예다. 이러한 모든 비용은 계획 시 고려되어야 한다”라고 설명했다.
안일한 활용 클라우드 컴퓨팅의 첫 시대가 저물고 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데이터 서비스 및 데이터 관리 회사 넷앱(NetApp)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총괄 매니저이자 수석 부사장인 로넨 슈워츠는 대부분의 기업이 이미 어떤 형태로든 클라우드 인프라를 마련해 놓았다고 언급한다.
그는 클라우드가 변곡점에 있다고 설명한다. 대부분의 조직은 클라우드로 지속적으로 마이그레이션하는 동안에도 여전히 상당한 양의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및 워크로드를 온프레미스에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많은 기업의 경우, 이제 진화된 클라우드, 즉 클라우드 서비스가 조직의 아키텍처 및 운영에 완전히 통합되는 하이브리드 멀티클라우드 환경으로 진입하고 있다고 그는 생각한다.
그는 “이는 관리를 간소화하고 모든 곳에서 관측 가능성(observability)을 제공하기 위해 사일로를 해체한다. 이러한 진화된 클라우드는 이름이 시사하는 바 그대로다. 최종 상태가 아니다”라고 언급했다.
기업이 진화된 클라우드에 진입하게 되면 정체를 피하기 위해 계속 추진해 나갈 것을 슈워츠는 권장한다. 그는 “애플리케이션을 마이그레이션했을 경우, 이제 클라우드에 맞게 리팩토링 할 수 있다. 리팩토링을 했다면 이제 성능 혹은 비용에 맞게 최적화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어느 경우든 클라우드와 함께 추진해 나가고 진화할 것을 슈워츠는 조언한다.
낮은 데이터 접근성 많은 대기업이 직면하는 주요 도전과제는 각기 다른 시스템에 분산된 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이다.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인 로켓 소프트웨어(Rocket Software)의 CIO인 달린 웰리엄스는 “클라우드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은 물론이고 온프레미스에서도 다수의 환경에 걸쳐 데이터의 접근성 및 안전성을 보장하는 일은 점차 골칫거리가 되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메인프레임(mainframe) 기술 사용자를 대상으로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80%는 메인프레임 기술이 비즈니스 운영에 여전히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그는 전했다.
구식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를 포기할 경우 부서는 잠재적으로 중요한 인사이트에 대한 액세스를 박탈당할 수 있다. 클라우드로 과도하게 치우친 기업은 구식 하드웨어에 고정된 데이터의 고유한 가치를 잊어버릴 위험이 있다고 윌리엄스는 경고했다.
플랫폼의 무질서한 확산 IT 리더는 비용 절감 및 플랫폼 스프롤(sprawl)을 피하기 위해 가능한 한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를 통합 및 병합해야 한다고 클라우드 데이터베이스 기술 공급업체인 카우치베이스(Couchbase)의 엔지니어링 부문 부사장인 웨인 카터는 지적했다.
그는 “예를 들어, 다수의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대신 멀티모달(multimodal)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경우, 단일 통합 백엔드에서 각기 다른 데이터 유형 및 모델을 처리할 수 있어 데이터 스프롤 및 불필요한 자금 지출을 방지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카터는 소프트웨어 리소스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이해하기 위해 조직 내부를 자세히 살펴보라고 IT 리더들에게 조언했다. 그는 “회사 전체에 걸쳐 둘 이상의 팀이 사용할 수 있도록 다수의 라이선스를 추가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있음을 알게 될 수 있다”라고 전했다.
불충분한 보안 느슨한 보안으로 인해 클라우드 이니셔티브가 IT 악몽이 될 수 있다. IT 컨설팅 회사 SPR의 클라우드 설계자인 엠마누엘 노딤은 “클라우드 보안 관련 실수를 피하려면 클라우드 환경을 이해하고 외부 및 내부 보안 위협으로부터 인프라를 보호하기 위한 가드레일이 마련되도록 해야 한다”라고 이야기했다.
외부 및 내부 위협으로부터의 보호에 실패할 경우 심각한 상황이 초래될 수 있다. 조직의 명성이 위험에 빠지고, 고객의 신뢰는 약화되며, 상당한 재정적 손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노딤은 클라우드 계획의 모든 단계에 철저한 보안 평가를 포함할 것을 권장했다.
필요 역량의 과소평가 많은 기업의 경우, 실제 설계 및 운영 문제 해결에 필요한 계획 및 작업의 양을 과소평가한다. 글로벌 기술 연구 및 자문 회사 ISG의 이사인 수닐 무어자니는 “그리고 러한 도전과제에 직면할 경우, 기업은 문제 해결에 필요한 기술 및 경험을 찾기 위해 고군분투한다”라고 지적했다.
멀티 클라우드 환경의 도래와 지속적인 인재 부족 문제가 결합되어 클라우드 배포 및 관리가 더욱 복잡해졌다고 무어자니는 설명했다. 그 결과, 많은 채택자들은 ‘클라우드 퍼스트’ 결과에 실망했다. 최근 ISG 조사에 응한 응답자의 거의 70%가 주요 목표의 20%만을 달성했으며, 대다수는 예산을 상당히 초과했고 데드라인을 놓쳤다고 그는 전했다.
클라우드 채택을 현실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더라도 많은 IT 리더는 클라우드 채택이 단순한 기술적 연습이 아님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그는 “기업들은 계약상의 의무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라고 경고하면서, 다년 계약의 경우 부주의한 클라이언트를 비싸고 경직된 소비 모델에 가둘 수 있다는 점을 언급했다.
마이그레이션 서두르기 과도하게 의욕적인 클라우드 마이그레이터들은 오래된 애플리케이션 최적화 실패와 관련된 장기적 비용을 과소평가하며 ‘리프트 앤 시프트(lift and shift)’ 마이그레이션 접근방식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이-코어(e-Core)의 북미 현장 운영 책임자인 마르코 로만은 “적절한 단계를 마련하지 않고 디지털화를 추진하는 기업은 평균보다 10% 더 높은 클라우드 비용, 무려 400% 더 늦은 구식 애플리케이션 제공 시간, 고위험 보안 취약성, 엄청난 유지보수 및 컴플라이언스 요구사항으로 인한 손실에 직면할 것이다. 이처럼 초기에 절차를 무시하는 것은 분명 소탐대실이다”라고 지적했다.
앞을 내다보지 않기 클라우드는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계속해서 다양한 방식으로 핵심 비즈니스 운영을 지원 및 개선하고 있다. 기업은 멀티클라우드, 클라우드 에지 컴퓨팅 및 기타 발전을 수용할 수 있도록 비즈니스 전략을 정렬하며 늘 앞을 내다보아야 한다고 엔터프라이즈 컨설팅 회사 EY 아메리카스(EY Americas)의 금융 서비스 기술 리드인 마티아스 로는 조언했다.
CIO들은 어떤 클라우드 전략을 추구해야 할지 고민하면서 사일로를 피하고, 새롭고 수익성 있는 성장을 주도하며, 효율성, 보안 및 투명성을 유지하기 위해 클라우드 설계를 어떻게 가장 잘 퓨처 프루핑(future-proof) 및 설계할 수 있을지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그는 “클라우드와 관련된 리스크 및 비용을 가장 잘 해결하는 방법에 대한 명확하고 신중한 프레임워크를 갖추는 게 필수적이다”라고 덧붙였다.
남양주시가 급변하는 디지털 수요에 대응하고 대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대표 홈페이지를 KT클라우드로 전환했다. 이번 사업은 디지털 혁신 및 디지털 뉴딜 정책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클라우드 통합 운영을 통해 갑작스러운 트래픽 증가에 대응해 신속하고 유연한 대응이 가능해져 안정적인 대민 서비스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한 모니터링과 보안 인증을 획득해 보안성을 더욱 강화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수치및이슈
1. 남양주시(시장 주광덕)가 대표 홈페이지를 KT클라우드로 전환
2. 클라우드 통합 운영은 갑작스러운 트래픽 증가에 대응해 자원을 탄력적으로 확장할 수 있어 신속·유연한 대응으로 안정적인 대민 서비스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본문
[헤럴드경제(남양주)=박준환 기자]남양주시(시장 주광덕)가 급변하는 디지털 수요에 신속·탄력적으로 대응하고, 안정적인 대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대표 홈페이지를 KT클라우드로 전환했다.
23일 市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소규모 전산 환경에서 운영되는 서버(H/W)를 전문성·효율성·안정성·보안성이 검증된 클라우드 통합 운영 환경으로 전환하는 사업으로, 정부의 디지털 혁신 및 디지털 뉴딜 정책에 따라 「행정·공공기관 정보자원 클라우드 전환·통합 추진」의 일환으로 진행했다.
市는 클라우드 전환을 위해 지난해 4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과 업무 협약을 체결했으며, 같은 해 12월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해 올해 데이터 이관, 시스템 및 기능 테스트, 서비스 전환 작업을 거쳐 지난 20일 대표 홈페이지 공식 서비스를 개시했다.
특히, 클라우드 통합 운영은 갑작스러운 트래픽 증가에 대응해 자원을 탄력적으로 확장할 수 있어 신속·유연한 대응으로 안정적인 대민 서비스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市는 24시간 전문 인력을 통한 모니터링과 보안 인증(CSAP)을 획득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해 보안성을 더욱 강화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다.
최대 1.2조원 투자…6월 착공 中의존도 95% 달하는 전구체 10만t 규모 국내서 생산·조달
요약
SK온과 에코프로머티리얼즈, 그리고 중국 전구체 기업 GEM은 새만금국가산업단지에 전구체 공장을 건설하기 위해 3자 합작법인 '지이엠코리아뉴에너지머티리얼즈'를 설립하기로 합의했다. 이들은 최대 1조2100억원을 투자하여 연간 생산량 10만t 수준의 전구체 공장을 2025년에 착공하고, 2027년까지 2개 공장을 가동시키기로 했다. 이 공장에서 생산한 전구체는 향후 국내 기업의 북미 양극재 생산공장으로 수출될 예정이다. 이로 인해 SK온의 중국 의존도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며,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모회사 에코프로는 주가 변동을 겪었다.
수치및이슈
1. SK온과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중국 전구체 기업 GEM(거린메이)이 새만금국가산업단지에 전구체 생산시설을 짓는다
2. 3사는 최대 1조2100억원을 투자해 새만금국가산업단지에 연간 생산량 10만t 수준의 전구체 공장 건립을 추진
본문
배터리 회사인SK온과 전구체 기업 에코프로머티리얼즈, 중국 전구체 기업 GEM(거린메이)이 새만금국가산업단지에 전구체 생산시설을 짓는다. 23일 새만금개발청에 따르면SK온과 에코프로머티리얼즈,GEM은 서울 종로구SK서린사옥에서 3자 합작법인인 '지이엠코리아뉴에너지머티리얼즈' 설립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투자협약에 따라 3사는 최대 1조2100억원을 투자해 새만금국가산업단지에 연간 생산량 10만t 수준의 전구체 공장 건립을 추진한다. 공장은 오는 6월 착공해 2025년 1공장, 2027년에는 2공장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해당 공장에는 1100여 명의 신규 인력이 고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구체는 배터리 핵심인 양극재 원가의 65~70% 이상을 차지하는 원료로, 니켈·코발트·망간 등을 섞은 화합물이다. 전구체 10만t으로 전기차 60만여 대분(1대당 105kwh 기준) 배터리에 필요한 양극재를 생산할 수 있다.
새만금 공장에서 생산한 전구체는 인도네시아에 있는 별도의 3사 합작법인에서 생산하는 니켈 중간재(MHP)를 원료로 사용할 예정이다. 3사는 지난해 11월MHP생산법인 설립 협약을 체결하고, 2024년 3분기부터 연간 순수 니켈 약 3만t에 해당하는MHP를 양산할 계획을 밝힌 바 있다.
SK온이 합작법인을 설립한 것은 전구체의 중국 의존도를 줄이고 글로벌 공급망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한국무역협회 수출입 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구체의 중국산 비중은 95.3%에 달했다. 새만금 공장에서 생산하는 전구체는 향후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관계사인 에코프로비엠에 공급돼 양극재로 만들어진 뒤SK온에 전달될 것으로 보인다.
새만금 공장에서 생산한 전구체는 대부분 국내 기업의 북미 양극재 생산공장으로 수출될 예정이다.SK온은 전구체 원료인MHP를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지 않은 인도네시아에서 들여오지만, 해당 원료를 사용한 배터리 소재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보조금 혜택을 받을 것으로 보고 있다.IRA는 북미 또는 미국과FTA를 체결한 국가에서 채굴·가공한 원료에 보조금 혜택을 제공하는데, 인도네시아에서 수입한MHP를 이용해 국내에서 전구체로 생산·조달하면IRA조항을 충족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에코프로머티리얼즈의 모회사인 에코프로는 이날 장중 극심한 변동을 기록했다. 장중 전 거래일 대비 9.4% 급등하며 사상 최고가(49만5500원)를 기록한 뒤 오후 3시께 매도 물량이 쏟아지며 17.96% 하락한 40만6500원까지 떨어졌다가 전 거래일과 비슷한 45만5000원에 장을 마감했다.
알리바바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부사장인 지아 양칭이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창업을 위해 퇴사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중국 매체 QbitAI는 지아 부사장이 알리바바 퇴사 후 AI 스타트업을 창업할 것이라고 보도했으며, 현재 AI 전문가로 세계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지아 부사장은 2019년, 알리바바 합류 전 페이스북과 구글에서 AI 팀 소속으로 근무한 경력이 있다. 하지만 지아 부사장과 알리바바 모두 지아 부사장의 퇴사 및 향후 계획과 관련한 매체의 문의에 답변하지 않았다.
2. 지아 부사장과 알리바바 모두 지아 부사장의 퇴사 및 향후 계획과 관련한 매체의 문의에 답변하지 않았다.
본문
홍콩 영문 일간지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알리바바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부사장 지아 양칭(Jia Yangqing)이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창업을 위해 퇴사했다는 소식을 전했다. 지아 부사장은 개인 위챗 게시글을 통해 자신의 직업 경력의 다음 도전을 향해 나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해당 게시글에는 알리바바 퇴사 후 근무할 기업을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중국 매체 QbitAI는 지아 부사장이 알리바바 퇴사 후 AI 스타트업을 창업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지아 부사장은 중국 내 저명한 AI 전문가이기도 하다. 현재 AI 연구원 및 연구 성과를 추적하는 중국 기관인 AI 마이너(AIMiner)는 지아 부사장을 세계 최고 멀티미디어 학자 순위 1위로 평가했다.
지아 부사장은 2019년, 알리바바 합류 전 페이스북과 구글에서 AI 팀 소속으로 근무한 경력이 있다.
한편, 지아 부사장과 알리바바 모두 지아 부사장의 퇴사 및 향후 계획과 관련한 매체의 문의에 답변하지 않았다.
엔비디아는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OCI)가 최신 네트워킹 스택 추가 제품으로 엔비디아 블루필드-3(DPU)를 채택했다고 밝혔다. 엔비디아 블루필드-3 DPU는 클라우드에서 데이터센터와 엣지 등에 이르기까지 소프트웨어 정의 하드웨어 가속 IT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인프라 워크로드를 CPU에서 넘겨받아 처리해 데이터센터 성능, 효율성, 보안을 개선하고 고가 CPU 코어를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데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엔비디아 창립자 겸 CEO 젠슨 황은 엔비디아 블루필드-3 DPU를 이용한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인프라는 AI 시대에 필수적이며, 생성형 AI의 까다로운 워크로드를 처리할 수 있다는 의견을 밝혔다.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의 총괄 부사장 클레이 마고요크는 엔비디아 블루필드-3 DPU가 지속 가능한 첨단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하기 위한 핵심 요소이며, 기업 고객에게 강력한 성능과 AI 및 과학 컴퓨팅 인프라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수치및이슈
1.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OCI)가 네트워킹 스택 최신 추가 제품으로 엔비디아 블루필드-3(BlueField-3) DPU(data processing unit)를 채택
2. 인프라 워크로드를 CPU에서 넘겨받아 처리해 데이터센터 성능, 효율성, 보안을 개선하고 고가 CPU 코어를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데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
본문
[디지털투데이 황치규 기자]AI 컴퓨팅 업체 엔비디아는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OCI)가 네트워킹 스택 최신 추가 제품으로 엔비디아 블루필드-3(BlueField-3) DPU(data processing unit)를 채택했다고 23일 밝혔다.
엔비디아 블루필드-3 DPU는 OCI 사용자에게 CPU에서 데이터센터 작업을 오프로드할 수 있는 새 옵션을 제공한다.
블루필드-3는 엔비디아 3세대 데이터 처리 장치로, 클라우드에서 데이터센터, 엣지에 이르기까지 소프트웨어 정의 하드웨어 가속 IT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인프라 워크로드를 CPU에서 넘겨받아 처리해 데이터센터 성능, 효율성, 보안을 개선하고 고가 CPU 코어를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데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엔비디아 창립자 겸 CEO인 젠슨 황(Jensen Huang)은 "AI 시대에는 엄청난 컴퓨팅 요구 사항을 지원할 수 있는 클라우드 데이터센터 인프라가 필요하다. 엔비디아의 블루필드-3 DPU는 이러한 발전을 가능하게 하며, 기존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에너지 효율적이고 안전한 가속화된 인프라로 전환하여 생성형 AI의 까다로운 워크로드를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말했다.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의 클레이 마고요크(Clay Magouyrk) 총괄 부사장은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스트럭처는 기업 고객에게 강력한 성능과 AI 및 과학 컴퓨팅 인프라에 대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엔비디아 블루필드-3 DPU는 우수한 성능을 갖춘 지속 가능한 첨단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하기 위한 우리 전략의 핵심 요소”라고 말했다.
생성형AI위한 '원스톱' 클라우드서비스 출시 게임용그래픽칩 회사서AI클라우드 회사로 도약 구글·MS등과 경쟁…어도비·게티이미지와 협력 구축
요약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21일 GTC 2023에서 "생성형 인공지능이 모든 산업을 재창조할 것"이라고 발언했습니다. 황 CEO는 엔비디아가 중심에 서겠다는 의지를 밝혔습니다. 엔비디아는 클라우드 기반의 생성형 AI 서비스 '엔비디아 AI 파운데이션'을 출시했습니다. 이 서비스는 대화형 AI 모델 니모, 이미지 생성 모델 피카소, 바이오 분야에 특화된 바이오 니모 등을 활용해 기업들이 쉽게 자체적으로 생성형 AI 서비스를 만들도록 지원합니다. 엔비디아는 AI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 등을 '원스톱'으로 제공할 계획입니다. 엔비디아는 데이터 기업 및 소프트웨어 업체와 협력하여 AI 클라우드 서비스를 개발할 예정입니다.
수치및이슈
1. LLM를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각종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방식
2. GPU는 여러 명령을 동시에 처리하는 병렬 구조 덕분에 AI알고리즘 처리에 유리해 사실상 AI반도체로 불린다
3. 엔비디아는 데이터 기업 및 소프트웨어업체 등을 협력사로 대거 끌어들일 것이라고 발표(게티이미지, 어도비)
본문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21일(현지시간) 엔비디아 연례개발자 콘퍼런스(GTC) 2023에서 “생성형 인공지능이 모든 산업을 재창조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2007년 아이폰 등장 이후 세상이 바뀐 것처럼AI가 새로운 비즈니스를 쏟아낼 것이라는 기대다. 황CEO는 그 중심에 반도체칩 설계회사인 엔비디아가 중심에 서겠다고 선언했다. ◇반도체 회사서 AI클라우드 회사로 도약
무기는 반도체가 아닌 엔비디아가 이날 새로 출시한 생성형AI클라우드 서비스인 ‘엔비디아AI파운데이션’(NVIDIAAIFoundations)이다. 기업들이 엔비디아가 개발한 대화형AI모델 니모(NeMo), 이미지 생성 모델 피카소(Picasso), 바이오 분야에 특화된 바이오 니모(BioNeMo) 등을 클라우드에서 활용해 쉽게 자체적으로 생성형AI서비스를 만들도록 하겠다는 취지다.
오픈AI의 ‘GPT-4’와 같은 거대언어모델(LLM)를 자체 개발하거나 파인 튜닝(사후학습)해 활용하려면 슈퍼컴퓨터가 필요하고, 상당한 인력, 시간이 필요할 수밖에 없다. 챗GPT개발에 엔비디아의 지능형반도체칩 ‘A100’1만개가 들어갔는데, 하나당 1만달러(약 1300만원)에 달한다. 대기업이 아닌 스타트업이나 중소기업은 엄두도 못 낼 규모다. 이에 엔비디아는 생성형AI컴퓨팅 리소스 및 인프라를 한데 묶어 클라우드 형태로 팔겠다고 나선 것이다. 한마디로LLM를 활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각종 서비스를 ‘원스톱’으로 제공하는 방식이다.
AI클라우드서비스는 그간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등 빅테크들의 전유물이었다. 이들은 엔비디아의 게임용 그래픽처리장치(GPU)칩을 활용해 서비스를 구현했다.GPU는 여러 명령을 동시에 처리하는 병렬 구조 덕분에 AI알고리즘 처리에 유리해 사실상 AI반도체로 불린다. 지난해 말부터AI가 각광을 받으면서 엔비디아의 주가가 폭등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이제 엔비디아가 이 시장에 직접 뛰어들겠다고 선언한 만큼 하드웨어업체와 소프트웨어업체 간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물론 최신GPU칩인DGXH100은 오라클 클라우드,AW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구글 클라우드 등에 계속 제공한다.
엔비디아의AI개발자 짐판은 “엔비디아는 단순한 하드웨어 공급업체를 넘어 기업용AI공급업체로 거듭나고 있다”고 의미를 부여했다. 어도비·게티이미지 등과 파트너십 확장
물론 엔비디아는 하드웨어 중심 기업이다 보니 홀로AI클라우드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에 엔비디아는 데이터 기업 및 소프트웨어업체 등을 협력사로 대거 끌어들일 것이라고 발표했다. 사진·이미지 제공업체는 게티이미지는 엔비디아와 협력해 텍스트로 이미지나 비디오를 만들 수 있는 생성AI를 개발하고 있고, 포토샵과 프리미어 등 사진·영상 소프트웨어 업체인 어도비도 이날 엔비디아와 손잡고 생성AI이미지 만드는 모델군인 반딧불, 파이어플라이를 출시했다.
SK텔레콤은 분당 사옥 내에 국내 중소기업과의 오픈랜 기술 협력을 위한 5G 오픈랜 인빌딩(실내) 실증망을 구축하고, 안정적인 서비스 연동 품질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오픈랜은 이동통신 장비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분리해 서로 다른 제조사의 장비가 연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SKT가 구축한 오픈랜 인빌딩 실증망에서 국내 중소기업들과 협력해 오픈랜 장비의 성능을 실내 사무공간에서 시험하고, 실제 서비스를 연동하여 체감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 SKT는 이번에 실증한 5G 오픈랜 기지국은 기존 장비보다 전력소모를 줄이고 용량을 개선했으며, 실제 기지국 수준으로 소형화 했다고 합니다. 이로써 SKT는 실외 오픈랜 필드 실증망에 이어 실내/외 실증망 구성을 완성했습니다. SKT는 앞으로도 국내 중소 제조사들과 함께 오픈랜 생태계를 키워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수치및이슈
1. SK텔레콤이 자사 분당 사옥 내에 국내 중소기업과의 오픈랜 기술 협력을 위한 5G오픈랜 인빌딩(실내) 실증망을 구축하고, 안정적인 서비스 연동 품질을 확인
2. SKT가 이번에 실증한 5G 오픈랜 기지국은 기존 오픈랜 장비보다 전력소모를 줄이고 기지국 용량을 개선했으며, 장비 크기 또한 기존 중대형 서버에서 실제 기지국 수준으로 소형화
본문
SK텔레콤이 자사 분당 사옥 내에 국내 중소기업과의 오픈랜 기술 협력을 위한 5G오픈랜 인빌딩(실내) 실증망을 구축하고, 안정적인 서비스 연동 품질을 확인했다고 22일 밝혔다.
오픈랜(Open Radio Access Network, 개방형 무선 접속망)은 기지국 등 이동통신 장비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분리해 장비간 인터페이스 표준화를 통해 서로 다른 제조사의 장비가 연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번에 SKT가 구축한 오픈랜 인빌딩 실증망에서 국내 중소기업들과 협력해 오픈랜 장비의 성능을 실내 사무공간에서 시험했고, 실제 서비스를 연동하여 체감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SKT는 인빌딩 실증망의 첫 실증 사례로 국내 중견 기업인 에치에프알과 함께 클라우드 기반의 5G 오픈랜 기지국을 설치하고, 안정적인 5G 인빌딩 서비스 품질과 성능을 확인했다.
또한 SKT는 이번 실증에서 전송속도, 지연시간 등 네트워크 성능 측정은 물론, 실시간 서비스(웨어러블 360° CCTV)를 시연하며 서비스 품질 관점에서도 실증을 진행했다.
뿐만 아니라 SKT가 이번에 실증한 5G 오픈랜 기지국은 기존 오픈랜 장비보다 전력소모를 줄이고 기지국 용량을 개선했으며, 장비 크기 또한 기존 중대형 서버에서 실제 기지국 수준으로 소형화 했다.
이로써 SKT는 기존의 실외 오픈랜 필드 실증망에 이어 이번에 인빌딩 실증망을 구축함으로써 실내/외 실증망 구성을 완성했다.
한편, SKT는 올해 초 열린 MWC 2023에서 관련 내용을 전시해 관람객들에게 호평 받기도 했다.
SKT는 이번 실증 뿐 아니라, 작년 O-RAN 얼라이언스(O-RAN Alliance)가 주최하는 ‘플러그페스트(PlugFest)’ 행사에 주관사 자격으로 참여해 O-RAN 규격을 준수하는 기지국 장비에 대한 다양한 실증 결과를 발표한 바 있으며, 올해 초에는 노키아와 함께 국내 최초로 클라우드 기반의 오픈랜 가상화 기지국을 상용망에 설치, 필드 시험을 통해 안정적인 5G 서비스 속도 및 커버리지 성능을 확인한 바 있다.
SKT는 앞으로도 오픈랜에 대한 활발한 실증 활동을 통해 다가올 오픈랜 시대를 준비함과 동시에 국내 중소 제조사들과 함께 협력을 지속함으로써 국내 오픈랜 생태계를 키워 나갈 계획이다.
류탁기 SKT 인프라기술담당은 “실내 환경에서 5G 오픈랜 기지국 실증에 성공함으로써 오픈랜 상용화에 한 발 더 다가갔다”며 “오픈랜은 5G 고도화는 물론, 다가올 6G 시대에 꼭 필요한 기술로 앞으로도 오픈랜 기술 개발과 국내 생태계 활성화에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SAP가 '그로우 위드 SAP(GROW with SAP)'를 출시해 중견기업의 클라우드 기반 전사적자원관리(ERP) 도입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그로우위드SAP는 S/4HANA 클라우드 퍼블릭 에디션과 빠른 도입 서비스, 글로벌 전문가 커뮤니티, 무료 학습 리소스를 함께 제공해 4주 내로 고객이 솔루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로우위드SAP는 SAP BTP를 포함하며 SAP 빌드를 사용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방식으로 자체 프로세스를 정의할 수 있다. SAP는 글로벌 파트너 에코시스템을 통해 파트너사 지원도 제공할 예정이다. SAP CEO는 "그로우위드SAP는 중견기업의 비즈니스 성장에 도움이 되는 맞춤형 솔루션을 통해 한 단계 더 발전한 것"이라며 "중견기업이 현재는 물론 미래의 성공을 위해 필요한 민첩성과 혁신을 제공한다"고 말했다.
수치및이슈
1. 중견기업의 클라우드 기반 전사적자원관리(ERP) 도입을 지원하는 ‘그로우 위드 SAP(GROWwithSAP)를 출시
2. 그로우 위드 SAP는 S/4HANA 클라우드 퍼블릭 에디션과 빠른 도입 서비스, 글로벌 전문가 커뮤니티, 무료 학습 리소스를 함께 제공해 단 4주 내로 고객이 솔루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
본문
SAP는 중견기업의 클라우드 기반 전사적자원관리(ERP) 도입을 지원하는 ‘그로우 위드 SAP(GROWwithSAP)를 출시한다고 22일 밝혔다.
SAP는 그로우위드SAP고객의 클라우드ERP구축을 지원하고, 원활한 업데이트를 제공한다.
SAP는 '그로우위드SAP'를 통해 중견기업이 즉시에 도입할 수 있는 사전 구성된 업계 모범 사례를 제공한다. 임베디드AI와 자동화 기능으로 고객이 빠르게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로우 위드 SAP는 S/4HANA 클라우드 퍼블릭 에디션과 빠른 도입 서비스, 글로벌 전문가 커뮤니티, 무료 학습 리소스를 함께 제공해 단 4주 내로 고객이 솔루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로우위드SAP는SAP비즈니스 테크놀로지 플랫폼 (SAPBTP)을 포함한다. 고객은SAP빌드를 사용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방식으로 자체 프로세스를 정의할 수 있다. 비즈니스 사용자는SAP빌드 솔루션을 통해 코드를 작성하지 않고도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 자동화 프로세스를 생성하고 비즈니스 사이트를 설계하는 등 실무자들이 규정을 준수하면서 필요한 솔루션을 안전하게 생성할 수 있다.
SAP는 글로벌 파트너 에코시스템을 통해 파트너사 지원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SAP의 글로벌 파트너는 그로우위드SAP를 중심으로 고객과 협력하고 고객의 요구사항을 지원할 예정이다.
크리스찬 클라인SAPCEO및 이사회 임원은 “SAP의ERP솔루션은 오랫동안 세계 유수의 기업들이 비즈니스 전반에 걸쳐 엔드투엔드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해왔다”며 “중견기업의 비즈니스 성장에 도움이 되는 맞춤형 솔루션을 통해 한 단계 더 발전한 그로우 위드SAP를 선보일 수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그로우위드SAP는 중견기업이 현재는 물론 미래의 성공을 위해 필요한 민첩성과 혁신을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22일 네이버 정기주주총회에서 "네이버클라우드를 중심으로 한 기업간거래(B2B) 사업 통합을 통해 수익성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며 "올해 네이버의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콘텐츠 부문에서도 매출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주총 의안은 모두 가결됐으며, 이사진 보수 한도는 80억원으로 축소됐다. 이에 대해 최 대표는 "비용 통제 기조에 맞춰 경영진과 임원들의 계약금액을 삭감했는데 그 부분도 고려됐다"고 말했다.
수치및이슈
1.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등 3가지로, 모두 가결
2. 이사진 7명의 보수 한도는 기존 150억원에서 80억원으로 축소
본문
[파이낸셜뉴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22일 "올해 네이버의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할 것"이라며 "네이버클라우드를 중심으로 한 기업간거래(B2B) 사업 통합을 통해 수익성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날 네이버 정기주주총회에서 최 대표는 수익성 확대를 위한 전략을 발표했다.
그는 "전 세계적 경제 상황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기존 사업의 꾸준한 성장과 새로운 시장 개척을 통해 네이버의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할 것"이라며 "올 한 해에도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팀 네이버는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을 약속 드리겠다"고 말했다. 또 "네이버클라우드를 중심으로 한 기업간거래(B2B) 사업 통합을 통해 수익성 확대를 모색하고 있다"면서 "콘텐츠 부문에서도 올해 본격적으로 수익성이 확보된 매출 성장을 기대한다"고 전했다.
정기주총 의안은 △제24기(2022년 재무제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 승인의 건 △기타비상무 이사 변대규 선임의 건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등 3가지로, 모두 가결됐다. 기타비상무 이사로 재선임된 변대규 휴맥스홀딩스 대표이사(회장)는 지난 2017년 이후 7년째 네이버 이사회 의장을 맡아왔다. 네이버는 변 의장이 네이버 이사회가 발전하는 데 상당히 기여했으며, 네이버가 기술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이사진 7명의 보수 한도는 기존 150억원에서 80억원으로 축소됐다. 이에 대해 최 대표는 "지난 10년간 보수 한도가 실 지급률 대비 다소 높게 설정돼 있어 주주들의 승인을 받아 재량의 범위를 줄인 것"이라며 "올해는 비용 통제 기조에 맞춰 경영진을 비롯해 임원들의 경우 계약금액을 삭감했는데 그 부분도 고려됐다"고 말했다.
한국IDC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퍼블릭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는 2026년에 3조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해당 시장 규모는 1조7천844억원으로 집계되었으며, 전년 대비 19.9% 성장했다. 애플리케이션 현대화와 SaaS, 지능화 소프트웨어 수요가 증가하면서 2026년까지 연평균 15.5%의 성장률이 예상되고, AD&D, 애플리케이션, SIS 부문에서 성장이 예상된다. IDC 책임 연구원은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사업자는 FinOps 시스템 확립을 위한 AI 기반 소프트웨어를 제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수치및이슈
1. 국내 퍼블릭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가 2026년이면 3조원이 넘을 것이라는 전망
2. 기업의 요구 사항이 구체화하면서 전년 대비 19.9% 성장
본문
(서울=연합뉴스) 임은진 기자 = 국내 퍼블릭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가 2026년이면 3조원이 넘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3일 한국IDC의 보고서 '국내 퍼블릭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시장 전망, 2022∼2026년'에 따르면 지난해 해당 시장 규모는 1조7천844억원으로 집계됐다.
애플리케이션 현대화 확산 및 비즈니스 환경 가시화,IT디지털화를 기반으로 운영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업의 요구 사항이 구체화하면서 전년 대비 19.9% 성장했다.
여기에 차세대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 및 애플리케이션 현대화와 지능화 소프트웨어 수요가 점차 증가하면서 2026년까지 연평균 15.5%의 성장률을 기록해 2026년에는 퍼블릭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시장 규모가 3조614원으로 확대할 것으로 한국IDC는 내다봤다.
세부적으로AD&D(애플리케이션 개발·배포) 부문은AI/ML(머신러닝) 및IoT(사물인터넷) 기술을 활용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통합 수요와 데이터 관리 소프트웨어 수요 증가에 향후 5년간 29.2% 성장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어 애플리케이션 부문은SaaS형태의 소프트웨어 수요 증가에 같은 기간 11.9%,SIS(시스템 인프라 소프트웨어) 부문은 멀티·하이브리드 클라우드 환경을 지원할 수 있는 솔루션 및 클라우드 보안 강화 수요 증가로 11.4% 성장할 것으로 분석됐다.
박서영 한국IDC책임 연구원은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사업자는 자동화 및 모니터링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조직적, 비용적, 과금 체계 정립 관점에서FinOps(클라우드 환경 속 재무·개발·운영 결합) 시스템 확립을 위한 방안을 수치화하고 가시화할 수 있는AI기반 소프트웨어를 준비하고 적절히 제시하여 시장의 수요에 대비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美·英 거주자부터 사용가능 답변 부족하면 검색과 연결 MS, 그림 생성AI탑재로 맞불 한국형 챗GPT개발도 열풍 GPT-4적용 '챗 뤼튼' 출시
요약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가 생성형 인공지능 시장에서 경쟁을 벌이고 있다. 구글은 21일 대화형 AI 바드(Bard)를 출시하며, MS는 오픈AI의 이미지 생성 AI 달리(DALL-E)를 자사 검색 엔진 빙(Bing)에 탑재한다고 밝혔다. 또한 MS는 이미지 생성 서비스인 '빙 이미지 크리에이터'를 선보였다. 한편 국내 스타트업들도 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출시하고 있으며, 이들 중 뤼튼테크놀로지스는 카카오톡 기반 챗봇 서비스인 '챗 뤼튼'을 출시하였다.
수치및이슈
1. 구글은 미국과 영국에서 일부 이용자를 대상으로 바드를 선보인다
2. 구글은 더 많은 국가를 상대로 바드를 서서히 공개한다는 방침
3. MS는 오픈AI의 달리를 빙과 웹브라우저 '에지'에 잇달아 탑재
본문
블루오션으로 평가되는 생성형 인공지능(AI) 시장 선점을 놓고 구글과 마이크로소프트(MS) 간 경쟁이 달아오르고 있다.
구글이 21일(현지시간) 대화형AI바드(Bard)를 출시한다고 발표하자MS는 오픈AI의 이미지 생성AI인 달리(DALL-E)를 자사 검색 엔진인 '빙(Bing)'에 탑재한다고 맞불을 놓았다. 바드는 사람처럼 묻고 답하며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챗GPT의 대항마로, 이번 서비스 출시로MS와AI챗봇 본격 경쟁을 예고했다. 챗GPT개발사 오픈AI를 등에 업은MS가 새로운 검색엔진 빙을 출시한 데 이어 엑셀, 파워포인트, 워드 등 사무용 소프트웨어 오피스 365에도 생성형AI를 탑재한다는 계획을 내놓자 구글도 '반격 카드'를 마련한 셈이다.
구글은 이날 블로그를 통해 미국과 영국에서 일부 이용자를 대상으로 바드를 선보인다고 밝혔다. 바드는 챗GPT나 빙 챗봇과 달리AI답변이 부족하거나 미심쩍을 때 구글을 검색할 수 있도록 했다.AI결과가 마음에 안 들면 '그걸 구글링 해(GoogleIt)'라는 버튼을 눌러 작동시키는 방식이다. 이날 구글은 책 20권을 읽는 데 도움이 되는 몇 가지 방법, 자녀가 볼링을 시작하도록 격려하는 방법 등을 시연했다.MS가 빙 챗봇을 앞세워 구글이 장악한 검색엔진 시장을 치고 들어오자 방화벽을 세운 대목이다.
구글은 더 많은 국가를 상대로 바드를 서서히 공개한다는 방침이다.
MS의 맞불 작전도 눈에 띈다.
MS는 오픈AI의 달리를 빙과 웹브라우저 '에지'에 잇달아 탑재했다. 달리는 문장을 입력하면 자유롭게 그림을 그려주는 서비스다. 이번 서비스 이름은 '빙 이미지 크리에이터'로 명명됐다. 유수프 메디MS부사장은 "인간의 두뇌는 문장보다 그림을 6만배 이상 빠르게 인식하고 처리하기 때문에 검색에서 시각적 도구는 매우 중요하다"면서 "이미지 생성을 통해 친구에게 보내는 뉴스레터를 보다 시각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MS는 '해바리기 꽃밭을 걷는 우주비행사를 그려달라'고 요청한 것을 시연한 이미지를 홈페이지에 올렸다.
한편 '한국형 챗GPT'를 내세우며 대화형AI시장에 뛰어들고 있는 국내 스타트업의 사례도 이어지고 있다.
한국어에 특화됐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AI콘텐츠 생성 플랫폼 뤼튼테크놀로지스는 카카오톡 기반 챗봇 서비스 '챗 뤼튼'을 출시했다고 22일 밝혔다.
카카오톡에서 '뤼튼'을 검색하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챗 뤼튼을 포함해 이 회사가 운영하는 50여 종의 콘텐츠 생성 서비스에 최근 공개된GPT4.0을 적용했다. 뤼튼 측은 "챗GPT보다 한국어를 더 잘 아는 네이버 하이퍼클로바와 자체 언어모델 등 초거대 생성AI를 조합해 서비스 퀄리티를 높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최근엔 카카오의AI기술 전문 자회사 카카오브레인이 생성형AI챗봇 '다다음(ddmm)'을 오픈 베타 버전으로 공개했다가 하루 만에 1만2000명이 넘는 이용자가 몰리며 과부하 문제가 발생해 현재 재정비에 들어간 상태다. 다다음은 검색, 요약, 번역은 물론이고 텍스트를 이미지로 생성까지 해주는 카카오톡 기반 대화형 챗봇이다.
이외에도 업스테이지(아숙업·이하 서비스명), 굿닥(건강AI챗봇), 스픽이지랩스(AI튜터), 마이리얼트립(AI여행플래너), 라이너(라이너AI), 엘리스(AI헬피), 올거나이즈코리아(알리GPT) 등의 스타트업이GPT시리즈를 활용해 다방면에서 한국형 챗GPT를 표방하고 있다.
美 가드레일 세부조항 관련 한미 양국 정부 긍정적 평가 장비 업그레이드 제한 없어 기술적으론 수십% 증산효과 美정부 "중국서 운용 시설 가동 막을 의도 전혀 아냐"
요약
미국 정부가 발표한 반도체 가드레일 세부 규정안에 따라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우리 기업이 중국 공장에서 기술적으로 생산량을 늘릴 수 있게 됐다. 이에 대해 한미 정부는 "한국 기업의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됐다"고 평가했다. 이에 따라 업계와 함께 미국 당국 실무진을 만나 우리 기업에 피해가 없도록 최종 조율에 나설 계획이다. 또한, 이번 세부 조항이 한국 기업의 요청을 충분히 반영한 결과라는 점을 미국 정부도 강조했다. 한국 정부 관계자들은 이번 발표로 기업들이 상당히 유연하게 투자·생산 전략을 세울 수 있게 됐다며 만족감을 표명했다.
수치및이슈
1.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우리 기업이 중국 공장에서 기술적으로 생산량을 늘릴 수 있게 됐다
2. 5%의 기준은 투입되는 웨이퍼 단위에 대한 제한일 뿐 기술 집적도를 높이는 것에는 제한이 없다는 게 핵심
3. 미국 정부도 이번 세부 조항이 한국 기업의 요청을 충분히 반영한 결과라는 점을 강조
본문
한미 양국 정부가 21일(현지시간) 발표된 반도체 가드레일 세부 조항에 대해 "한국 기업의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됐다"고 평가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우리 기업이 중국 공장에서 기술적으로 생산량을 늘릴 수 있게 됐다는 설명이다. 정부는 업계와 함께 23일부터 미국 당국 실무진을 만나 우리 기업에 피해가 없도록 최종 조율에 나선다.
이날 미국 상무부가 공개한 가드레일 세부 규정안을 적용하면 중국에서 첨단 반도체를 생산하는 삼성과SK가 미국에서 반도체법 보조금을 받을 경우 10년간 중국 내 반도체 생산능력을 5% 이상 확장할 수 없다. 하지만 5%의 기준은 투입되는 웨이퍼 단위에 대한 제한일 뿐 기술 집적도를 높이는 것에는 제한이 없다는 게 핵심이다. 집적도를 높일 경우 같은 크기의 웨이퍼에서 더 많은 반도체 생산이 가능해진다.
최상목 경제수석은 22일 브리핑에서 "발표 전부터 미국 정부와 세부 규정 주요 내용에 대해 브리핑을 받는 등 긴밀하게 소통해왔다"면서 "중국에서 보유 중인 국내 기업의 제조설비 운영에는 차질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업그레이드나 장비 교체 투자에 대해선 제한을 두지 않은 점이 중요하다"면서 "이에 따라 실질적 생산 확대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미국의 조치가 사실상 적극적 투자를 제한한 것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 최 수석은 "업계에 문의한 결과 큰 문제가 없다는 답변을 받았다"며 "한국 기업의 부담을 최소화하고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미국 측과 협의해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여러 우려에 대한 불확실성이 상당 부분 해소됐다"며 "기업들이 상당히 유연하게 투자·생산 전략을 세울 수 있게 됐다"고 평가했다. 이 장관은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기업들이 (이번 발표 이후) 안도할 수 있는 기본적인 요건은 충족됐다고 본다"며 "미국 정부가 이번 초안을 확정하기까지 남은 60일간 미국 측과 충분히 협의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같은 날 장영진 산업부 1차관도 매일경제와 만나 "웨이퍼 단위로 5% 증가 제한 수준이면 실제로는 수십 %의 생산 증가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미국 정부도 이번 세부 조항이 한국 기업의 요청을 충분히 반영한 결과라는 점을 강조했다. 마이클 슈미트 미 상무부 반도체법 프로그램 사무국장은 21일 간담회에서 "우리는 한국과의 관계를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면서 "가드레일이 한미 양국의 공통된 경제·국가안보 이익에 부응한다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5% 생산 증가 제한을 넘지 않고 미국 수출 통제를 준수하는 한 기술적 업그레이드는 가능하다"고 다시 한 번 강조하면서 "이후 반도체법을 통해 새로 부과되는 제한은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고위 당국자도 "우리의 의도는 중국 내 생산시설의 확장 또는 신설을 막으려는 것이지 현재 운영 중인 생산시설의 가동을 막으려는 것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국가전략기술 산업의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대기업·중견기업은 8%에서 15%, 중소기업은 16%에서 25%로 각각 상향된 세액공제율을 적용받을 수 있는 내용의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이 국회 기획재정위 전체회의를 통과했다. 직전 3년간 연평균 투자금액 대비 증가한 투자분에 대해 올해에 한해 10%의 공제를 추가로 받을 수 있는 임시투자세액공제도 의결됐다. 대기업은 최대 25%, 중소기업은 최대 35%의 투자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세수 감소액은 기존 예상보다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수치및이슈
1. 국가전략기술로 지정된 분야에서 기업이 설비투자를 할 경우 대기업·중견기업은 8%에서 15%로, 중소기업은 16%에서 25%로 각각 상향된 세액공제율을 적용
2. 직전 3년간 연평균 투자금액 대비 증가한 투자분에 대해 올해에 한해 10%의 공제를 추가로 받을 수 있는 임시투자세액공제도 의결
3. 대기업은 최대 25%, 중소기업은 최대 35%의 투자세액공제 혜택
본문
반도체 등 국가전략기술 산업의 투자 유도를 위한 투자 세액공제 확대법이 22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전체회의를 통과했다.
22일 기재위는 국회에서 전체회의를 열고 국가전략기술의 시설 투자에 대해 세액공제 혜택을 확대하는 내용의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의결했다. 이에 따라 국가전략기술로 지정된 분야에서 기업이 설비투자를 할 경우 대기업·중견기업은 8%에서 15%로, 중소기업은 16%에서 25%로 각각 상향된 세액공제율을 적용받을 수 있게 됐다.
회의에서는 직전 3년간 연평균 투자금액 대비 증가한 투자분에 대해 올해에 한해 10%의 공제를 추가로 받을 수 있는 임시투자세액공제도 의결됐다. 국가전략기술 공제 혜택을 포함하면 대기업은 최대 25%, 중소기업은 최대 35%의 투자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설비투자에 대한 세액공제 혜택을 대폭 확대하면서 세수 감소액은 기존 정부 예상보다 대폭 늘어날 수밖에 없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세액공제 확대에 따른 내년 세수 감소액을 3조3000억원으로 추산했지만 이 규모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두산로보틱스가 개발한 카메라 로봇과 로봇 팔이 국민보고대회에서 눈길을 끌었다. 카메라 로봇은 중계 카메라를 통해 행사 중계를 도와주었고, 로봇 팔은 발표자가 무대에 오를 때 큐카드를 전달하는 모습을 연출했다. 협동로봇 H시리즈로 제작된 카메라 로봇은 최대 25kg 물건 운반이 가능하며, 로봇 팔은 협동로봇 M시리즈로 안전성을 강화해 외부 충격에도 급제동이 가능하다. 행사장에서 가장 인기를 끈 로봇은 닥터프레소(협동로봇 A시리즈)로 커피를 제조해 참석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또한 현대트랜시스가 개발한 미래 모빌리티용 콘셉트 시트도 공개되었다. 이밖에 삼성전자의 '더월 올인원(The Wall All-in-One)' 스크린도 설치돼 참석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수치및이슈
1. 카메라 로봇은 두산로보틱스의 협동로봇 H시리즈로 최대 25㎏ 물건 운반이 가능
2. 모든 회전축에 힘 센서를 내장해 0.2뉴턴(20g)에 불과한 외부 충격에도 급제동이 가능한 업계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구현
3. 협동로봇은 기존 산업용 로봇과 달리 안전 펜스 없이 작업자와 함께 일할 수 있을 만큼 안전성이 강화된 게 특징
본문
국민보고대회가 열린 서울 신라호텔 2층 다이너스티홀 무대에 제조공정 자동화의 상징이기도 한 카메라 로봇과 로봇 팔이 등장해 참석자들 눈길을 사로잡았다. 두산그룹 계열사인 두산로보틱스의 카메라 로봇은 로봇에 연결된 중계 카메라를 통해 행사 중계를 도왔고, 로봇 팔은 발표자가 무대에 오를 때 큐카드를 전달하는 모습을 연출했다.
카메라 로봇은 두산로보틱스의 협동로봇 H시리즈로 최대 25㎏ 물건 운반이 가능하다. 전 세계 협동로봇 중 가장 무거운 중량을 옮길 수 있다. 로봇 팔은 협동로봇 M시리즈로 모든 회전축에 힘 센서를 내장해 0.2뉴턴(20g)에 불과한 외부 충격에도 급제동이 가능한 업계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구현했다.
협동로봇은 기존 산업용 로봇과 달리 안전 펜스 없이 작업자와 함께 일할 수 있을 만큼 안전성이 강화된 게 특징이다. 특히 안전한 협업을 보장하는 충돌 감지력은 업계 최고 수준을 자랑한다. 각 축에 탑재된 고성능 센서를 통해 사람의 손재주가 필요한 섬세한 작업도 가능하다.
행사장에서 가장 인기를 끈 로봇은 커피 제조로봇인 '닥터프레소(협동로봇 A시리즈)'였다. 참석자들은 로봇 팔로 컵을 옮기고 커피를 담는 모습을 보며, 아메리카노를 주문하기 위해 줄을 서기도 했다.
닥터프레소 옆에는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사인 현대트랜시스가 제작한 미래 모빌리티용 콘셉트 시트가 국민보고대회를 통해 국내 최초로 공개돼 참석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현대트랜시스의 좌석 시트는 운전 부담이 줄어들고 '카인포테인먼트(자동차에서 음악·동영상·게임 등을 무선으로 즐기는 것)'가 늘어날 자율주행차와 각종 목적기반차량(PBV)시장을 겨냥한 제품이다. 친환경 가죽과 가공 방법을 적용하고 남은 가죽을 재활용했다.
이밖에 행사장 입구 옆에는 현존하는 디스플레이 중 가장 우수한 화질을 구현하고 모듈러 구조로 설계돼 크기·해상도·형태에 제약이 없는 삼성전자의 '더월 올인원(TheWallAll-in-One)' 스크린이 설치됐다. 16대9 비율, 146인치에 달하는 압도적 크기에 참석자들은 발걸음을 멈추고 한동안 스크린을 응시하지 않을 수 없었다.
엔비디아가 AI 슈퍼컴퓨터 구독 서비스 'DGX'를 출시했다. 이 서비스는 초거대 AI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 장비와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것으로, AI 개발업체들을 유치하기 위한 전략이다. 또한, 엔비디아는 AI 파운데이션 모델 시장에 진출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는 초거대 AI를 구축해 이를 API나 공개 소스로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가리키며, 개발 능력이 부족한 회사들이 자체적으로 직접 초거대 AI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전략이다. 엔비디아는 직접 개발한 자연어 처리 모델과 이미지 생성 모델을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한편, 어도비는 표절 문제가 없는 생성형 AI 서비스 '파이어플라이'를 출시했다.
수치및이슈
1. 엔비디아가 슈퍼컴퓨터를 구독할 수 있는 서비스를 내놓았다
2. 개발 능력이 부족한 회사들이 자체적으로 직접 초거대 AI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전략
3. 오픈AI의 GPT-3.5가 약 1750억개 파라미터를 갖고 있는데, 이보다 최대 3배를 더 제공하겠다는 것
본문
그래픽처리장치(GPU) 강자로 유명한 글로벌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가 슈퍼컴퓨터를 구독할 수 있는 서비스를 내놓았다. 챗GPT를 중심으로 생성형 인공지능(AI) 열풍이 불면서 신규 개발업체들을 끌어들이기 위한 전략으로 분석된다. 또 엔비디아는 개별 기업이AI기술을 필요한 만큼 구축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도 함께 출시했다. 21일(현지시간)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연례 콘퍼런스인'GTC2023'에서AI기업들이 물리적인 컴퓨터 설비 없이도 초거대AI를 구축할 수 있도록 '엔비디아DGX'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른바 슈퍼컴퓨터 구독 서비스다.
그동안AI기업들은 자체 서버를 구축하거나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모델을 개발해왔다. 앞서 챗GPT개발사인 오픈AI는GPT-4에 엔비디아의GPU(A100) 1만개를 활용한 바 있다. 하지만 엔비디아DGX를 활용하면 하드웨어 장비와 일부 소프트웨어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없다는 설명이다. 엔비디아는 이를 위해 3만2000개에 달하는GPU칩, 저장장치, 소프트웨어 등을 묶어서 제공할 예정이다. 가격은 월 3만6999달러부터다.
또 이날 엔비디아는AI파운데이션 모델 시장에 진출한다고 선언했다. 파운데이션 모델이란 초거대AI를 구축해 이를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나 공개 소스로 제공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가리킨다. 개발 능력이 부족한 회사들이 자체적으로 직접 초거대 AI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전략이다.
이를 위해 엔비디아는 직접 개발한 자연어 처리 모델인 니모와 이미지 생성 모델인 피카소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AI파라미터도 80억개에서 5300억개까지 필요에 따라 선택해 사용할 수 있다. 파라미터는 인간 두뇌의 시냅스에 해당하는AI구성 요소로. 크면 클수록 연산 속도가 빨라진다. 오픈AI의 GPT-3.5가 약 1750억개 파라미터를 갖고 있는데, 이보다 최대 3배를 더 제공하겠다는 것이다.
한편 이날 어도비는 표절 문제가 없는 생성형AI서비스 '파이어플라이'를 선보였다. 어도비가 보유한 3억3000만개에 달하는 사진, 비디오, 일러스트레이션을 학습했고 공공 도메인 콘텐츠나 무료 저작권 종료 콘텐츠를 사용했다.
카카오모빌리티가 영국 스타트업 스플리트(Splyt)을 인수했다. 스플리트는 각국의 모빌리티 서비스를 연결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이번 인수를 통해 카카오모빌리티는 해외 진출을 더욱 가속화할 예정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스플리트와 함께 '택시 로밍(연동)' 서비스를 운영하며, 이번 인수를 통해 스플리트의 네트워크를 활용해 현지 공급자망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작년을 '글로벌 진출 원년'으로 선언하며, 현재 일본을 비롯한 32개국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라오스에도 현지 전용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이다.
수치및이슈
1. 카카오모빌리티가 영국 기반 스타트업 스플리트(Splyt)를 인수
2. 서로 관련이 없는 모빌리티 앱끼리 데이터 송수신을 연결할 수 있게 중개
3. 스플리트 서비스를 활용하면 특정 지역에서 사업을 키운 앱이 다른 지역의 별도 앱과 연계해 영향력을 키우기 쉽다
본문
카카오모빌리티가 영국 기반 스타트업 스플리트(Splyt)를 인수했다. 각국 모빌리티 서비스의 연결을 지원하는 기반 기술 기업을 품고 해외 사업을 본격화하겠다는 구상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스플리트를 인수해 해외 직접 진출 가속화에 나선다고 22일 밝혔다. 2017년 카카오에서 분사한 카카오모빌리티가 해외 기업을 사들인 첫 번째 사례다. 양사는 인수가액과 지분율 등 인수 조건은 공개하지 않았다. 스플리트는 앞서 소프트뱅크, 그랩 등으로부터 초기 투자를 받았다.
스플리트는 모빌리티 분야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기업이다. 서로 관련이 없는 모빌리티 앱끼리 데이터 송수신을 연결할 수 있게 중개한다. 이를 통하면 이용자가 일일이 개별 앱을 내려받지 않아도 한 개 앱으로 다른 서비스를 쓸 수 있다. 베트남에서 ‘카카오T’앱으로 현지 앱 ‘그랩’의 택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식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2019년 스플리트와 함께 이 같은 ‘택시 로밍(연동)’ 서비스를 운영했다.
스플리트 서비스를 활용하면 특정 지역에서 사업을 키운 앱이 다른 지역의 별도 앱과 연계해 영향력을 키우기 쉽다. 우버, 그랩, 캐비파이, 카림, 트립닷컴, 부킹닷컴, 알리페이, 위챗, 바이낸스 등이 스플리트를 쓴다. 카카오모빌리티에 따르면 스플리트가 파트너십을 통해 연결한 앱 서비스 이용자는 150여 개국에 걸쳐 20억 명에 달한다. 이 네트워크를 활용하면 현지 공급자망을 어렵지 않게 확보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작년을 ‘글로벌 진출 원년’으로 선언하고 해외 시장 진출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일본을 비롯한 32개국에서 서비스하고 있다. 일부는 중개 플랫폼을 통한 로밍 방식을, 일부는 현지 직접 진출 방식을 통해서다. 작년엔 괌에 카카오T 기술 인프라를 적용했다. 연내 라오스에 현지 전용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번 인수로 스플리트는 카카오모빌리티 산하에 편입된다. 스플리트 주요 경영진을 비롯해 직원 30여 명이 카카오모빌리티에 합류한다.
한국의 코오롱그룹은 자사 계열사인 코오롱데크컴퍼지트의 부품이 탑재된 민간 시험발사체 "한빛-TLV"의 발사에 성공하였다. 코오롱은 이노스페이스의 지분 17.7%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노스페이스와 계열사인 코오롱글로텍과 코오롱인베스트먼트는 전략적 투자와 재무적 투자로 참여하고 있다. 코오롱그룹은 이번 발사를 발판으로 국내 우주개발 분야에 대한 투자를 늘려 우주산업 분야에서 성장해 나갈 계획이다.
수치및이슈
1. 코오롱그룹은 국내 최초의 민간 시험발사체 발사에 성공한 이노스페이스의 지분 17.7%를 보유하고 있는 데다 발사체에 초경량·고내열성 복합 소재·부품을 대거 납품한 것으로 뒤늦게 밝혀져
2. 코오롱글로텍과 코오롱인베스트먼트는 우주발사체 스타트업인 이노스페이스에 전략적투자자(SI)와 재무적투자자(FI)로 각각 참여 중
본문
코오롱그룹의 우주산업 투자가 첫 결실을 맺었다. 코오롱그룹은 국내 최초의 민간 시험발사체 ‘한빛-TLV’ 발사에 성공한 이노스페이스의 지분 17.7%를 보유하고 있는 데다 발사체에 초경량·고내열성 복합 소재·부품을 대거 납품한 것으로 뒤늦게 밝혀졌다.
코오롱은 지난 21일 브라질 우주센터에서 쏜 한빛-TLV에 계열사인 코오롱데크컴퍼지트의 주요 부품이 다수 들어갔다고 22일 발표했다. 발사체에 탑재된 코오롱데크컴퍼지트의 부품은 고압의 헬륨가스와 질소가스를 저장하는 가압탱크를 비롯해 △하이브리드 추진제를 저장하고 고온·고압의 연소 과정을 담당하는 복합재 연소관 챔버 △연소가스를 운동에너지로 전환해 추력을 발생시키는 복합재 노즐 조립체 △발사체 상부에 싣는 위성 등의 탑재체를 안전하게 보호하는 고강성 구조의 노즈콘 페어링 등이다. 모두 가벼우면서도 열에 매우 강한 복합 소재로, 발사체가 우주궤도에 정상적으로 안착할 수 있게 하는 핵심 부품이다.
이와 함께 코오롱의 계열사인 코오롱글로텍과 코오롱인베스트먼트는 우주발사체 스타트업인 이노스페이스에 전략적투자자(SI)와 재무적투자자(FI)로 각각 참여 중이다. 코오롱인베스트먼트는 2019년 10억원을 처음 투자한 데 이어 이듬해 10억원을 추가로 투자했고, 2021년엔 코오롱글로텍이 60억원을 넣었다. 그해 코오롱인베스트먼트는 28억원을 추가 투자했다. 이에 따라 코오롱그룹은 이노스페이스 지분 17.7%를 보유 중이다.
코오롱은 이번 소형 발사체의 성공적인 발사를 발판 삼아 민간 우주산업에서의 영역을 본격 확장할 계획이다. 위성, 관제, 통신 등 국내 우주개발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를 검토하며 사업 분야를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코오롱 관계자는 “국가 주도로 진행된 우주개발 영역에 민간이 진입하면서 우주산업이 빠르게 성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전기차(EV) 제조사 비야디(BYD)는 중국 정부의 전기차 보조금 중단 결정으로 전기차 판매가 감소하면서 공장 가동을 줄였다. 비야디(BYD)는 시안 공장을 주 4일 근무제 8시간 근무로 전환하고 센젠 공장을 2교대로 전환했다. 이번 생산량 감소는 BYD가 지난해 하이브리드를 포함해 186만 대의 전기차를 판매해 테슬라(131만 대)를 넘어 세계 최대 전기차 메이커로 떠오른 데 따른 것이다. 그러나 1~2월 하루 생산량은 5749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 감소했다.
수치및이슈
1. 중국 정부가 전기차 보조금을 중단하면서 자동차 판매량이 급격히 줄어
2. 올해 1∼2월 하루평균 생산량은 5749대로 작년 10∼11월 대비 22% 줄어
3. 올 들어 지난 12일까지 중국 내 누적 승용차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
본문
세계 최대 전기차 업체로 올라선 비야디(比亞迪·BYD)가 공장 조업을 단축했다. 중국 정부가 전기차 보조금을 중단하면서 자동차 판매량이 급격히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로이터통신은BYD가 최근 최대 공장인 시안 공장의 근무 체제를 주 4일 근무제로 전환하고 하루 여덟 시간만 근무하도록 했다고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선전 공장도 하루 3교대에서 2교대로 바꿨다.BYD측은 조업 단축에 대해 답하지 않았다.
중국 동영상 플랫폼 더우인 등에는 출고가 안 돼 먼지가 쌓인 채 주차장에 있는BYD자동차의 영상도 올라왔다.BYD는 지난해 186만 대의 전기차(하이브리드차 포함)를 판매해 테슬라(131만 대)를 제치고 세계 1위 전기차 업체로 올라섰다. 하지만 올해 1∼2월 하루평균 생산량은 5749대로 작년 10∼11월 대비 22% 줄어들었다.
생산 감소는 중국 당국이 신에너지차(전기차·하이브리드차·수소차) 육성을 위해 지원하던 보조금을 작년 말 중단한 데 따른 후폭풍으로 분석된다. 지방정부가 별도의 보조금을 주고 있지만 효과는 제한적이다. 중국 자동차유통협회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12일까지 중국 내 누적 승용차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했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AI 관련 서비스와 제품을 출시하여 AI 시대 주도권을 차지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어도비 등이 하루 만에 AI 서비스와 제품을 공개했다. 구글은 미국과 영국 일부 이용자를 대상으로 AI 챗봇 '바드'를 출시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어도비는 AI를 기반으로 한 이미지 생성 서비스를 소개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GPT-4를 클라우드 서비스 '애저 오픈AI 서비스'에 추가했다. 어도비는 사용자 입력 텍스트를 기반으로 새로운 이미지와 아트워크를 만드는 AI 툴 '파이어플라이' 베타 버전을 출시했다. 이 때 어도비는 다른 브랜드의 지적 재산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했다.
수치및이슈
1. 미국이 이란과 튀르키예의 기관 및 개인에게 추가 제재를 가해, 유럽산 드론 엔진 등 각종 군사장비를 이란으로 넘긴 혐의
2. 제재 대상에는 이란 국방기술과학연구센터(DTSRC)와 이곳에서 통상 관리자 및 조달 요원으로 근무한 아마날라 파이다르, 파이다르가 설립한 주식회사 파라잔산업엔지니어링, 튀르키예 국적의 무라트 부키 등이 포함
본문
미국이 이란과 튀르키예의 기관 및 개인에게 추가 제재를 가했다. 유럽산 드론 엔진 등 각종 군사장비를 이란으로 넘긴 혐의다.
미 재무부는 21일(현지시간) “이란 국방·병참부를 대신해 군사장비 조달망을 가동하고 있는 이란과 튀르키예의 기관 네 곳과 개인 세 명을 제재 대상에 추가한다”고 발표했다.
브라이언 넬슨 미 재무부 테러·금융정보차관은 이날 성명에서 “이란이 무인항공기(UAV)와 재래식 무기를 주변국에 퍼뜨리고 있다는 점은 이미 충분히 입증됐다”며 “이로 인해 지역 안보와 세계 안정이 계속해서 훼손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제재 대상에는 이란 국방기술과학연구센터(DTSRC)와 이곳에서 통상 관리자 및 조달 요원으로 근무한 아마날라 파이다르, 파이다르가 설립한 주식회사 파라잔산업엔지니어링, 튀르키예 국적의 무라트 부키 등이 포함됐다. 미 재무부는 부키가 화생방 탐지장치 등 군사장비를 이란에 들인 것으로 보고 있다.
미 워싱턴DC연방법원은 이날 공개한 공소장에서 “이들은 2005년부터 2013년까지 미국으로 건너와 연료전지의 효능과 위력을 시험할 수 있는 장치를 튀르키예를 통해 (이란으로) 운송했다”며 “대량살상무기(WMD) 연구 및 실사용에 활용할 수 있는 생물학적 탐지장치도 얻으려 했다”고 적시했다.
로이터통신은 “이번 조치는 이란UAV산업을 겨냥한 미 정부의 최신 행보”라고 평가했다. 미 당국은 이란 기업에 항공우주 부품을 수출한 혐의로 중국 소재 기업에 제재를 가한 바 있다. 중국 측의 부품을 받은 이란 기업이 생산한 드론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로 수출됐다는 게 미 정부의 판단이다.
애플이 아이폰 15 시리즈에 USB-C 타입 충전 포트를 도입하더라도 인증되지 않은 케이블 및 기타 액세서리의 속도를 제한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TF Securities의 Apple 분석가인 Gu Mingqi에 따르면 Apple의 자체 20W 전원 어댑터를 포함하여 MFi 인증 USB-C 충전기만이 더 빠른 충전 속도를 지원할 것이라고 합니다. 최근 유럽연합(EU)은 내년부터 27개 회원국이 스마트폰 충전 포트를 USB-C로 표준화할 것이라고 발표한 바 있어 애플은 아이폰 15 시리즈에 새로운 유형을 채택해 삼성 갤럭시S 시리즈 충전기 등 다른 기기와의 호환성을 확보할 것으로 보인다. . 하지만 애플은 MFi 인증 시스템을 통해 충전속도를 차별화할 가능성이 높다. 결과적으로 MFi 인증 케이블 및 충전기만이 더 빠른 충전 및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합니다. Gu Mingqi에 따르면 Apple의 USB-C 20W 전원 어댑터 출하량은 올해 3040% 증가한 2억 3000만2억 4000만 개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수치 및 이슈
1. 애플이 아이폰15 시리즈에서 자체 20W 전원 어댑터를 포함해 MFi 인증 USB-C 충전기를 사용할 경우에만 더 빠른 충전 속도를 지원할 것
2. 올 가을 출시하는 아이폰15부터 USB-C 타입을 적용할 것으로 예상
3. 올해 애플의 USB-C 20W 파워 어댑터 출하량이 전년 대비 30~40% 증가한 2억3000만~2억4000만대가 예상
본문
애플이 차세대 스마트폰 아이폰15 시리즈 충전단자에USB-C타입을 도입하더라도 자사 인증을 안 받은 케이블 등에는 속도 제한을 둘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1일(현지시간) 애플 전문매체 맥루머스에 따르면 애플 분석 전문가인 궈밍치TF증권 애널리스트는 애플이 아이폰15 시리즈에서 자체 20W 전원 어댑터를 포함해 MFi 인증 USB-C 충전기를 사용할 경우에만 더 빠른 충전 속도를 지원할 것으로 예측했다.
앞서 최근 유럽연합(EU) 27개 회원국은 내년부터 스마트폰 충전단자를USB-C타입으로 통일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애플은 올 가을 출시하는 아이폰15부터 USB-C 타입을 적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라이트닝 충전’ 방식만 고수해왔던 애플이 주로 안드로이드용 기기 충전기에 도입됐던USB-C타입을 탑재하는 것이다. 이 경우 경쟁사인 삼성전자 갤럭시S 시리즈 충전기 등과 호환이 가능하다.
다만 애플은MFi인증을 통해 속도에 차별화를 두는 전략을 도입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의MFi인증은 아이폰, 아이팟, 아이패드에 쓸 수 있는 최적기기를 선별하는 인증 제도로, 제품 검증과 공장 실사 등의 절차를 거친다.MFi인증을 받으려면 애플에 별도의 라이센스 비용을 지불해야 해 애플 입장에서는MFi인증 프로그램이 또 다른 수입원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애플은MFi인증을 받은 케이블과 충전기에서만 더 빠른 충전과 데이터 이동 속도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그동안 독자적인 라이트닝 케이블로 재미를 본 애플이 이제는MFi인증을 통해 새로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셈이다.
궈밍치 애널리스트는 “올해 애플의 USB-C 20W 파워 어댑터 출하량이 전년 대비 30~40% 증가한 2억3000만~2억4000만대가 예상된다”고 전했다.
한국베리타스에 따르면 기업의 94%가 멀티클라우드 전략을 채택했지만 클라우드 서비스 간 통합이 미흡하고 초기 추정치를 20% 이상 초과하는 비용 등 예상치 못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Veritas는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 자동화된 데이터 관리를 제공하는 플랫폼인 Alta를 도입했습니다. 이 플랫폼은 향상된 가시성과 분석, 보안, 데이터 보호, 규정 준수 및 거버넌스를 제공합니다. Veritas는 또한 솔루션을 통해 운영 효율성을 개선하고 비용을 절감한 고객들의 성공 사례를 선보였습니다. 이 회사는 특히 더 많은 회사가 SCM 및 ERP를 클라우드로 마이그레이션함에 따라 클라우드 데이터 관리의 성장 기회를 보고 있습니다.
수치및이슈
1. 현재 94%의 기업이 멀티 클라우드 전략을 채택, 평균 3곳 이상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
2. 각각의 클라우드 서비스끼리 통합되지 못해 운영 효율성이 떨어지고, 초기 예상 비용보다 20% 이상 비싸지는 경우도 80% 정도
3. 베리타스는 알타가 제공하는 영역을 크게 데이터 보호와 애플리케이션(앱) 레질리언시(복원력), 데이터 컴플라이언스 및 거버넌스 등으로 구분
본문
[디지털데일리 이종현기자] “현재 94%의 기업이 멀티 클라우드 전략을 채택한 것으로 파악된다. 평균 3곳 이상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 중이다. 그러나 실제 클라우드로 전환하는 기업들은 예상치 못한 여러 문제를 겪고 있다. 각각의 클라우드 서비스끼리 통합되지 못해 운영 효율성이 떨어지고, 초기 예상 비용보다 20% 이상 비싸지는 경우도 80% 정도 된다. 베리타스는 비용과 리스크를 줄이고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이상훈 베리타스 코리아 지사장)
21일 베리타스 코리아는 서울 송파구 사무실에서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 제기되는 기업 데이터 관리에 대한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소개했다.
베리타스는 데이터 보호 및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이다. 백업 솔루션 ‘넷백업’, 애플리케이션(앱) 레질리언시(복원력)을 제공하는 고가용성(HA) 솔루션 ‘인포스케일’ 등이 대표 제품이다. 랜섬웨어나 각종 재난재해 등 만약의 사태에도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날 행사는 베리타스가 최근 발표한 플랫폼 ‘알타(Alta)’를 소개하는 데 주안점을 뒀다. 알타는 멀티 클라우드 환경 전반에 걸쳐 새로운 워크로드에 대해 자동으로 감지하고 프로비저닝하는 ‘자율 데이터 관리’라는 베리타스의 비전 달성을 위한 클라우드 데이터 관리 플랫폼이다.
베리타스 조사에 따르면 전체 94%의 기업들은 멀티 클라우드를 채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현 베리타스 코리아 전무는 “민첩성의 향상, 관리면의 운영 효율성, 서비스 가용성, 비용 절감 등이 기업들이 멀티 클라우드를 채택하는 이유”라며 “그러나 클라우드 관리를 위해 많은 툴을 사용해야 하는 데다 부족한 가시성으로 데이터 및 워크로드에 대한 제어권 상실 등 여러 문제가 산적해 있다”고 꼬집었다.
김 전무는 알타가 클라우드 환경 전반에 대한 가시성과 분석, 보안을 제공함으로써 각종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넷백업, 인포스케일 등 베리타스가 제공해온 플랫폼들이 알타로 묶여서 제공된다.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기업들이 관리해주지 않는, 스스로 책임져야 할 데이터 영역에 대한 보호 기능을 특장점으로 내세운다.
그는 “베리타스가 제시하는 자율 데이터 관리는 관리자가 신경쓰지 않아도 자율적으로 데이터가 관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클라우드에 최적화해 데이터 보호, 백업 등까지 자율적으로 수행되도록 한다. 패치도 셀프 업데이트되도록 한다. 클라우드 데이터 관리 전 영역을 아우른다고 할 수 있다”고 전했다.
베리타스는 알타가 제공하는 영역을 크게 데이터 보호와 애플리케이션(앱) 레질리언시(복원력), 데이터 컴플라이언스 및 거버넌스 등으로 구분한다. 넷백업 등 솔루션과 연계함으로써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전반을 아우르는 통합 가시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앱 레질리언시의 경우 ‘인포스케일’이 핵심이 된다. 인포스케일은 특정 서버의 가동이 중단될 경우 다른 곳에 있는 서버가 해당 작업을 이어받아 중단 없이 서비스를 지속할 수 있도록 한다. 작년 경기도 성남시 판교SKC&C데이터센터 화재로 카카오의 서비스 대부분에서 장애가 발생함에 따라 주목받은 솔루션이다.
베리타스는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최적화된 관리 및 보호 전략을 실행한 성공 사례로 명지대학교 사례를 소개했다. 명지대학교는 올인원 백업 어플라이언스인 ‘넷백업 어플라이언스’ 및 ‘리커버리 볼트’를 도입해 클라우드 오브젝트 스토리지에서 수행하던 백업 시간을 단축하고 스토리지 공간 운영 효율성을 높였다.
이상훈 베리타스 코리아 지사장은 “최근 베리타스의 가장 큰 성장 모멘텀은 클라우드다. 공급망관리(SCM), 전사적자원관리(ERP) 등도 클라우드로 마이그레이션하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CSP)이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데이터 관리나 가용성은 온프레미스 수준에 이르지 못했고 특히 집중하고 있지도 않는 듯하다. 베리타스에게 여러 기회가 만들어지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MPS 제공업체인 Synergyse가 한국의 향상된 데이터 관리 기회를 활용하여 한국 클라우드 시장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Synergyse는 Google Cloud Platform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페타바이트 데이터의 자동화된 수집, 통합, 관리 및 제어를 위한 'BigQuery'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이 회사는 한국의 유통, 공공 및 핀테크 부문을 목표로 합니다. Synergyse는 13년 이상 Google Cloud 파트너였으며 지난 5년 동안 Google Cloud MSP 파트너로 인정받았습니다. 이 회사는 4,000명 이상의 글로벌 고객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 세계 19개 지역에 지사를 두고 있으며 한국은 싱가포르와 인도네시아에 이어 세 번째 아시아 태평양 지역입니다. 시너지스는 한국을 기반으로 일본, 중국 등 주변국으로 시장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 회사는 맞춤형 클라우드 컨설팅 서비스, Google이 인정한 글로벌 파트너십 및 데이터 서비스로 유명하여 시장에서 독보적인 플레이어입니다. Synergyse는 AirAsia를 위한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프로젝트를 완료하여 최소한의 인력으로 데이터 비용을 50% 절감하고 보조 서비스 수요를 예측 분석했습니다. 3년 안에 국내 최대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 MSP 파트너가 될 계획이다.
수치및이슈
1. 시어스의 전세계 고객은 4000개 이상이며, 본사 소재지인 미국 휴스톤을 비롯해 전 세계 19개 지역에 글로벌 오피스를 두고 있다
2. 아태지역의 진출은 싱가포르와 인도네시아에 이어 한국이 세 번째
3. 에어아시아는 데이터 비용 50% 절감 효과를 봤다.
4. 최소한의 인력 투입으로 수하물, 좌석, 식사 등 부가 서비스 수요를 선제적으로 예측하는 것이 가능
본문
【서울=뉴시스】송혜리 기자 = "구글 최고의 파트너, 데이터 강점으로 국내 클라우드 시장 판도를 바꾸겠습니다."
글로벌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 사업자(MPS) 시어스가 국내 시장에 진출한다. 한국 클라우드 시장은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데이터 처리 영역 고도화가 더딘 것에서 기회를 봤다.
시어스는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과 파트너십을 통해 페타바이트급 대규모 데이터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데이터를 통합·관리·제어하는 '빅쿼리'를 제공한다. 주요 공략 분야는 유통·공공·금융(핀테크) 등이다.
21일 시어스는 서울 삼성동 코엑스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한국 지사 설립을 통해 국내 클라우드 시장 진출을 본격화 한다고 밝혔다.
조한정 시어스코리아 지사장은 "시어스는 데이터와 인공지능(AI)에 강점을 가진 기업으로 지금까지 충분히 관리되지 못했던 데이터 관련 비즈니스 영역에서 시어스의 기술력이 상당히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시어스가 한국 시장에 진출함에 따라AWS에 편중된 국내 클라우드 시장에도 상당한 변화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3년 내 국내 상위 3위 클라우드 컨설팅 서비스 회사, 국내 최대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 기반MSP파트너가 되겠다"고 말했다.
구글과 13년 간 호흡…데이터·AI분야 강점
2004년 설립된 시어스는AI및 데이터 분석에 특화된 클라우드 컨설팅 전문회사다. 13년 이상 구글 클라우드 파트너로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해왔으며,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 연속 '구글 올해의 파트너'로 선정되는 등 세계 3위,APAC1위의 구글MSP파트너다.
시어스의 전세계 고객은 4000개 이상이며, 본사 소재지인 미국 휴스톤을 비롯해 전 세계 19개 지역에 글로벌 오피스를 두고 있다. 아태지역의 진출은 싱가포르와 인도네시아에 이어 한국이 세 번째다. 시어스는 한국 지사 설립과 더불어 북아시아지역 본부 역시 한국에 두고, 한국을 거점으로 일본, 중국 등 다른 주변 국가들로도 시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시어스는 ▲밴더와 시스템통합(SI)역량을 기반으로 맞춤형 구축이 가능한 클라우드 컨설팅 서비스 ▲구글이 인정한 글로벌 파트너 ▲데이터 서비스 부문에서 부동의 1위 구글 파트너라는 세 가지 강점을 내세운다.
국내 비즈니스와 영업 활동 전반을 총괄할 시어스코리아의 신임 지사장으로는VM웨어, 오토메이션 애니웨어, 마이크로포커스 등IT업계에서 20여년의 경력을 갖고 있는 조한정 지사장이 선임됐다.
지난 3년간 아태지역 총괄로 시어스의 아태지역 사업 확장에 집중해 온 정민영 대표가 이번엔 동북아 지역을 총괄할 지역본부 대표로 선임됐다. 정민영 대표는 한국IDC, 체크포인트, 데이터다이렉트네트웍스, 퀀텀 등의IT기업 한국 지사장을 역임한 바 있다.
정민영 시어스 동북아지역본부 대표는 "시어스는 클라우드 리셀도 담당하나, 클라우드 도입 초기부터 '네이티브'가 되기까지 디지털전환(DX)여정 전 단계를 지원한다"면서 "시어스는 니치마켓 플레이어로, 리셀러는 물론 글로벌컨설팅 모두 충족시켜줄 수 있는 사업자"라고 말했다.
정민영 시어스 동북아지역본부 대표가 서울 삼성동 코엑스인터콘티넨탈 호텔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재판매 및DB금지
에어아시아 클라우드 전환 프로젝트 진행 중…데이터 비용 50% 절감
시어스는 에어아시아의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이전) 프로젝트를 완료했다.
에어아시아는 말레이시아 국적의 아시아 최대 저가항공사(LCC)다. 2001년 취항 이후 말레이시아,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인도 등을 기점으로 222개 이상 노선에서 운항 중이다. 에어아시아는 지난 2016년 '데이터 중심 기업'으로 전환을 선포하고, 온프레미스(내부 구축형)인프라와 수동으로 운영하던 데이터 추출 방식을 변경하기 위해 시어스와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를 통해 에어아시아는 데이터 비용 50% 절감 효과를 봤다. 아울러 최소한의 인력 투입으로 수하물, 좌석, 식사 등 부가 서비스 수요를 선제적으로 예측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정민영 대표는 "에어아시아는 고객 데이터 활용을 위해 직원들이 직접 데이터를 수기로 입력하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던 상황이었다"면서 "해당 사례는 구글 클라우드를 통해 어떻게 근본적인 디지털 혁신을 이뤄냈는지 보여준다"고 말했다.
조한정 지사장은 "대한민국에서 구글 클라우드 프로젝트 업력은 시어스를 따라올 수 없을 것"이라며 "프로젝트 노하우를 메뉴얼화, 모듈화했기 때문에 엔지니어가 퇴사하더라도 이의 노하우는 고스란히 새로운 프로젝트에 적용된다"고 말했다.
대한민국 경기도는 장애인을 위한 행정 서비스 및 발달 예술 교육에 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의 사용을 통합할 계획입니다. 도는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해 5000억원 규모의 GPT펀드도 조성한다. 경기도는 GPT를 활용해 행정 효율성을 높이고 산업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GPT 사업을 3월 21일 발표했다. 주정부는 입법 연구, 아이디어 개발 및 행정 혁신에 GPT를 사용하는 방법을 체계적으로 탐색하기 위해 태스크 포스를 구성할 것입니다. 도는 AI를 활용해 장애가 있는 개인에게 예술 교육을 제공하고 작품을 전시하는 'GPT 시민창작단'을 발족할 계획이다. 인공지능 산업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모색하기 위해 'GPT 산학협력협의회'를 구성한다. 도는 GPT 기반 스타트업과 빅데이터 벤처를 지원하기 위해 5000억원 규모의 펀드도 조성한다. 도는 행정분야에서도 KT와 협업해 AI 콜센터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수치및이슈
1. AI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500억원 규모의 ‘GPT펀드’도 조성할 계획
2. GPT를 활용해 행정을 효율화하고, 산업 기회를 확대
본문
경기도가 생성형 인공지능(AI)GPT를 도정에 접목한다.AI콜센터 같은 행정서비스를 만들고, 발달장애인 예술 교육에도GPT를 활용하기로 했다.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한 500억원 규모의 ‘GPT펀드’도 조성할 계획이다.
경기도는 21일 이런 내용을 담은 ‘경기지피티(GPT) 추진 계획’을 발표했다. 이달 말까지 전담기구를 만들어 입법 연구, 아이디어 발굴, 행정 혁신 등GPT를 체계적으로 활용할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GPT를 활용해 행정을 효율화하고, 산업 기회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오병권 행정1부지사를 단장으로 하는 전담조직(TF)을 구성하기로 했다.
당장 발달장애인 15명을 대상으로AI를 활용해 예술 교육을 하고 그 결과물을 전시하는 ‘지피티 도민창작단’을 운영한다.AI산업에 필요한 정책적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GPT산학연관협의체’도 별도로 발족한다. 도내 생성형AI기업과 빅데이터 벤처에 자금을 지원하는 500억원 규모의 펀드도 하반기에 조성하기로 했다. 행정 분야에서 경기도는KT와 힘을 합쳐AI콜센터 도입을 연구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디케이메디칼솔루션이 수입 허가를 신청한 치료용 입자선 조사장치를 국내 첫 번째 ‘탄소이온 중입자치료기’로 허가했다고 밝혔습니다. 탄소이온 중입자치료기는 탄소이온을 가속해 생성된 고에너지 빔을 암세포에 쪼여 정상 조직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암세포만 파괴하는 암 치료 의료기기로, 고형암 치료에 쓰이도록 허가되었습니다. 기존 양성자치료기보다 무거운 탄소이온을 가속해 암세포에 쪼여 파괴력이 더 큽니다. 이 치료기는 탄소이온을 가속하는 중입자가속기와 중입자를 환자에게 적용하는 치료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브란스병원 중입자치료기 전용 건물에 설치되었습니다. 병원 측은 보건복지부 고시 등 관련 절차를 거쳐 최대한 빨리 치료를 시작한다는 계획입니다. 오유경 식약처장은 “난치성 암 환자에게 새로운 치료 기회를 주고 의료진에게 추가 수단을 제공하게 돼 국내 암 치료에 새로운 길을 열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수치및이슈
1. 치료용 입자선 조사장치를 국내 첫 번째 ‘탄소이온 중입자치료기’로 허가했다
2. 고형암 치료에 쓰도록 허가
3. 기존 양성자치료기보다 무거운 탄소이온을 가속해 암세포에 쪼여 파괴력이 더 크다
본문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디케이메디칼솔루션이 수입 허가를 신청한 치료용 입자선 조사장치를 국내 첫 번째 ‘탄소이온 중입자치료기’로 허가했다고 21일 밝혔다.
중입자치료기는 탄소이온을 가속해 생성된 고에너지 빔을 암세포에 쪼여 정상 조직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암세포만 파괴하는 암 치료 의료기기로, 고형암 치료에 쓰도록 허가됐다. 기존 양성자치료기보다 무거운 탄소이온을 가속해 암세포에 쪼여 파괴력이 더 크다.
중입자치료기는 탄소이온을 가속하는 중입자가속기와 중입자를 환자에게 적용하는 치료실로 구성됐으며, 세브란스병원 중입자치료기 전용건물에 설치됐다. 병원 측은 보건복지부 고시 등 관련 절차를 거쳐 최대한 빨리 치료를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오유경 식약처장은 “난치성 암 환자에게 새로운 치료 기회를 주고 의료진에게 추가 수단을 제공하게 돼 국내 암 치료에 새로운 길을 열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오픈AI의 CEO인 샘 올트먼은 AI 기술이 앞으로 대선, 허위 정보 확산 등에 미칠 악영향을 우려하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과 러시아 등 권위주의 국가에서 AI 기술이 개발될 가능성도 우려했다. 또한 AI로 인해 일자리가 사라질 가능성도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AI 기술을 발판 삼아 더 나은 일자리가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수치및이슈
1. 모델(챗GPT)이 대규모 허위 정보에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이 특히 우려
2. AI 기술은 컴퓨터 코드를 익히기 시작했기 때문에 사이버 공격에도 사용될 수 있다
본문
글로벌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인공지능(AI) 챗봇 챗GPT개발사인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가AI기술이 앞으로 사회에 미칠 영향을 우려했다.
20일(현지시간) 미국ABC방송에 따르면 올트먼은 최근 진행된 인터뷰에서 “사람들은 정말 챗GPT를 즐기는 것 같다”면서도 “우리는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하고 약간은 무서워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2024년 미 대선을 앞두고AI기술이 선거, 허위 정보 확산 등에 미칠 악영향을 언급했다. 그는 “이 모델(챗GPT)이 대규모 허위 정보에 이용될 수 있다는 점이 특히 우려된다”며 “이제AI 기술은 컴퓨터 코드를 익히기 시작했기 때문에 사이버 공격에도 사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올트먼은 중국과 러시아 등 권위주의 국가에서AI기술을 개발하는 것도 우려했다. 그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수년 전 “AI기술을 이끄는 사람은 세계의 개발자가 될 것”이라고 말한 것을 언급하며 “오싹하다”고 평가했다. 중국은 챗GPT와 같은AI챗봇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중국 바이두는 지난주 챗GPT의 대항마인AI챗봇 ‘어니봇’을 출시했다.
올트먼은AI로 인해 일자리가 사라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도 인정했다. 다만 그는AI기술을 발판 삼아 더 나은 일자리가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올트먼은 “우리는 (AI를 통해) 훨씬 높은 삶의 질과 생활 수준을 갖출 수 있다”며 “인간의 창의성은 무한하기에 우리는 새로운 일을 찾을 것”이라고 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에게 화이트리스트 복원을 위한 법적 절차에 들어가라고 지시했다. 화이트리스트는 안보에 문제가 없는 국가에 전략 제품을 수출할 때 허가 절차 등을 우대하는 제도다. 한국과 일본은 2019년 8월 서로를 화이트리스트에서 배제하면서 양국 기업은 전략물자 수출입에 어려움을 겪었다. 한·일 정상회담에서 양국은 화이트리스트 복원을 합의하였으나 일본 정부의 소극적인 태도로 복원이 지연되고 있다. 윤 대통령은 반도체 등 첨단산업 분야에서 한·일 기업 간 연계를 통해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고 일본의 기술력 있는 반도체 소부장 업체를 대거 유치해 세계 최고의 반도체 첨단 혁신기지를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LNG 분야도 유망한 협력 분야로 양국이 자원무기화에 공동 대응한다면 에너지 안보와 가격 안정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윤 대통령은 이 밖에도 국내 기업의 일본 시장 진출 확대, 일본 관광객 증가 등의 경제 효과를 기대했다.
수치및이슈
1. 윤석열 대통령은“일본 정부에 대한 화이트리스트(수출관리우대국) 복원을 위해 필요한 법적 절차에 선제적으로 들어가라”고 지시
2. 양국은 기자회견에선 “상호 화이트리스트의 신속한 원상회복을 위해 긴밀한 대화를 이어 나가기로 했다”고 발표
본문
윤석열 대통령은 21일 국무회의에서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에게 “일본 정부에 대한 화이트리스트(수출관리우대국) 복원을 위해 필요한 법적 절차에 선제적으로 들어가라”고 지시했다. 한·일 관계 정상화에 필요한 조치를 선제적으로 풀겠다는 의지가 반영됐다.
화이트리스트는 안보상 문제가 없다고 판단한 국가에 전략 제품을 수출할 때 허가 절차 등을 우대하는 제도다. 한·일이 2019년 8월 각각 상대방 국가를 화이트리스트에서 배제하면서 양국 기업은 전략물자 수출입에 어려움을 겪었다.
양국은 지난 16일 한·일 정상회담에 앞서 ‘화이트리스트 복원’ 합의를 시도했으나, 자국 여론을 우려한 일본 정부가 소극적이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한·일 정상은 기자회견에선 “상호 화이트리스트의 신속한 원상회복을 위해 긴밀한 대화를 이어 나가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화이트리스트 복원을 위해선 양국 정부가 시행령 또는 고시 규정을 바꿔야 한다. 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누가 먼저 나서야 할지 양국 관료가 눈치를 보는 과정에서 윤 대통령이 정치적 결단을 내린 것”이라고 전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한·일 관계 정상화로 기대되는 경제협력 분야에 대해서도 상세하게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우선 반도체 등 첨단산업 분야에서 한국 기업의 뛰어난 제조 기술과 일본 기업의 소재, 부품, 장비(소부장) 경쟁력이 연계돼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양국 기업 간 공급망 협력이 가시화하면 용인에 조성될 예정인 반도체 클러스터에 일본의 기술력 있는 반도체 소부장 업체를 대거 유치해 세계 최고의 반도체 첨단 혁신기지를 조성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LNG분야도 유망 협력 분야로 거론됐다. 윤 대통령은 “한국과 일본은 세계 1, 2위LNG수입국”이라며 “양국이 ‘자원무기화’에 공동 대응한다면 에너지 안보와 가격 안정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윤 대통령은 이 밖에 △건설과 에너지 인프라 등 글로벌 프로젝트 공동 수주 △국내 기업의 일본 시장 진출 확대 △ 일본 관광객 증가 등의 경제 효과를 기대했다.
미국의 보조금을 받는 기업이 중국 내 보유 시설에서 현재 생산 여력 대비 5% 이상 추가 생산할 수 없도록 하는 내용인 가드레일 조항이 공개되어 우리 기업의 불확실성이 해소된 측면이 있다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발언이 나왔다. 그러나 여전히 우리 반도체기업에 대한 미국의 반도체 생산장비 수출규제 1년 유예 조치의 연장 여부가 논점이다. 산업부는 앞으로도 우리 기업에 불이익을 주는 현안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미국을 설득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반도체 이슈를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아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반도체지원법 등 다양한 통상 현안과 관련해 미국과 접촉해왔다.
수치및이슈
1. 미국의 보조금을 받는 기업이 중국 내 보유 시설에서 현재 생산 여력 대비 5% 이상 추가 생산할 수 없다
2.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포괄 허가가 연장되지 않는 것 아니냐는 관측
3. 산업부는 우리 반도체기업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통상 현안들이 우리 기업에 불이익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미국을 설득해나갈 계획
본문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 공개된 반도체지원법 가드레일 조항이 우리 기업에 미칠 영향을 평가해 미국과 긴밀한 협의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미국 상무부가 이날 공개한 조항에는 미국의 보조금을 받는 기업이 중국 내 보유 시설에서 현재 생산 여력 대비 5% 이상 추가 생산할 수 없도록 하는 내용이 담겼다.
산업부 관계자는 “그동안 가드레일 조항 세부 내용에 대한 기업들의 우려가 컸는데,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해소된 측면이 있다”며 “앞으로도 미국 측과 소통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그동안 우려가 컸던 반도체지원법 가드레일 조항이 공개되며 기업들이 한숨을 돌리게 됐지만 쟁점은 여전히 남아 있다. 우리 반도체기업에 대한 미국의 반도체 생산장비 수출규제 1년 유예 조치의 연장 여부가 대표적이다. 미국 상무부는 지난해 10월 중국에서 반도체를 생산하는 기업에 미국산 반도체 장비를 수출하지 못하도록 통제한다고 발표했다. 당시 상무부는 삼성전자와SK하이닉스가 중국에 운영 중인 생산시설에는 1년간 포괄 허가하는 방식으로 예외를 두기로 했다.
하지만 최근 앨런 에스테베스 미 상무부 산업안보담당 차관이 수출규제 1년 유예와 관련해 “한국 기업들과 협의하고 있으며 기업들이 생산할 수 있는 반도체 수준에 한도를 둘 가능성이 크다”고 언급하면서 포괄 허가가 연장되지 않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장영진 산업부 1차관은 지난달 기자들과 만나 “미국 쪽도 1년만 (수출규제 조치를 유예해서는) 진행 중인 투자가 어렵다는 부분을 잘 알고 있다”며 “상무부 산업담당 차관이 우려되는 발언을 했지만 연장 허가와는 결이 다른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산업부는 앞으로도 우리 반도체기업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통상 현안들이 우리 기업에 불이익으로 작용하지 않도록 미국을 설득해나갈 계획이다.
산업부는 그동안 대미 반도체 이슈를 총괄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아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과 반도체지원법 등 다양한 통상 현안과 관련해 미국과 접촉해왔다. 지난해 8월 반도체지원법이 공개되자 산업부는 가드레일 조항 등과 관련해 우리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논의에 들어갔다.
경찰은 무인비행장치(드론)를 이용한 실종자 수색 효과를 고려해 드론 거점관서를 34개로 두 배가량 늘린다. 이에 따라 전국 각지에 골고루 설치될 예정이다. 드론 거점관서에서는 인력풀을 구성해 2인 1조로 드론 수색 활동에 나설 예정이다. 이에 대한 우려도 있지만, 경찰은 인력 양성 계획을 강화한다며 전문성을 높일 것이라 밝혔다. 경찰은 2023년 무인비행장치 운용계획을 수립하고 6월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수치및이슈
1. 경찰이 무인비행장치(드론) 거점관서를 기존 17개에서 34개로 두 배가량 확대
2. 대구, 대전, 경기 남부, 경기 북부, 강원, 충청, 경상도 등 전국 각지에 골고루 설치
3. 경찰이 드론 활용을 확대하는 이유는 실종자 수색에 최적의 효과를 내고 있다는 판단에서
4. 지난해에만 487건의 실종자 수색에 드론이 동원돼 36명을 발견하는 성과, 전국적으로 시행되기 시작한 2020년 6월부터는 1210건의 출동 지원에 나서 75명의 실종자를 발견하기도
본문
경찰이 무인비행장치(드론) 거점관서를 기존 17개에서 34개로 두 배가량 확대한다. 실종자 수색에 드론이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인력 양성과 장비 고도화도 병행해 나가기로 했다.
21일 경찰청에 따르면 경찰은 최근 2023년 무인비행장치 운용계획을 수립하고 6월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드론 거점관서를 34개로 늘린다. 기존 17개 관서에서 두 배 늘어난 수치다. 대구, 대전, 경기 남부, 경기 북부, 강원, 충청, 경상도 등 전국 각지에 골고루 설치한다.
경찰이 드론 활용을 확대하는 이유는 실종자 수색에 최적의 효과를 내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지난해에만 487건의 실종자 수색에 드론이 동원돼 36명을 발견하는 성과를 냈다. 전국적으로 시행되기 시작한 2020년 6월부터는 1210건의 출동 지원에 나서 75명의 실종자를 발견하기도 했다. 경찰 관계자는 "실종자 수색 과정에서 '골든타임' 내 성과를 내는 데는 드론이 필수적"이라고 부연했다. 거점관서에서는 실무 담당 1명이 배정된다. 인력풀을 구성해 2인 1조로 드론 수색 활동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이 인력이 기존 업무와 함께 겸직하는 구조여서 전문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대해 경찰청 관계자는 "지난해 기준 인력풀 574명의 드론 교육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SK C&C와 네이버클라우드가 협력해 금융 산업을 비롯한 주요 산업에서 초대규모 AI 서비스를 개발한다. 이를 위해 두 기업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SK C&C의 IT 서비스 경험과 네이버클라우드의 초대규모 AI '하이퍼클로바X'를 결합해 국내 산업에 특화된 AI 서비스를 발굴할 예정이다. 초기에는 금융권의 콜센터 자동화 서비스를 개발하고 이후 다른 산업에도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두 기업은 데이터 분야에서도 B2B 서비스를 개발할 예정이며, 노 코드와 로 코드 솔루션도 함께 만든다.
수치및이슈
1. SKC&C가 네이버클라우드와 협력해 초대규모(Hyperscale) 인공지능(AI)을 활용하는 챗GPT 형태의 서비스 개발에 나서
2. 양사가 우선적으로 공략하는 분야는 금융권의 콜센터
3. 양사는 초대규모 AI를 기반으로 직접적인 코딩 없이도 개발을 가능케 하는 노 코드(NoCode), 로 코드(LowCode) 솔루션을 함께 만든다
본문
SKC&C가 네이버클라우드와 협력해 초대규모(Hyperscale) 인공지능(AI)을 활용하는 챗GPT 형태의 서비스 개발에 나선다. 양사는 금융 부문에 적용되는 콜센터를 시작으로 초대규모AI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는 주요 산업을 공략한다.
SKC&C는 네이버클라우드와 '초대규모AI기반B2B사업 확장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SKC&C가 갖춘 정보기술(IT) 서비스 수행 경험과 디지털 시스템에 네이버클라우드가 보유한 초대규모AI'하이퍼클로바X(HyperCLOVAX)'를 결합해 국내 산업에 특화된 초대규모AI서비스를 발굴한다는 계획이다. 양사가 우선적으로 공략하는 분야는 금융권의 콜센터다. 초대규모AI를 활용한 콜센터 자동화를 시작으로 금융 산업에 특화된AI서비스를 먼저 내놓는다. 금융 부문은 은행, 증권, 카드, 보험사 같은 다양한 업무를 갖추고 있어 금융 산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먼저 개발하면 추후 공공 및 주요 산업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데이터 분야에서도AI를 적용한B2B서비스를 개발한다.SKC&C의 빅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업용 플랫폼인 '아큐인사이트 플러스(AccuInsight+)'와AI엔진 '아큐닷티에이(Accu.TA)' 같은AI데이터 플랫폼에 네이버클라우드의 하이퍼클로바X를 조합해 복합형B2B서비스를 준비한다. 정확한 업무 처리가 중요한 금융사의AI데이터 플랫폼에서 필요한 순간 초대규모AI를 호출·사용할 수 있게 해 각 사의AI데이터 플랫폼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이 밖에 양사는 초대규모 AI를 기반으로 직접적인 코딩 없이도 개발을 가능케 하는 노 코드(NoCode), 로 코드(LowCode) 솔루션을 함께 만든다.SKC&C는 고객사의 초대규모AI활용을 지원하기 위해 '챗GPTBiz개발TF'도 신설한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하이퍼클로바X는 적은 양의 데이터라도 고객이 보유한 데이터와 결합하면 특정 서비스나 기업 등 해당 영역에 최적화된 초대규모AI프로덕트 구축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한화·LIG넥스원, 공장 증설 KAI, 사천공장 투자 '만지작' 풍산, 폴란드 탄약공장 검토
요약
K방산 기업들이 수출 물량이 늘어나면서 생산 능력 확충에 나섰다. 한화시스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등은 올해 5000억원 안팎의 투자를 시작할 예정이다. 한화시스템은 경북 구미에 2000억원을 투자하여 250여 명을 신규 고용하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창원 3사업장 생산라인을 늘리고 인력도 추가 채용한다. LIG넥스원도 구미공장 증설을 시작해 1100억원을 투자하여 첨단 무기체계 시설을 세우겠다는 계획이다. KAI는 수출 물량이 늘어나면서 경남 사천공장 증설을 검토 중이고, 풍산은 폴란드에 탄약공장 건설을 검토 중이다. 방산 기업들은 수출 물량이 늘어나는데 따라 생산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공장 증설과 신규 고용에 투자할 것으로 예상된다.
수치및이슈
1. 방산업계에 따르면 한화시스템·한화에어로스페이스·LIG넥스원 등 주요 방산 업체가 올해 5000억원 안팎의 투자를 시작하는 것으로 집계
본문
쏟아지는 수출 물량에 K방산 기업들이 생산능력 확충에 나섰다. 올해에만 공장 증설과 신규 고용에 수천억 원을 투자할 것이라는 게 방산업계 전망이다.
21일 방산업계에 따르면 한화시스템·한화에어로스페이스·LIG넥스원 등 주요 방산 업체가 올해 5000억원 안팎의 투자를 시작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우선 한화시스템은 2024년까지 경북 구미에 2000억원을 투자한다. 옛 한화의 구미공장 용지(8만9000㎡)로 생산 기반을 확장·이전하고 이곳에서 250여 명을 신규 고용하겠다는 것이다. 한화시스템 관계자는 "중장기 생산 능력을 갖추기 위해 자가 사업장을 확보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도 올해 상반기에 창원 3사업장 생산라인을 늘릴 예정이다. 공장 증설에 맞춰 인력도 추가로 채용한다. 지난해 8월 폴란드와K9자주포 212문 수출 계약을 맺으면서 생산능력 확충에 나섰다는 것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설명이다. 2018년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경남으로 본사를 이전하며 생산설비 확충에 2000억원을 투자한 바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방산 수요 증가에 대응하고 기존 수주 물량을 원활하게 공급하기 위해 생산라인 증설에 나섰다"고 밝혔다.
아랍에미리트(UAE)에 천궁Ⅱ를 수출하는LIG넥스원도 구미공장 증설을 시작했다. 2025년까지 1100억원을 투자해 구미 1·2하우스에 첨단 무기체계 시설을 세우겠다는 계획을 마련했다.LIG넥스원 관계자는 "동유럽과 중동, 남중국해 등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불안한 국제 정세로 K방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생산 역량 제고와 첨단 방위력 개선을 위한 투자에 나섰다"고 말했다.
투자 계획을 검토하고 있는 방산 기업도 적지 않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경남 사천공장 증설을 살펴보고 있다. 최근 말레이시아와FA-5018대를 공급하는 계약을 맺으면서 수출 물량이 늘었기 때문이다.KAI관계자는 "수출 물량이 늘어나는 데다KF-21과 소형무장헬기(LAH) 양산에 대비하고자 공장 증설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있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풍산은 폴란드에 탄약공장을 건설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폴란드 정부가 한국 정부·기업에K9자주포용 곡사포탄,K2전차용 전차탄을 만들 수 있는 탄약공장을 세우는 방안을 제의한 데 따른 것이다.
삼성전자가 UWB(초광대역) 기반 근거리 무선통신 반도체 '엑시노스 커넥트 U100'을 공개했다. 이 제품은 다양한 기기에서 정밀 위치 파악 용도로 활용될 예정이다. UWB 기술을 탑재한 기기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되고, 이 제품은 UWB의 표준을 제정하고 국제 공인 인증을 획득했다. 이를 기반으로 UWB·블루투스·와이파이 기반 반도체를 포괄하는 '엑시노스 커넥트' 브랜드를 론칭하며 근거리 통신 반도체 시장을 선점할 계획이다.
수치및이슈
1. UWB는플래그십 스마트폰부터 가상현실(VR) 기기까지 다양한 기기에서 정밀 위치 파악 용도로 활용될 예정
2. UWB는기기 간 거리와 위치를 수 ㎝ 범위에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스마트 홈과 스마트 팩토리 등 다양한 분야에 쓰인다.
3. 2030년이 되면 전체 스마트폰 중 58%와 차량 중 33%에 UWB 기술이 적용될 전망
본문
삼성전자가 초광대역(UWB) 기반 근거리 무선통신 반도체 '엑시노스 커넥트U100'(사진)을 21일 공개했다. 플래그십 스마트폰부터 가상현실(VR) 기기까지 다양한 기기에서 정밀 위치 파악 용도로 활용될 예정이다.
UWB는 넓은 주파수 대역에 걸쳐 낮은 전력으로 대용량 정보를 빠르게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이다. 기기 간 거리와 위치를 수 ㎝ 범위에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스마트 홈과 스마트 팩토리 등 다양한 분야에 쓰인다.
시장조사 업체 테크노시스템리서치(TSR)는UWB기술을 탑재한 기기가 지난해 3억대에서 2030년까지 18억대 규모로 급증할 것으로 내다봤다. 2030년이 되면 전체 스마트폰 중 58%와 차량 중 33%에 UWB 기술이 적용될 전망이다.
엑시노스 커넥트U100은 동작별 최적화된 전력 모드를 구현했다. 저용량 배터리로 장시간 작동시켜야 하는 모바일이나 위치 파악용 태그와 같은 사물인터넷(IoT) 기기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또 차별화된 '무선전파 도달 시간(ToA)' 기능과'3D도래각(AoA)' 기능도 적용됐다. 이를 활용하면 복잡한 환경에서도 정밀한 거리와 위치 측정이 가능하다.GPS신호가 닿지 않는 실내에서도 손쉽게 위치 추적이 가능하고VR이나 증강현실(AR) 기기도 더 정밀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제품은UWB기술의 표준을 제정하고 호환성을 검증하는'FiRa컨소시엄' 인증소를 통해 국제 공인 인증을 획득했다.
이날 삼성전자는 제품 출시와 함께UWB·블루투스·와이파이 기반 반도체를 포괄하는 브랜드로 '엑시노스 커넥트'를 론칭했다.UWB등 근거리 통신 반도체 사업을 더욱 강화하겠다는 취지다.
김준석 삼성전자 시스템LSI사업부 부사장은 "통신 반도체 리더십을 바탕으로 근거리 무선통신용 반도체 시장을 선점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서부발전이 오만수전력조달공사(OPWP)의 '오만 마나 500㎿ 태양광발전' 사업 수주를 발표했다. 이번 사업은 오만의 수도 무스카트에서 170㎞ 떨어진 다킬리야주 마나시에 1000㎿ 규모의 태양광발전소를 조성하는 프로젝트로 '마나1(500㎿)'과 '마나2(500㎿)' 사업으로 구분된다. 국내 발전사가 오만에서 태양광발전 사업을 수주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수주금은 약 6000억원으로, 올 하반기 공사를 시작해 2025년 3월 준공될 예정이다.
수치및이슈
1. 한국서부발전이 오만수전력조달공사(OPWP)가 발주한 '오만 마나 500㎿ 태양광발전' 사업을 수주
2. 오만의 수도 무스카트에서 남서쪽으로 170㎞ 떨어진 다킬리야주 마나시에 1000㎿ 규모의 태양광발전소를 조성하는 프로젝트
3. 서부발전이 따낸 마나1 사업은 여의도 면적의 2.6배 용지에 약 6000억원이 투입된다. 올 하반기 공사를 시작해 2025년 3월 준공될 예정
본문
한국서부발전이 오만수전력조달공사(OPWP)가 발주한 '오만 마나 500㎿ 태양광발전' 사업을 수주했다고 21일 밝혔다. 국내 발전사가 오만에서 태양광발전 사업을 따낸 것은 처음이다.
이번 사업은 오만의 수도 무스카트에서 남서쪽으로 170㎞ 떨어진 다킬리야주 마나시에 1000㎿ 규모의 태양광발전소를 조성하는 프로젝트다. '마나1(500㎿)'과 '마나2(500㎿)' 사업으로 나눠 진행된다.
서부발전이 따낸 마나1 사업은 여의도 면적의 2.6배 용지에 약 6000억원이 투입된다. 올 하반기 공사를 시작해 2025년 3월 준공될 예정이다. 서부발전은 준공 후 태양광발전 유지관리(O&M)까지 담당한다. 서부발전은 2019년부터 국내외 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오만 사업에 뛰어들었다. 2020년 7월 사전적격심사를 통과했으나 기존 사업 예정 용지 주민 민원과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국가 봉쇄 등으로 입찰이 지연됐다. 이후 서부발전은 프랑스국영전력회사(EDF) 자회사와 새 파트너십을 맺으며 수주에 속도를 냈다.
앞서 서부발전은 호주 배너튼태양광(110㎿), 전남 신안 안좌태양광(96㎿), 경남 합천 수상태양광(41.5㎿) 등 국내외에서 여러 태양광발전 사업을 진행해왔다.
박형덕 서부발전 사장은 "이번 수주는 국내 발전공기업의 신재생에너지 국제 경쟁력을 보여준 첫 사례"라며 "이를 계기로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에서 태양광과 그린수소 등 추가 사업을 따내겠다"고 말했다.
미래 산업으로 주목받는 소형모듈원전(SMR), 소형 인공위성, 탄소포집설비(CCUS) 산업 등은 아직 본격 양산 단계에 이르지 않았지만, 10년 이내 본격 상용화가 진행되며 2040년에는 시장 규모가 3000조원 이상으로 예상된다. 이들 신산업에서는 트랙레코드가 중요하며, 국내 기업들이 미리 사업 경험을 쌓아놓는 것이 중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입장이다. SMR은 한국이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관련 사업 경험을 미리 쌓아놓는 것이 중요하다. 인공위성 시장도 저궤도 통신·안보위성 시장이 태동하면서 새로운 문이 열리고 있다. CCUS는 2040년 2000조원대 초거대 시장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이들 산업에서는 전문적인 제작 경험을 공유하는 것이 급선무다. 미국이나 유럽처럼 민관 합동 메가펀드를 조성하고, 이 자금으로 시험생산 발주를 한다면 설계기술을 실현하는 데 가장 앞설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수치및이슈
1. SMR, 소형 인공위성, 탄소포집설비 산업은 현재 시장 규모가 약 40조원대로 크지 않다
2. 개발 단계를 지나 10여 년 뒤 본격적인 상용화 단계에 이르고, 2040년께 대량 공급이 시작될 시점에는 3000조원이 넘는 시장이 형성될 전망
3. 한국전력과 한국석유공사 등이 관련 산업에 투자해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적극 발주할 필요가 있다
본문
대형 원자력발전소를 대체할 것으로 주목받는 소형모듈원전(SMR)은 설계 능력을 보유한 회사는 여럿이지만 막상 제작과 운영을 할 수 있는 기업을 찾기 힘들다.
소형 인공위성, 직접탄소포집(DAC)과 탄소 포집·저장·활용(CCUS) 설비 등도 미래 첨단산업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실제로 제품을 만들어내는 생산 분야에선 뚜렷한 강자가 눈에 띄지 않는다. 관련 기술력과 경험을 두루 갖춘 제조업체가 전 세계적으로 드문 탓이기도 하다.
이처럼 미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본격 양산 단계에 이르지 않은 산업은 일단 시장이 개화하면 사업 '실적(트랙레코드)'을 갖춘 기업들이 상당 기간 독과점적 이익을 향유할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들이 한국 정부와 기업이 힘을 모아 국내 시장에서 관련 사업 경험을 미리 쌓아놓는 게 중요하다고 입을 모으는 이유다.
매일경제신문 비전코리아 프로젝트팀이 보스턴컨설팅그룹(BCG)과 함께 22일 개최하는 제33차 국민보고대회에서 5대 첨단파운드리 시장을 한국 제조업의 주요 먹거리로 제시하는 것은 해당 산업의 성장성과 한국의 기존 제조 생태계가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먼저SMR, 소형 인공위성, 탄소포집설비 산업은 현재 시장 규모가 약 40조원대로 크지 않다. 하지만 개발 단계를 지나 10여 년 뒤 본격적인 상용화 단계에 이르고, 2040년께 대량 공급이 시작될 시점에는 3000조원이 넘는 시장이 형성될 전망이다.
특히SMR은 이른바 4세대 원전으로 불린다. 물로 핵연료의 열을 식히는 기존 경수로나 중수로 방식이 아니라 나트륨과 납, 소듐 등을 활용하는 원자력발전 방식이다. 소규모로 제작이 가능하고 해변가에 위치할 필요가 없는 점, 방사능 유출을 원천 차단하는 설계 등으로 차세대 에너지원이라고 불린다.
2000년대 초반부터 설계에 들어간SMR은 뉴스케일파워, 엑스에너지, 테라파워 등 미국의 주요 원전 설계업체를 중심으로 시범 원자로 제작이 진행 중이며 2030년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설계 시장은 미국이 주도하지만 1960년대 이후 직접 제작을 하지 않은 탓에 미국 내에서는 가치사슬(밸류체인)이 무너져 있다. 반면 한국은 지속적으로 원전을 건설·운용해온 강점이 있다. 국내에서 두산,SK,DL, 삼성 등 주요 대기업이 설계회사에 투자하고 협력을 시도하는 이유다.
한국수력원자력 등이SMR시장 발주처로 적극 나서면 한국 기업들은 사업 실적을 미리 쌓을 수 있다. 미국 에너지부 차관을 지낸 클레이 셀 엑스에너지 최고경영자(CEO)는 인터뷰에서 "두산,DL등 주요 한국 업체는 시공능력이 뛰어나다"고 말했다.
선진국의 무대로만 인식된 인공위성 시장도 저궤도 통신·안보위성 시장이 태동하면서 새로운 문이 열리고 있다. 유로컨설팅에 따르면 2030년대에는 매해 2500개 이상의 인공위성이 발사될 전망이다. 특히 저궤도 위성은 대기권에 위치하기 때문에 부식과 고장 우려로 수명이 2~3년으로 추정된다. 교체 주기가 빠른 만큼 지속적인 제작 시장이 형성된다는 의미다.
일론 머스크의 스타링크가 통신용 저궤도 위성으로 가장 빨리 시장에 뛰어들었으며, 통신과 안보주권 문제로 세계 각국이 저궤도 시장을 주목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한화시스템을 비롯해 쎄트렉아이, 나라스페이스 등 벤처기업이 설계·제작 시장에 뛰어들었다.KT와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 관련 기업과 정부 기관에서 산업 육성을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발주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CCUS는 2040년 2000조원대로 성장하는 초거대 시장이다. 대형 제조업체들은 탄소 발생 저감을 위해 공장마다CCUS설비를 갖춰 탄소가 발생하더라도 이를 상쇄하는 방식으로 '넷제로'에 도전해야 하기 때문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70년께 전 세계 이산화탄소 감축량의 15%(연간 100억t)를CCUS플랜트가 담당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다만 아직까지는 기술 실증 단계에 있다. 국내에서SK머티리얼즈는 미국의 '8rivers'라는DAC기술을 보유한CCUS기업에 1200억원을 투자한 바 있다. 한국전력과 한국석유공사 등이 관련 산업에 투자해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적극 발주할 필요가 있다.
이들 신산업에서 파운드리를 선점하려면 '트랙레코드'가 가장 중요하다. 국내에서는 원전, 우주방산,EPC플랜트 생태계가 이미 있고 투자도 진행돼 있는 만큼 전문적인 제작 경험을 공유하는 것이 급선무다. 미국이나 유럽처럼 민관 합동 메가펀드를 조성하고, 이 자금으로 시험생산 발주를 한다면 설계기술을 실현하는 데 가장 앞설 수 있다.
도쿄일렉트론의 가와이 도시키 CEO는 매출 대비 연구개발(R&D) 투자 규모는 전 세계 톱 업체와 비교해서 동등하다고 생각하며, 앞으로 5년간 1조엔(약 10조원) 이상을 연구개발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도쿄일렉트론은 세계 5대 반도체 장비 업체 중 한 곳으로, 세계시장에서 반도체 웨이퍼에 감광액을 바르는 코터와 패턴을 형성하는 디벨로퍼 장비 부문에서 90%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가와이 CEO는 연구개발 역량에 집중하며, 뉴런이나 양자컴퓨터도 점점 보급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한국과의 협업을 강조했다.
수치및이슈
1. 도쿄일렉트론은 지금까지 5년간 6000억엔(약 6조원)의 연구개발 투자를 해왔지만, 앞으로 5년 동안 1조엔(약 10조원) 이상을 투자할 생각
2. 도쿄일렉트론은 디벨로퍼 장비 부문에서 세계시장 점유율 90%를 차지
본문
"세계 톱 업체와 비교할 때 매출 대비 연구개발(R&D) 투자 규모는 동등하다고 생각합니다. 도쿄일렉트론은 지금까지 5년간 6000억엔(약 6조원)의 연구개발 투자를 해왔지만, 앞으로 5년 동안 1조엔(약 10조원) 이상을 투자할 생각입니다."
전 세계 반도체 트랙장비 분야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일본 도쿄일렉트론의 가와이 도시키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경기도 화성시 도쿄일렉트론 한국지사에서 진행한 매일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도쿄일렉트론은 세계 5대 반도체 장비 업체 중 한 곳으로 반도체 웨이퍼에 감광액을 바르는 코터와 패턴을 형성하는 디벨로퍼 장비 부문에서 세계시장 점유율 90%를 차지하고 있다. 발주처와의 거래 관계에서 막강한 협상력을 갖는 소위 '슈퍼 을' 기업 중 한 곳이다.
가와이CEO는 "도쿄일렉트론의 누적 장비 출하대수는 8만대를 넘어서서 세계 최대라고 할 수 있다"며 "우리의 장비를 거치지 않은 반도체 업체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도쿄일렉트론은 1963년 종합상사로 설립돼 전자기기를 수입해 판매하다가 1970년대 들어 자체 기술력을 키워 반도체 장비 제작 사업으로 새로운 활로를 열었다.
가와이CEO는 도쿄일렉트론이 세계 선두 반도체 장비업체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던 핵심적인 요인으로 성공 가능성이 높은 분야에 연구개발 역량을 집중한 점을 꼽았다.
그는 "연구개발이 실제 제품 상용화로 이어지는 비율인 '히트레이트'가 높은 기술에 연구개발 투자를 집중하면서 성공적인 사업으로 연결됐다"며 "향후 5년간 1조엔의 연구개발 비용 투자와 함께 4000억엔 이상을 설비투자에 투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10년간 데이터 통신량이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면서 반도체 기술 고도화에 더욱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가와이CEO는 "지금까지는 대부분 수학적인 컴퓨팅인 비트컴퓨팅이 중심이 됐지만 앞으로는 뉴런이나 양자컴퓨터도 점점 보급될 것"이라며 "본격적인 빅데이터 시대에서 중요한 건 반도체의 기술 혁신"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한국과의 협업도 강조했다. 가와이CEO는 "세계 최고를 목표로 하기 위해서는 한국에서의 비즈니스 성공이 필수적"이라며 "한국에는 매우 중요한 고객·파트너사들이 있고 이들과 함께 반도체 기술 혁신을 추진해나가고 싶다"고 했다.
지난해 말 앱스토어 내려받기 1위 급성장 작년 내려받기 43% 증가한 4억건 이상 기업용 버전 유료화 등 수익 창출 시동
요약
ByteDance의 동영상 편집 도구인 'CapCut'은 역시 ByteDance가 소유한 짧은 형식의 동영상 앱인 TikTok의 성공에 이어 미국에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그러나 업계 전문가들은 TikTok과 마찬가지로 CapCut도 사용자 데이터가 중국으로 유출될 가능성에 대한 우려에 직면할 수 있다고 예측합니다. CapCut을 통해 사용자는 다양한 템플릿, 필터, 시각 효과 및 음악을 사용하여 비디오를 쉽게 편집하고 TikTok, YouTube, Facebook 및 Instagram과 같은 인기 있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 공유할 수 있습니다. 중국 데이터 분석 회사인 D&D에 따르면 CapCut의 월 활성 사용자는 2020년 현재 2억 명에 달했으며 다운로드는 전 세계적으로 43% 증가한 4억 명 이상으로 증가했습니다. ByteDance는 더 많은 기능을 제공하고 기업 사용자를 위한 버전을 포함한 프리미엄 서비스에 대해 요금을 부과함으로써 CapCut의 인기를 수익화할 계획입니다.
수치 및 이슈
1. 미국 사용자의 데이터의 중국 유출 문제가 틱톡에 이어 캡컷에서도 불거질 가능성이 높다
2. 틱톡 등 동영상 앱들이 인기를 얻으면서 동영상을 편리하게 편집할 수 있는 '캡컷'의 내려받기가 최근 몇 주동안 틱톡을 능가
3. 캡컷의 월간 활성 이용자(MAU)는 현재 2억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
4. 전세계 내려받기 횟수는 지난해 43% 증가한 4억건 이상을 기록, 작년 이후 전세계 내려받기의 약 7%가 미국에서 발생
본문
짧은 동영상으로 전세계를 강타한 틱톡에 이어 바이트댄스의 동영상 편집도구인 '캡컷'이 미국에서도 인기를 끌고 있다. 미국 사용자의 데이터의 중국 유출 문제가 틱톡에 이어 캡컷에서도 불거질 가능성이 높다는 게 업계의 판단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9일(현지시간) 틱톡 등 동영상 앱들이 인기를 얻으면서 동영상을 편리하게 편집할 수 있는 '캡컷'의 내려받기가 최근 몇 주동안 틱톡을 능가했다고 보도했다. 캡컷을 사용하면 다양한 템플릿, 필터, 시각효과, 음악 등을 활용해 동영상을 쉽게 편집할 수 있다. 이렇게 편집한 동영상을 틱톡, 유튜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에 올릴 수 있어 앞으로 더 입소문이 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다.
중국 데이터분석업체 디엔디엔에 따르면 2020년 출시된 캡컷의 월간 활성 이용자(MAU)는 현재 2억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10억명에 달하는 틱톡의 5분의 1 수준까지 성장했다.
캡컷은 지난해 말 애플 앱스토어 내려받기 1위로 급성장했다. 센서타워에 따르면 전세계 내려받기 횟수는 지난해 43% 증가한 4억건 이상을 기록했다. 작년 이후 전세계 내려받기의 약 7%가 미국에서 발생했다.
바이트댄스는 컷캡의 인기를 활용해 수익 창출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말 클라우드 저장 서비스를 포함해 더 많은 기능에 대해서 요금을 부과하기 시작했다. 기업 사용자를 대상으로는 기업용 버전을 출시할 예정이다. 중국어 버전인 지엔잉은 기업의 여러 사용자가 공동으로 동영상을 편집할 수 있는 버전으로 유료다.
OpenAI의 챗봇 GPT와 GPT-4는 국내 스타트업에서 기존 서비스에 통합해 다양한 AI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오픈AI의 챗봇 활용이 늘고 있다. 체인파트너스가 GPT를 활용한 챗봇에 한영 자동 번역 기능을 추가한 앱 '네이티브'를 출시했다. Uptostage는 GPT와 OCR 기술을 결합하여 이미지에서 텍스트를 읽고 질문에 답하는 챗봇 'AskUp'을 출시했습니다. 한편, 루닛테크놀로지는 자사의 모든 제품에 GPT-4를 도입해 사용자 만족도를 높였다. 그러나 한국 서비스에서 GPT 모델을 사용하는 것은 OpenAI에 지불하는 토큰 비용으로 인해 비용이 많이 듭니다. 일부에서는 영어 기반 모델의 우위로 인해 한국어 모델의 경쟁력이 떨어질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한국의 AI 서비스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는 점은 여전히 가치가 있음을 시사합니다.
수치및이슈
1. 국민 3명 중 1명이 챗GPT를 사용해 본 것으로 나타나
2.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GPT 기반 한국어 서비스의 사용자가 늘어날 수록, 오픈AI에 내야하는 API 사용료 규모는 급증할 전망
3. 네이버클라우드AI랩 소장은 “오픈AI가 API 가격을 점점 올리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어로 GPT-4를 쓰는 사람들은 굉장히 비싼 돈을 주고 AI를 쓰는 것”
본문
오픈AI가 개발한 대화형 인공지능(AI) 챗GPT와GPT-4를 이용한 한국어 서비스가 급증하고 있다.챗GPT이후AI서비스에 대한 국내 소비자들의 관심이 급증하면서 스타트업들이 이를 사업 확대 기회로 삼고 있는 것. 대한상공회의소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국민 3명 중 1명이 챗GPT를 사용해 본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스타트업들이 챗GPT나 GPT-4를 자사의 기존 서비스에 연동해 다양한 AI 서비스를 내놓고 있다. 오픈AI가 공개한 GPT 시리즈의 API(앱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활용해 기존 서비스에 대화형 AI를 붙이는 식이다.
AI스타트업 업스테이지는 챗GPT를 활용한 카카오톡 챗봇 ‘아숙업(AskUp)’을 이달 8일부터 운영 중이다. 지난 17일엔 오픈AI의 최신AI인GPT-4를 빠르게 적용했다. 이 챗봇의 핵심은 업스테이지의OCR(광학문자인식) 기술을 대화형AI인GPT와 결합해 사용자 편의성을 높인 점. 예를 들어, 사용자가 책이나 문서를 사진 찍어 일대일 카톡 방에 올리면 아숙업이 이미지 내 텍스트 내용을 이해한 뒤 묻는 질문에 답하는 식이다. 아숙업 챗봇으로 업스테이지는 20일 현재 누적 28만명 이상의 카톡 친구를 모았다. 스타트업이 단기간에 수십만 사용자를 모으기란 쉽지 않은 점을 감안하면, 챗GPT를 활용해 테스트베드를 효과적으로 확보한 셈. 업스테이지는 20일 업무용 챗봇으로 ‘아숙업 비즈’도 선보였다. 회사 관계자는 “챗GPT를 빠르게 적용한 아숙업이 인기를 끌면서 우리가 기존에 개발해둔OCRAPI를 도입하고 싶다는 기업 문의도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글쓰기 생성AI플랫폼 ‘뤼튼’을 서비스하는 뤼튼테크놀로지스도 지난 17일GPT-4를 뤼튼의 모든 제품에 탑재하며 서비스 고도화에 나섰다. 이 회사 이세영 대표는 “GPT-4반영 이후 이전 모델들보다AI가 맥락을 이해하는 정도가 좋아져서 이용자들의 만족도도 높아졌다”고 말했다.
업스테이지의 '아숙업'은OCR기술을GPT-4와 결합한 챗봇 서비스다. 원산지를 묻자, '아숙업'이 사진 속에서 원산지를 읽어내고 있다. 김남영 기자
챗GPT수요가 급증하자 아예 새로운 서비스를 출시해 기회를 찾는 곳도 있다. 체인파트너스는 챗GPT에 한영 자동번역 기능을 붙인 앱 ‘네이티브’를 내놨다. 사용자의 한글 질문은 영어로 자동 번역돼 챗GPT에 입력되고, 영어로 온 답변을 다시 한글로 번역해 준다. 챗GPT가 영어로 대화할 때 속도가 빠르고, 내용이 정확하다는 데 착안했다.
카카오브레인도 19일 오픈베타로 한국형GPT챗봇 ‘다다음’을 공개했지만 하루 만에 서비스를 중단했다. 제대로 된 답변을 내놓지 못하고 소스 코드를 노출하거나 답변 생성 시간이 길어지면서 이용자 불만이 쏟아졌다. 카카오 관계자는 “현재 사용량 폭주로 더 나은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일시 중단했다”며 “재출시 시기는 추후 공지하겠다”고 설명했다.
GPT기반 서비스를 쓰는 소비자들이 주의할 점도 있다. 오픈AI는GPT-4에서도 가짜 정보를 만드는 할루시네이션(환각)를 완전히 해결하지 못했다. 때문에 국내 기업들이 내놓은GPT기반 챗봇을 이용할 땐 검색엔진 등을 통해 교차 검증을 거치는 게 좋다.
기회일까, 위기일까
이처럼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GPT 기반 한국어 서비스의 사용자가 늘어날 수록, 오픈AI에 내야하는 API 사용료 규모는 급증할 전망이다. 오픈AI가 공개한 챗GPT나GPT-4의API를 스타트업이 가져다 쓸 경우, 회사는 오픈AI에 토큰(과금 기준이 되는 최소 단어 수) 단위로 사용료를 내야 한다. 가령GPT-3.5터보의API는 토큰 1000개당 0.002달러(약 3원)다. 얼마 안 돼 보여도 수천~수만명이 쓰는 서비스라면 고정비가 만만치 않게 든다. 게다가 오픈AI는GPT-4를 출시하며 토큰 1000개당 비용을 챗GPT(0.03달러)보다 4배 비싼 0.12달러로 올렸다.
이 때문에IT업계에선GPT모델의 확산이 국내AI기술 생태계에 미칠 영향을 주시하고 있다. 일각에선GPT-4의 한국어 능력이 개선되는 속도로 볼 때, 한국어 기반 초거대 언어모델(LLM)의 경쟁력이 크지 않다는 의견도 나온다. 그러나AI를 활용한 서비스 시장이 커지는 상황에서 한국어AI모델의 시장 가치는 작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GPT-4와 같은 영어 기반 초거대AI가 시장을 지배하면, 비영어권 기업과 소비자들의AI사용료 부담이 커지기 때문. 영어권의 초거대AI이기에 영어 이용자가 이용하기 쉽고, 저렴한 방향으로 토큰을 설계해서다. 가령 지금도GPT-4에서 영어 단어 1개는 1토큰 과금되지만, 같은 단어를 한국어로 쓰면 6배의 비용을 내야 한다.GPT-4로 한국어 서비스를 하면 영어 서비스보다 가격경쟁력이 떨어진다는 얘기다.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AI랩 소장은 “오픈AI가 API 가격을 점점 올리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어로 GPT-4를 쓰는 사람들은 굉장히 비싼 돈을 주고 AI를 쓰는 것”이라며 “한국의 법이나 문화에 맞는 내용을 더 정확히 구사한다는 점에서도 한국어 특화LLM은 필요하다”고 말했다.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Thales Alenia Space)는 3월 20일 유럽우주국(ESA)과 파트너십을 맺고 민간 기업이 주도하는 "New Space" 부문의 상업 공간 혁신을 위해 유럽 공동체를 지원하기 위한 의향서에 서명했다고 발표했다. Thales Alenia Space와 ESA는 ESA BIC 네트워크 내에서 협력하여 민간 우주 스타트업 육성 및 가속화를 목표로 기술, 멘토링 및 네트워킹을 포함한 혁신 개발 지원을 제공할 것입니다. Thales Alenia Space는 개방형 혁신 연구소인 3DEXPERIENCE Lab을 통해 네트워크 내 스타트업에 클라우드 기반 3DEXPERIENCE 플랫폼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여 항공우주 산업의 혁신을 주도할 것입니다. 이 파트너십은 2022년 독일 바이에른에서 시작된 ESA와 Thales Alenia Space 간의 기존 파트너십을 확장할 것입니다.
수치및이슈
1. 다쏘시스템이 유럽우주국(ESA)과 함께 '새로운 우주' 분야의 혁신을 위해 유럽 공동체를 지원하는 의향서에 서명했다
2. 개방형 혁신 연구소인 3D익스피리언스 랩을 통해 센터 네트워크에 속한 스타트업에 다쏘시스템의 클라우드 기반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 액세스를 제공함으로써 항공우주 분야에서 새로운 차원의 혁신을 주도할 예정
본문
다쏘시스템이 유럽우주국(ESA)과 함께 민간기업 주도 우주 상업화인 '새로운 우주' 분야의 혁신을 위해 유럽 공동체를 지원하는 의향서에 서명했다고 20일 발표했다.
다쏘시스템은 프랑스 본사에서 열린 '뉴 스페이스 네트워킹' 행사에서 파리 스페이스 위크의 시작을 알리며 본 협약 소식을 발표했다.
앞으로 다쏘시스템과 유럽우주국은 유럽우주국 비즈니스 인큐베이션 센터(ESABIC) 네트워크 내에서 협력하여 혁신 개발을 위한 기술, 멘토링 및 네트워킹 지원을 제공한다.
이번 협약은 2022년 비즈니스 인큐베이션 센터가 독일 바이에른-다쏘시스템이 맺은 기존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진행되며, 유럽 내 다른 센터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민간 우주 스타트업을 육성하고 가속화하기 위해 민-관이 협력한다는 의지다.
다쏘시스템과 유럽우주국은 우주 혁신을 성공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디지털화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있다. 최근 몇 년 간 혁신 스타트업은 디지털 기술을 통해 위성, 우주 여행, 탐사 및 기타 항공우주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여 전통적인 산업 역학 변화를 가속화하고 있다.
다쏘시스템은 개방형 혁신 연구소인 3D익스피리언스 랩을 통해 센터 네트워크에 속한 스타트업에 다쏘시스템의 클라우드 기반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 액세스를 제공함으로써 항공우주 분야에서 새로운 차원의 혁신을 주도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3D익스피리언스 플랫폼은 스타트업에게 새로운 우주선의 개념화 ∙ 설계 ∙ 제조 ∙ 테스트∙인증 및 유지를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며, 스타트업은 3D 가상 환경에서 프로젝트를 엔지니어링하며 전 세계 멘토 네트워크와의 협업을 간소화할 수 있는 업계 최고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
유럽우주국의 제랄딘 나자 산업&조달국장은 "ESABIC네트워크는 그동안 1천300개 이상의 스타트업을 지원했으며, 상업화-산업-조달국은 기업 파트너, 투자자 및 내부적으로 다른 유럽우주국 프로그램과의 가교를 구축하여 이러한 기업의 규모를 확장해 나가는 여정을 더욱 지원하는 것이 목표다”며 “유럽우주국 내부에서도 미래 우주 생태계를 형성하기 위한 새로운 우주 접근 방식을 채택하는 데 있어 다쏘시스템으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다쏘시스템의 데이비드 지글러 항공우주 및 국방 산업 부문 부사장은 “10년 후에는 지구 궤도를 돌고 있는 인공위성의 수가 지금보다 10배 이상 늘어날 것”이라며 “이에 따라 우주의 민주화가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며 유럽의 우주 스타트업들 사이에서 혁신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될 것이다”이라고 언급했다.
이어서 “다쏘시스템은 항공우주 산업의 선두기업으로서 유럽우주국과의 협력을 통해 다양한 우주 스타트업이 새로운 글로벌 우주 경제를 주도하여 획기적인 기술의 설계, 제조, 테스트 및 운영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멀티 클라우드 채택이 더욱 보편화됨에 따라 네트워크 전문가들은 의사 결정 논의에서 자신의 정당한 위치를 옹호하고 있습니다. IT, 클라우드, 사이버 보안 및 네트워크 팀의 각 구성원은 고유한 관점과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지만 네트워크 전문가의 통찰력과 기술은 멀티 클라우드 의사 결정에 크게 기여할 수 있습니다. 많은 기업 리더는 특히 네트워크 설계, 라우팅, 트래픽 흐름 관리, 고가용성 및 재해 복구 계획과 같은 책임 관리에서 네트워크 전문가의 중요성을 간과합니다. 멀티 클라우드 전략이 보편화됨에 따라 네트워크 전문가의 전문 지식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으며 의사 결정 프로세스에 완전히 통합되어야 합니다. 네트워크 원칙은 동일하지만 이러한 원칙을 적용하는 접근 방식이 변경되었으며 네트워크 전문가의 역할은 클라우드 네트워크 아키텍처 경험이 필요한 역할로 발전했습니다.
업계 전문가에 따르면 멀티 클라우드 네트워크의 설계 및 구축에서 네트워크 전문가를 제외하면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리더는 IT 및 클라우드 동료와 협력하여 거버넌스 및 관리 모델을 구축하고 핵심 네트워크 기술 전문성을 개발해야 합니다. 또한 네트워크 전문가는 보안, 네트워크 가상화 및 자동화와 같은 필수 클라우드 기술 개발에 집중하여 멀티 클라우드 논의 및 의사 결정에 효과적으로 기여해야 합니다. 또한 주요 클라우드 공급자가 제공하는 기본 클라우드 네트워킹에 대해 배우고 비즈니스 및 관리 기술을 향상시켜 네트워크가 더 나은 비즈니스 결과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더 잘 이해해야 합니다. 네트워크가 자동 확장 및 자가 치유 기능을 갖춘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로 이동함에 따라 네트워크 전문가는 클라우드 여정에서 계속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입니다.
수치및이슈
1. 클라우드와 IT 전문가가 네트워크 하드웨어를 관리하기 시작하면서 기업은 네트워크 전문가의 중요성을 간과하기 쉽다
2. 멀티클라우드 네트워크의 설계 및 구축에서 네트워크 전문가를 배제하면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3. 네트워크 전문가는 네트워크 가상화, 멀티클라우드 연결, 자동화를 비롯한 필수적인 클라우드 스킬을 익혀야 한다
본문
네트워크 전문가들이 정당한 지위를 되찾으려고 하면서 클라우드가 시끌시끌하다.
멀티클라우드 네트워크 자동화 업체 백박스(BackBox)의 CTO 조쉬 스티븐스는 “다른 팀에서 네트워크에 대해 알아야 할 것은 다 안다는 생각에 네트워크 팀을 배제할 때가 종종 있다”라고 말했다.
네트워크 전문가의 고유한 관점
멀티클라우드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IT, 클라우드, 사이버 보안, 네트워크 전문가의 관점과 역량은 저마다 다르다. 네트워크 인프라 제공업체 익스트림 네트웍스(Extreme Networks)의 솔루션 전략 부문 부사장 댄 둘락은 “IT팀은 기업의 전체 기술을 깊이 이해하고 있다. 클라우드 팀은 클라우드 기반 기술 솔루션에, 사이버 보안팀은 클라우드 보안 위험에 전문성을 갖고 있다”라면서, “여기에 네트워크 전문가의 인사이트를 결합하는 것이 정보에 입각한 멀티클라우드 의사결정을 내리는 최선의 방법”이라고 전했다.
ISG의 엔터프라이즈 클라우드 트랜스포메이션 부문 수석 파트너 버니 호커는 네트워크 전문가를 클라우드 의사결정에서 배제하는 것이 IT 또는 다른 팀의 악의나 앙심에 의한 행위는 아니라고 언급했다. 이어 “클라우드 팀과 네트워크 팀은 태생적으로 분리돼 있다. 서로 다른 도구와 프로세스를 사용하며, 보통 서로 다른 조직에 보고한다. 아울러 파트너와 목표도 서로 다른 자체적인 생태계를 갖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또 많은 기업 리더가 당연하게 여기는 지점까지 네트워크 기술이 발전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스티븐스는 “네트워크가 중단됐을 때, ‘시스템이 다운됐다고? 재부팅해!’라는 것이 점점 더 보편적인 반응이 되고 있다. 이 단순한 태도는 네트워크가 성능 저하 없이 새로운 클라우드와 기술을 자동으로 추가할 수 있는 수준까지 발전했다는 잘못된 인식을 심어준다”라고 지적했다.
멀티클라우드 네트워크에는 네트워크 전문성이 필요하다
클라우드와 IT 전문가가 네트워크 하드웨어를 관리하기 시작하면서 기업은 네트워크 전문가의 중요성을 간과하기 쉽다. 딜로이트 컨설팅의 클라우드 운영 부문 글로벌 리더 로버트 오쇼에 의하면 “네트워크 전문가는 멀티클라우드 환경의 복잡하고 필수적인 업무를 처리할 독보적인 역량을 갖췄다.”
기업 리더는 네트워크 운영 부문을 관리하면서도 네트워크 전문가가 맡는, 겉으로 잘 드러나지 않는 책임(예 : 네트워크 설계, 라우팅, 트래픽 흐름 관리, 고가용성 및 재해 복구 계획 등)은 간과할 때가 많다. 오쇼는 “멀티클라우드 전략이 갈수록 보편화되면서 네트워크 전문가의 기술과 전문성도 더 중요해지고 있다. 기업은 네트워크 전문가가 성공적인 멀티클라우드 인프라에 필수적이며, 네트워크 전문가가 의사결정 프로세스에 완전히 통합돼야 한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라고 권고했다.
멀티클라우드 네트워크 보안 플랫폼 업체 발틱스(Valtix)의 수석 보안 연구원 데이비스 맥카시는 네트워크 원칙은 그대로지만 이런 원칙을 적용하는 방식이 달라졌다면서, “네트워크 전문가가 대체되는 것이 아니라, 클라우드 네트워크 아키텍처 경험이 필요한 역할로 바뀌고 있을 뿐이다”라고 설명했다.
네트워크 전문가를 배제하면 실패 위험이 증가한다
둘락은 멀티클라우드 네트워크의 설계 및 구축에서 네트워크 전문가를 배제하면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어 “네트워크 전문가가 의사결정에 참여하지 않으면 결과적으로 기업의 요구사항을 적절하게 충족하지 못하고, 변화하는 요구사항에 최적화되지 않은 멀티클라우드가 구현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네트워크 전문가의 배제는 네트워크를 레거시 도구로 간주하는 최고 경영진에게는 사각지대가 될 수 있다. 호커는 네트워크 리더가 가치를 입증하기 위해 지식을 넓혀야 한다면서, “네트워크 전문가는 최신 클라우드 아키텍처와 기능으로 스킬을 업데이트해야 한다. 강력한 최신 네트워크 아키텍처와 기능은 클라우드 환경에 보안과 안정성을 가져온다”라고 권고했다.
네트워크 기술이 라우터, 스위치 등 고정 자산에서 벗어나, 자동 확장 및 자가 복구가 가능한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전문가 역시 발전해야 한다. PwC의 클라우드 및 디지털 책임자 셍크 오즈디미어는 “그런 의미에서 지식과 스킬 중심의 교육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와 관련한 클라우드 네이티브 사고방식으로의 전환도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네트워크, IT, 클라우드 전문가가 협력해야 한다
호커는 네트워크 리더가 IT 및 클라우드 부문의 동료와 파트너십을 맺고, 아울러 거버넌스/관리 모델을 구축해 입지를 강화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는 멀티클라우드 환경뿐만 아니라 모든 당사자에게 도움이 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클라우드 환경의 품질은 해당 환경이 있는 네트워크의 품질에 따라 좌우된다”라고 덧붙였다.
둘락은 지속적으로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하려면 네트워크 팀이 보안, 모빌리티 등 핵심 네트워크 기술 전문성을 개발하고, 실시간 데이터 및 인사이트 수집 역량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렇게 하면 멀티클라우드 의사결정 과정에서 네트워크 전문가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기업이 기술 목표를 달성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오즈디미어는 네트워크 팀이 클라우드 팀과의 통합돼야 한다면서, “멀티클라우드에는 상당한 복잡성이 따라온다. 어떻게 운영할지 사전에 파악해야 한다”라면서, “네트워크 팀이 멀티클라우드 계획 및 운영을 주도하거나, 최소한 큰 비중으로 관여해야 한다. 네트워크는 모든 것을 접하고 보기 때문에 중요하며, 계획과 운영에 일찍부터 관여해야 한다”라고 전했다.
스티븐스는 네트워크 전문가가 리더십 활동에 더 많이 참여해야 한다면서 “물론 컴퓨터 앞에 앉아 네트워크를 관리해야 한다면 그렇게 하기 어렵다. 답은 자동화에 있다. 더 많은 스크립트를 작성하라는 뜻은 아니다. 종류만 다를 뿐 어차피 일이기 때문에 리더십 활동을 위한 시간 마련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라고 언급했다.
넷옵스(NetOps)는 리더십 활동을 위한 시간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넷옵스를 적절하게 구축하고 관리하면 넷옵스 그리고 이에 따른 자동화, 오케스트레이션, 인프라 관찰가능성은 애플리케이션 딜리버리 속도를 높이고, 안정적이고 안정한 성능을 제공한다. 호커는 기술 발전의 속도를 감안하면 멀티클라우드 환경을 지원하는 데 필요한 네트워크 현대화에 넷옵스가 필수적이라고 권고했다.
아울러 넷옵스는 효과적인 멀티클라우드 네트워크 관리에 필요한 도구와 프로세스를 제공한다. 둘락은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성능은 LAN과 WAN을 통한 안전한 네트워크 전송에 크게 좌우된다”라면서, “애플리케이션 경험이 느리면 보통 네트워크를 탓한다. 넷옵스를 통해 이동, 추가, 변경 등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하고, 유무선 네트워크 성능 및 애플리케이션 경험에 실시간 가시성을 제공해 네트워크 전문가가 기업에 제공하는 가치를 입증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보안, 네트워크 가상화, 자동화는 필수 스킬이다
둘락은 네트워크 전문가가 넷옵스 교육을 통해 최신 클라우드 네트워킹 및 보안 트렌드를 파악하고, 멀티클라우드 관련 논의와 의사결정에 효과적으로 참여 및 기여하는 데 필요한 지식을 갖출 수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네트워크 전문가는 네트워크 가상화, 멀티클라우드 연결, 자동화를 비롯한 필수적인 클라우드 스킬을 익혀야 한다고 둘락은 말했다. “유능한 클라우드 인재는 도메인 전문성,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신뢰라는 3가지 핵심 특성을 갖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호커는 WAN에 중점을 둔 교육은 발전하는 클라우드 전략을 이해하는 또 다른 중요한 방법이라면서, “여기에 더해, 네트워크 전문가는 통신사 및 CSP 업체와 대화하고 협상할 수 있어야 한다”라고 전했다.
아울러 네트워크 전문가는 주요 클라우드 업체가 구현한 네이티브 클라우드 네트워킹을 배워야 한다. 오즈디미어는 “대형 클라우드 플랫폼의 네이티브 네트워킹 구성에 관한 실무 지식을 갖추면 모든 클라우드 네트워킹 구성요소, 서비스 업체 기능, 멀티클라우드 아키텍처 설계 패턴, 그리고 이를 적용하는 방법까지 파악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 밖에 네트워크 리더는 관리 및 비즈니스 기술도 연마해야 한다. 스티븐스는 “네트워크 전문가는 키보드 앞에 앉아 있는 시간을 줄이고, 화이트보드 앞에 더 많이 서야 한다. 시스템을 구성하거나 스크립트를 작성하는 대신, 비즈니스에 깊게 관여해서 더 나은 네트워크가 어떻게 더 나은 비즈니스 결과로 이어지는지 이해하도록 지원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네트워크 전문가는 네트워크 아키텍처, 성능, 토폴로지 전문성을 바탕으로 클라우드 여정에서 계속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전망이다. 오즈디미어는 “클라우드 환경의 복잡성을 완화하는 핵심 팀원으로서 네트워크 전문가의 역할은 계속 진화할 것”이라며, “성공적인 결과를 얻으려면 네트워크 전문가가 전통적인 네트워킹 솔루션과 마찬가지로 클라우드 네트워킹 기능 및 제품을 깊이 있게 이해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는 은행, 보험 회사, 의료 서비스 제공자 및 공공 기관과 같은 조직은 현지 법률 및 요구 사항을 준수해야 하므로 소버린 클라우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합니다. 소버린 클라우드는 특정 정부 서비스를 지원하고 현지 법률 및 규정을 준수하면서 민감한 데이터를 보호하는 특정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 또는 컨소시엄이 소유, 통제 및 운영하는 준공용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 널리 인식되지는 않았지만 소버린 클라우드는 향상된 데이터 제어 및 소유권, 특수 보안 조치, 더 높은 서비스 가용성 및 안정성, 특정 규정 준수 요구 사항 및 데이터 저장 및 처리 용량을 준수하기 위한 사용자 지정과 같은 이점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소버린 클라우드는 다른 클라우드 인프라와 호환되지 않을 수 있으며 잠재적인 정부 감시에 대한 우려로 인해 일부 조직은 대규모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선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혁신 기능과 경쟁력이 제한될 수 있으며 소버린 클라우드에 너무 많이 의존하는 조직은 유연성과 자율성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소버린 클라우드는 다중 클라우드 아키텍처의 일부로 점차 보편화되고 있으며 많은 조직에서 실행 가능한 옵션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수치및이슈
1. 은행이나 보험사, 의료기관, 공공기관 같은 곳에서 클라우드를 사용하면 특정 지역의 법과 요구사항을 준수해야 한다는 추가 과제가 주어진다
2. 지역 정부가 직접 소유할 수도 있고, 여러 기업과 기관의 컨소시엄이 운영할 수도 있다.
3. 적지 않은 경우, 소버린 클라우드는 정부와 밀접하게 일하는 민간 기업이 보유
본문
은행이나 보험사, 의료기관, 공공기관 같은 곳에서 클라우드를 사용하면 특정 지역의 법과 요구사항을 준수해야 한다는 추가 과제가 주어진다. 소버린 클라우드(Sovereign Cloud)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이유이다. 그런데 소버린 클라우드가 이렇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아무도 눈치채지 못한 것 같다.
소버린 클라우드는 특정 국가나 지역, 때로는 특정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특정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가 소유하고 통제하고 운영하는 세미퍼블릭(Semipublic) 클라우드 서비스이다. 지역 정부가 직접 소유할 수도 있고, 여러 기업과 기관의 컨소시엄이 운영할 수도 있다.
적지 않은 경우, 소버린 클라우드는 정부와 밀접하게 일하는 민간 기업이 보유한다. 목표는 특정 정부 서비스를 지원할 수 있는, 특히 민감한 데이터를 보호하고 어떤 국가나 지역에 특화된 법률과 규제를 준수하는 컴퓨팅 인프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처음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아이디어를 형식화하고 정의할 때, 몇몇 클라우드 전문가는 소버린 클라우드라는 용어를 고민했다. 하지만 이 개념은 제대로 뜨지 못했고, 업계는 모든 국가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초대형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에 중점을 뒀다. 지금 우리 클라우드의 현주소이다.
심지어 소버린 클라우드로 이전한 조직이라도 소버린 클라우드에서 운영하기에는 비용 효율이 낮은 일부 시스템을 위해 하이퍼스케일 클라우드가 계속 필요할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소버린 클라우드는 그저 멀티클라우드 배치의 일부가 되고 있다. 멀티클라우드와 그 유연성을 수용하는 것이 오늘날 소버린 클라우드가 새로이 관심을 끄는 이유 중 하나인 것처럼 보인다.
소버린 클라우드의 이점
소버린 클라우드는 데이터에 대한 강화된 통제권과 소유권을 제공해 데이터가 지역의 규제와 법을 준수하며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도록 해준다. 여기에는 데이터를 특정 국가나 지역에 보전하는 것도 포함된다. 퍼블릭 클라우드라면, 데이터가 국가 밖으로 옮겨질지도 모르는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 백업이나 복구 운영 등 이유에 악의는 없다. 소버린 클라우드는 물리적으로 지원하는 국가 내에 존재하기 때문에 이런 위험을 피할 수 있다.
소버린 클라우드는 향상된 보안 장치를 제공한다. 암호화, 접근 제어, 네트워크 세그먼테이션 등을 특정 국가나 지역에 맞춰 제공한다. 물론, 대형 퍼블릭 클라우드도 똑같은, 또는 더 나은 보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소버린 클라우드의 보안 시스템은 특정 국가의 법률과 규제에 맞춰 만들어진 것으로, 해당 국가를 위한 데이터 보안 장치를 지원하는 데는 더 뛰어나다.
소버린 클라우드는 상용 클라우드 서비스보다 더 높은 서비스 가용성과 안정성 수준을 제공한다. 이 부분은 소버린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의 주장이다. 이들 시스템이 사용자나 연결된 애플리케이션과 물리적으로 더 가까이 있다는 점에서 실제로 그럴 수도 있다.
소버린 클라우드는 컴플라이언스 요구사항이나 데이터 스토리지, 처리 역량 등 한 국가나 기관의 특정 요구를 만족하도록 맞춤화할 수 있다. 또한 소버린 클라우드는 정부나 관련 기관이 건물과 필요한 인프라 유지에 투자하기 때문에 일자리 창출과 지역 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도 있다.
투명하고 믿을 수 있는 데이터 관리 프레임워크를 제공함으로써 소버린 클라우드는 데이터 프라이버시와 보안을 걱정하는 지역 시민 및 고객과 신뢰 관계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된다. 게다가 상용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로부터 독립적이기 때문에 해외 기술과 인프라에 대한 의존도도 줄여준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이건 어디까지나 개념이다. 최고의 비유를 들자면, 이웃의 작은 채소가게가 대형 마트보다 제품이 더 좋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두 곳은 같은 농장에서 채소를 구매하는데 말이다.
소버린 클라우드의 단점
그렇다면, 왜 기업은 전용 소버린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것일까?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소버린 클라우드는 다른 클라우드 인프라와 호환되지 않을 수도 있고, 이 때문에 상호 운영성과 데이터 교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비록 소버린 클라우드가 데이터 프라이버시와 주권을 강화할 목적으로 생겼지만, 정부가 시민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모니터링하는 데 이용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프라이버시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다. 많은 기업이 이런 이유로 소버린 클라우드 대신 대형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를 선호한다. 지방 정부가 소버린 클라우드를 소유하는 경우도 많다는 것을 잊지 말기 바란다.
소버린 클라우드는 신기술이나 새 서비스 도입이 느리다. 혁신 역량과 경쟁력에 제약을 받을 수 있다. 한창 인기를 끌고 있는 AI 서비스를 생각해보자. 소버린 클라우드는 대형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처럼 연구개발에 수십억 달러를 쏟아붓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런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
소버린 클라우드에 의존하는 조직은 정부나 컨소시엄 운영에 과도하게 의존해 스스로 유연성과 자율성을 저해한다.
필자는 멀티클라우드가 인기 아키텍처가 되면서 소버린 클라우드 사용도 점점 보편화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특정 국가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부 기업은 해당 지역의 규제와 법률에 부합하기 위해 소버린 클라우드로 이전할 것이다. 소버린 클라우드는 많은 기업에 유효한 선택지이며, 언제나 클라우드 컴퓨팅 포트폴리오의 일환으로 고려해야 한다.
시빅해커·개발자 등과 상시 소통 정부 조달 중심 대응책 한계 극복 클라우드 활용 트래픽 수용력 ↑ 빠르면 4월 사업자 선정 마무리
요약
정부는 팬데믹이나 안전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올해 위기대응 클라우드 플랫폼을 출시할 계획이다. 이 플랫폼은 정부의 마스크 앱 개발에 사용되는 민관 협력 모델을 기반으로 하며 다양한 위기 대응을 지원하는 데 사용될 예정입니다. 클라우드 시스템은 유연하고 쉽게 확장할 수 있지만 이전 온프레미스 시스템은 높은 트래픽을 처리할 수 없었습니다. 정부는 플랫폼을 통해 디지털 기반의 민관협력 위기대응 체계를 구축해 시민과 기업, 정부가 조율되고 효과적인 협업체계를 갖추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정부는 다양한 시민 해커·개발자 커뮤니티를 지원하고 참여 문화를 확산할 계획이다. 이 플랫폼은 이전에 방치되었던 영역의 탐색을 포함하여 위기 대응 테스트 프로젝트에도 사용될 것입니다. 이 플랫폼은 또한 시민 해커 및 민간-공공 부문의 위기 대응과 관련된 데이터의 입력, 처리 및 활용을 용이하게 할 것입니다. 정부는 또한 위기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민간 개발자를 대상으로 교육 자료를 제작하고 연례 교육을 실시할 것입니다. 플랫폼은 새로운 위기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고 민간 주도의 사회 혁신 생태계를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수치및이슈
1. '민관 협력 모델'을 클라우드 플랫폼 안에서 구동하게 만들어 다양한 위기 대응에 활용 가능한 지원체계를 확보할 방침
2. 기존 온프레미스 시스템으로는 대국민 동시접속 트래픽 폭주 대응이 어려웠기 때문에 탄력적으로 시스템 확장이 가능한 클라우드 시스템을 도입
3. 클라우드 플랫폼 자원 확보, 웹·앱 개발·운영비용이 모두 개인이나 기업의 자비 부담이었지만, 국가가 '위기대응 클라우드 플랫폼'을 만들면서 이 같은 부담을 없앴다
본문
정부가 팬데믹이나 안전사고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위기대응 클라우드 플랫폼'을 올해 가동한다.
공적 마스크 앱 개발을 가능하게 했던 '민관 협력 모델'을 클라우드 플랫폼 안에서 구동하게 만들어 다양한 위기 대응에 활용 가능한 지원체계를 확보할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지난해 위기대응 클라우드 플랫폼 활용사업·기반조성 사업을 진행하고 테스트 운영을 마쳤다. 빠르면 다음 달 사업자 선정을 마치고 추진체계를 마련해 운영에 들어간다. 디지털 기반 '민관협력 주도 위기대응 대응체계' 정착이 목표다.
기존 온프레미스 시스템으로는 대국민 동시접속 트래픽 폭주 대응이 어려웠기 때문에 탄력적으로 시스템 확장이 가능한 클라우드 시스템을 도입했다.
클라우드 플랫폼 자원 확보, 웹·앱 개발·운영비용이 모두 개인이나 기업의 자비 부담이었지만, 국가가 '위기대응 클라우드 플랫폼'을 만들면서 이 같은 부담을 없앴다. 국가 위기 상황에서 즉각 활용 가능한 공통서비스나 데이터, 표준 대응 시나리오, 위기별 서비스나 데이터 표준 등 시스템과 프로세스 준비도 플랫폼 상에서 모두 해결할 수 있다.
정부는 위기대응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해 민관 상시 소통과 협력을 지원하는 정책 도구로 활용하고 확산할 계획이다. 플랫폼은 시민·기업·정부가 긴밀하고 효과적으로 협력을 견인하는 체계를 만들어준다. 정부는 시빅해커(ICT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시민 개발자), 개발자 커뮤니티 등 다양한 지원을 하며 참여 문화를 확산시켜 나갈 계획이다.
플랫폼 활성화를 위해 위기대응 실증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기존 공공이 고려치 못했던 분야를 발굴하기 위해서다. 공적 마스크 데이터 개방, 앱 개발 아이디어 등을 제안한 시빅해킹 활동 등 민간 활성화 지원을 위해 시빅해커들과 협업한다. 위기대응 실증에 필요한 데이터는 기존에 구축된 행정안전부 등 시스템 데이터를 연계·활용하며, 실제·가상 데이터 기반으로 시나리오 마련하고 시뮬레이션 검증을 추진한다.
NIA관계자는 “코로나19처럼 전 세계적인 국가 위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정부·기업·시민의 협력이 위기 해결 요소로 부상했다”며 “시빅해커 같은 개인의 자발적 참여와 대응, 기여로 기존 정부조달 방식의 한계를 극복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시빅해커와 민간공공의 위기 관련 데이터를 입력·가공·활용할 수 있도록 데이터 활용 파이프라인 기능 연구와 실증도 한다. 재난부처, 지방자치단체 등을 대상으로 디지털 장애 시나리오 발굴 및 실제 상황을 가정한 모의훈련을 연간 1회 실시할 예정이다. 위기 발생 즉시 대응할 할 수 있도록 민간 개발자(대학생 등) 대상 위기대응 클라우드 플랫폼 활용 교육 자료를 제작하고 교육도 지원한다.
정부는 플랫폼을 통해 새로운 위기대응 체계를 정착시키고 민간 주도의 사회 혁신 견인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NIA관계자는 “이전에는 데이터를 일일이 찾아다녀야 했지만 위기대응 플랫폼에선 관련 데이터를 찾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며 “올해 본격 운영을 통해 환경문제, 디지털 전환, 팬데믹, 안전사고에 효율적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LG CNS는 고객이 클라우드 비용을 최적화할 수 있도록 FinOps Clinic이라는 서비스를 출시했습니다. 이 서비스는 클라우드 채택이 급증하고 다중 클라우드 환경을 사용함에 따라 고객이 직면하는 클라우드 비용 관리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FinOps Clinic은 재무 관리와 DevOps 방법론을 결합하여 클라우드 사용에 대한 체계적인 비용 관리를 제공합니다. 이 서비스는 Inform, Optimize, Operate의 3단계로 구성됩니다. Inform 단계에서 고객은 멀티 클라우드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비정상적인 비용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습니다. Optimize 단계에서는 데이터 분석을 통해 최적의 클라우드 리소스를 추천하고 Power Scheduling은 낭비되는 클라우드 리소스를 감지하여 비용을 절감합니다. 마지막으로 Operate 단계에서 LG CNS는 고객의 클라우드 최적화를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장기적인 클라우드 사용을 계획합니다. LG CNS는 MSP의 역량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클라우드 비용 관리로 고객의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지원하고자 합니다.
수치및이슈
1. ‘핀옵스’는 ‘Finance(파이낸스)’와 ‘DevOps(데브옵스)’의 합성어
2. 고객은 최소 비용으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는 형태로 CSP를 분배 사용
3. AI 기반으로 일단위 비용도 예측해 혁신적인 비용 절감 효과
본문
[데일리안 = 조인영 기자]LGCNS는 고객의 클라우드 비용 최적화를 위한 ‘핀옵스 클리닉(FinOpsClinic)’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21일 밝혔다.
클라우드가 고객 비즈니스의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으면서, 클라우드 비용 관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클라우드는 소비자 요구사항에 따른 민첩한 대응과 고객의IT투자비용을 감소시켜 그 자체만으로도 비용 효율적이다.
그러나 클라우드 사용량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멀티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온프레미스(서버 기반의 시스템 사용 환경) 등 다양한 환경을 사용하게 되면서 비용 관리의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LGCNS는 클라우드 비용 관리에 대한 고객의 어려움(PainPoint)을 해결하기 위해,MSP(ManagedServiceProvider) 역량 중 비용 관리 측면의 노하우를 담은 ‘핀옵스 클리닉’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MSP는 클라우드 경험이 없는 고객사의IT시스템을CSP가 제공하는 클라우드 인프라로 안정적으로 전환하고 운영을 수행하는 기업을 말한다.
‘핀옵스’는 ‘Finance(파이낸스)’와 ‘DevOps(데브옵스)’의 합성어다. 재무를 뜻하는 파이낸스, 개발과 운영을 통합해 서비스 제공 속도와 안정성을 높이는 조직적·문화적 방법론인 데브옵스를 결합했다. 즉 ‘핀옵스 클리닉’은 재무와 클라우드 운영을 긴밀히 통합함으로써 클라우드 사용 비용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서비스다.
핀옵스 클리닉 서비스는 정보제공(Inform), 최적화(Optimize), 운영(Operate) 3단계로 구성된다.LGCNS는 정보제공 서비스를 통해 고객이 사용하는 다양한 멀티 클라우드 사용 현황과 비용을 통합 조회하고, 이를 위한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멀티 클라우드는 한 개의CSP(CloudServiceProvider)에 종속되지 않고 비즈니스 특성에 따라AWS,MS, 구글 클라우드 등 여러CSP를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고객은 정보제공 단계에서 클라우드 사용 패턴과 비정상 발생 비용을 실시간으로 탐지할 수 있다.
CSP는 고객사에 클라우드 인프라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대표적인CSP로AWS(아마존웹서비스),MS, 구글 클라우드 등이 있다.
최적화 단계에서는 3개월간의 클라우드 사용 데이터를 분석해 최적 스펙의 자원을 추천한다. 고객은 최소 비용으로 최적의 성능을 발휘하는 형태로 CSP를 분배 사용할 수 있다.
낭비되는 클라우드 자원을 검출하거나, 자원 미사용 시간에는 자동으로 사용을 중단하는 파워스케줄링이 가능하다.AI 기반으로 일단위 비용도 예측해 혁신적인 비용 절감 효과도 가져온다.
운영 단계에서LGCNS는 이전 단계에서 수행했던 과정을 통해 고객 클라우드 최적화를 지속 관리하고, 장기적인 사용 계획을 수립한다.
LGCNS는 클라우드 비용 관리 전문가를 다수 투입해 핀옵스 클리닉 전담 조직을 대폭 강화했다. 최근에는 핀옵스 클리닉 실제 적용을 통해 클라우드 비용 절감 사례를 만들었다.
AWS클라우드 인프라를 사용하고 있는 A사는 핀옵스 클리닉을 통해 자원 사용 패턴을 개선하며 20% 이상의 비용을 절감했다. B사 역시 클라우드 자원 생성 단계부터 파워스케줄링을 적용하고, 백업 클라우드를 강화하는 등 3개월 간의 작업을 거쳐 클라우드 비용 30% 이상을 줄였다.
이재승LGCNS클라우드사업담당 상무는 “글로벌 경기 침체 상황에서 효과적인 클라우드 비용관리를 가능케 하는 핀옵스 클리닉이 앞으로 더욱 중요한 기술이 될 것”이라며 “MSP역량과 노하우를 활용해 고객사들의 성공적 비즈니스를 지원하는데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특정 기업이나 기술에 의존하지 않는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을 더욱 발전시킬 계획이다. OPA(Open Cloud Platform Alliance)는 개방형 플랫폼 표준 참조 모델(가칭 K-PaaS)을 정의하고 표준 기능 생성을 지원하며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파일럿 인증을 수행합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은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생태계 활성화 및 활성화를 위해 올해 430억원을 투자한다.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은 Kubernetes를 기반으로 하며 오픈 소스 유지 관리 및 고급 기능을 유지하도록 업그레이드됩니다. 정부는 2025년까지 클라우드 파운드리(CF)를 사용하는 16개 기관에 대한 기술 지원을 종료하고 쿠버네티스로 계속 고도화할 예정이다.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설치·활용을 위한 실무 전문가 양성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 플랫폼 체험 환경 제공을 위한 산학협력도 지원한다. OPA를 중심으로 K-PaaS 1.0 정의 및 표준 기능 개발을 추진하고,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파일럿 인증을 실시한다.
수치및이슈
1. 정부가 특정 기업과 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옛 PaaS-TA)'을 고도화
2.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기술지원 및 유지보수·관리' 사업에는 총 38억원을, '한국형 오픈 플랫폼 표준 참조모델(K-PaaS 1.0)' 시험·인증 기준 수립 및 시범 인증에는 총 5억원을 지원
3. 클라우드 파운드리(CF) 기반으로 이용 중인 서울·부산·수원시, 농촌진흥청, 한국전력 등 16개 기관에는 2025년까지 기술지원을 종료하고, 쿠버네티스 기반(K8S)으로 지속적인 고도화를 할 예정
본문
정부가 특정 기업과 기술에 종속되지 않는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옛 PaaS-TA)'을 고도화한다. '오픈 클라우드 플랫폼 얼라이언스(OPA)'이 추진키로 한 오픈 플랫폼 표준 참조모델(가칭K-PaaS)을 정의하고 표준기능 마련을 지원한다. 상호호환성 확보를 위한 시범 인증도 진행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올해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생태계 조성·활성화에 43억원을 투입한다.
이 중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기술지원 및 유지보수·관리' 사업에는 총 38억원을, '한국형 오픈 플랫폼 표준 참조모델(K-PaaS 1.0)' 시험·인증 기준 수립 및 시범 인증에는 총 5억원을 지원한다.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은 쿠버네티스 기반으로 오픈소스 유지보수 및 첨단기능을 고도화한다. 클라우드 파운드리(CF) 기반으로 이용 중인 서울·부산·수원시, 농촌진흥청, 한국전력 등 16개 기관에는 2025년까지 기술지원을 종료하고, 쿠버네티스 기반(K8S)으로 지속적인 고도화를 할 예정이다.
전문인력과 산학협력도 지원해OPA를 연계한 실용적 전문인력을 양성키로 했다.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설치·활용 관련 교육 과정·시험평가로 매년 200명 이상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플랫폼 체험환경도 제공한다.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체험·협력 공간을 제공하고 서비스 개발 아이디어 공모전도 추진한다. 클라우드 플랫폼 개발환경·교육 제공으로 클라우드 네이티브와 청년 개발자 양성을 통한 클라우드 플랫폼 활용·접근성을 제고시킬 계획이다.
'K-PaaS1.0' 정의와 표준기능 마련은OPA를 중심으로 추진한다.PaaS-TA가 공공 주도였다면K-PaaS는 민간 중심 참조모델이다.
상호호환성 확보를 위해K-PaaSV1.0시험·인증 기준을 수립하고 시범 인증을 진행한다.K-PaaS에 맞는 시험 환경구축, 자동화 시험도구, 시험기준과 절차 수립 등 도출된 시험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인증 프로세스를 마련한다. 시험인증제도 활성화(인건비 확보, 인증 기준 고도화, 인증 기업 확대)를 위해 중장기적으로 시험인증 수수료의 유료 전환도 준비한다.
NIA관계자는 “올해는 참조모델 기반으로 고도화할 예정”이라며 “민간 중심의 오픈 플랫폼 생태계를 조성해 비즈니스 혁신 기반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네이버클라우드, KT클라우드, NHN클라우드 등 국내 클라우드 기업과 리벨리온, 사피리온, 퓨리오사이 등 AI 칩 제조사가 정부가 추진하는 고성능 AI 칩팜 사업에 참여를 신청했다. 국산 AI 칩을 활용한 고성능 저전력 데이터센터 이 프로젝트는 10페타플롭의 컴퓨팅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2개의 데이터 센터 건설을 포함하며 광주 AI 클러스터와 민간 부문이 주도하는 다른 위치에 위치합니다. 참여 컨소시엄은 이달 말 평가·검토를 거쳐 선정되며, 데이터센터 내 AI 애플리케이션 운영을 맡는다.
수치및이슈
1. 'K 클라우드 프로젝트' 첫 번째 사업으로 추진되는 AI 반도체 팜 사업에 네이버클라우드, KT클라우드, NHN클라우드 등 클라우드 업체가 참여를 신청
2. AI 반도체 업체로는 리벨리온, 사피온, 퓨리오사AI가 신청
3. AI 반도체 팜 사업은 연산 용량이 10페타플롭스(PF·초당 1천조 번 부동 소수점 연산) 규모의 고성능 연산이 가능한 저전력 데이터센터(NPU 집적단지)를 광주 AI 집적단지에 1곳, 민간 주축으로 1곳 각각 구축하는 사업
본문
(서울=연합뉴스) 조성미 기자 = 고성능 연산이 가능한 저전력 데이터센터를 국산 인공지능(AI) 반도체로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정부가 추진 중인'AI반도체 팜' 사업에 국내 클라우드 '빅 3'가 출사표를 던졌다.
20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K 클라우드 프로젝트' 첫 번째 사업으로 추진되는 AI 반도체 팜 사업에 네이버클라우드, KT클라우드, NHN클라우드 등 클라우드 업체가 참여를 신청했다.
AI 반도체 업체로는 리벨리온, 사피온, 퓨리오사AI가 신청서를 냈다.
이들 클라우드 업체와AI반도체 업체는AI서비스 업체들과 컨소시엄을 이뤄AI반도체 팜 실증에 나선다.
AI 반도체 팜 사업은 연산 용량이 10페타플롭스(PF·초당 1천조 번 부동 소수점 연산) 규모의 고성능 연산이 가능한 저전력 데이터센터(NPU 집적단지)를 광주 AI 집적단지에 1곳, 민간 주축으로 1곳 각각 구축하는 사업이다.
사업 참여를 신청한 컨소시엄은 이달 말 적합성 검토와 평가 및 심의위원회를 거쳐 광주AI집적단지 데이터센터와 민간 주축 데이터센터 내AI응용서비스 운영 실증을 맡게 된다.
삼성전기는 손떨림 보정 기능을 기존 제품보다 2배 이상 강화한 2억 화소 카메라 모듈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새로운 모듈은 이전 제품의 1.5도에 비해 3.0도의 안정화 각도를 제공하므로 더 큰 수준의 카메라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습니다. 광학식 손떨림 보정(OIS) 기능으로 이동 중에도 안정적인 사진과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습니다. 증가된 OIS 각도는 자성체와 코일의 설계를 최적화하면서 모듈 크기를 이전 버전과 유사하게 유지함으로써 달성됩니다. 이 기술은 플래그십 스마트폰의 고해상도 센서 및 고급 비디오 기능에 대한 요구 사항이 증가함에 따라 수요가 높습니다. 삼성전기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렌즈 등 카메라 핵심 부품의 자체 설계 및 생산 역량을 갖추고 있다.
수치및이슈
1. 삼성전기가 흔들림 보정 기능이 두 배 이상 향상된 2억화소급 카메라 모듈을 선보인다
2. 손떨림 보정 각도는 3.0도로 기존 제품 보정 각도 1.5도보다 두 배 우수
본문
삼성전기가 흔들림 보정 기능이 두 배 이상 향상된 2억화소급 카메라 모듈을 선보인다고 20일 밝혔다.
삼성전기에 따르면 이 제품의 손떨림 보정 각도는 3.0도로 기존 제품 보정 각도 1.5도보다 두 배 우수하다. 보정 각도란 사진 촬영 시 발생하는 흔들림 정도를 각도로 환산했을 때 선명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한다. 보정 각도가 클수록 큰 떨림을 바로잡아준다.
광학 이미지 안정화(OIS) 기능을 탑재한 카메라를 사용하면 사용자가 움직이면서도 사진이나 동영상을 안정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빛 노출 시간이 길어지는 어두운 환경에서 멀리 있는 피사체를 선명하게 찍을 수 있는 것도 장점이다.
OIS보정 각도를 키우려면 렌즈 구동 거리가 늘어나야 한다. 이 때문에 구동에 필요한 부품 수가 많아져 카메라 모듈 크기도 커진다. 삼성전기는OIS성능에 영향을 주는 자성체와 코일을 최적으로 설계해 구동 거리를 늘리면서도 카메라 모듈 크기는 지난 제품과 비슷한 수준으로 최소화해 '카툭튀(카메라 툭 튀어나옴)' 문제를 해결했다. 이태곤 삼성전기 광학통신솔루션 부사장은 "최근 플래그십 스마트폰 중심으로 고화소 센서, 동영상 기능 고도화 등 카메라 모듈의 성능 향상 요구가 꾸준하다"며 "삼성전기는 국내 최초로 광학 10배줌 폴디드 카메라를 출시하는 등 렌즈 같은 핵심 부품을 직접 설계·제작하는 독자 기술력을 보유한 유일한 회사"라고 밝혔다.
한국의 스타트업인 이노스페이스는 삼성, 현대와 같은 기업들도 우주 관련 벤처에 집중하면서 한국의 민간 우주 경제 진출을 향해 빠르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InnoSpace는 최근 브라질에서 고체 연료와 액체 산화제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로켓을 테스트했습니다. 하이브리드 로켓 분야 세계 3위, 국내 1위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노스페이스는 2026년까지 최대 500kg의 탑재체를 상용화하고 2030년까지 유인 우주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세계 우주 경제는 2030년까지 6조 420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한민국 우주산업을 선도하기 위한 경쟁도 하고 있습니다.
수치및이슈
1. 이노스페이스가 발사체를 쏘아올리는 등 우주 기업들이 발 빠르게 움직이면서 한국도 민간 중심 우주 경제인 '뉴스페이스' 진입 목전
2. 이노스페이스는 하이브리드 로켓 분야에서 국내 1위, 세계 3위 기술을 보유
3. 세계 우주 발사 서비스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142억1000만달러(약 18조6000억원)로 2021년 126억7000만달러(약 16조6000억원)에 비해 1년 만에 12.6% 성장
본문
국내 스타트업인 이노스페이스가 발사체를 쏘아올리는 등 우주 기업들이 발 빠르게 움직이면서 한국도 민간 중심 우주 경제인 '뉴스페이스' 진입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이번에 브라질에서 발사체 한빛-TLV를 시험발사한 이노스페이스는 고체 연료와 액체 산화제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로켓'을 만든다. 이노스페이스는 하이브리드 로켓 분야에서 국내 1위, 세계 3위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김수종 이노스페이스 대표는 "하이브리드 로켓의 장점은 폭발 위험이 없는 '안전성'으로, 국내에서 로켓을 개발해도 해외 운송의 제약이 없어 사업자가 원하는 지역에서 발사하는 '찾아가는 서비스'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미 브라질과는 2026년까지 발사 계약을 마쳤다.
이노스페이스는 2026년에는 500㎏까지 실을 수 있는 발사체를 상용화할 예정이며 2030년에는 유인 우주선을 개발하는 게 목표다. 김 대표는 "내년에 50㎏ 중량의 한빛 나노로 상업 서비스를 시작한 후 2026년에는 탑재 중량 500㎏대의 한빛 미니에 대한 서비스를 할 예정"이라며 "탑재 중량이 늘면 발사 서비스도 점차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주 강국'으로 도약하는 길은 한국이 'G5(주요 5개국) 강국'으로 올라서기 위해 반드시 가야만 하는 길이다. 전 세계는 현재 우주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전력 질주 중이다. 우주 분야 시장 조사 및 컨설팅 업체인 유로컨설트에 따르면 2021년 세계 우주 경제 규모는 3700억달러(약 400조원)다. 225조원인 메모리 반도체를 넘어 550조원인 비메모리 반도체시장 규모에 육박한다.
우주시장은 2030년 지금보다 두 배에 달하는 6420억달러(약 850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시장을 빼놓고선 경제 성장을 논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특히 발사체는 물체와 사람이 지구에서 우주로 향하는 유일한 운송수단인 만큼 우주산업 내에서도 가장 핵심 사업으로 꼽힌다. 국제 시장조사기관 '포천 비즈니스 인사이트'에 따르면 전 세계 우주 발사 서비스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142억1000만달러(약 18조6000억원)로 2021년 126억7000만달러(약 16조6000억원)에 비해 1년 만에 12.6% 성장했다. 2029년에는 319억2000만달러(약 42조원)까지 시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발사체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스페이스X는 기업가치가 최대 1500억달러(약 197조원)에 달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는 대표적인 우주항공산업 기업으로 꼽히는 록히드마틴 시가총액 1189억달러(약 156조원)를 뛰어넘는 규모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 한국 기업도 '한국판 스페이스X'를 목표로 우주산업에서 주도권을 잡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해 '누리호(한국형 발사체·KSLV-II) 고도화 사업 발사체 총괄 주관 제작' 사업을 수주하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발사체 기술을 이전받아 민간 우주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
네 차례의 누리호 추가 발사를 통해 민간 기업에 기술 이전이 본격화된다. 올해 발사될 한국형 발사체는 이미 단별 조립이 완료된 상태이지만 체계종합기업으로 선정된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후 발사될 발사체 3기를 함께 제작하면서 제작 기술 숙련도를 끌어올릴 뿐만 아니라 설계 노하우를 비롯한 기술도 이전받는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과거 누리호의 액체 엔진 6기 제작을 맡으면서 기술 역량을 입증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는 스페이스허브가 힘을 실어준 데 따른 것이다. 스페이스허브는 한화그룹 우주·항공협의체로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 (주)한화가 참여하고 있다. 오너 3세인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이 직접 팀장을 맡았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관계자는 "발사체는 우주산업의 핵심 분야"라며 "발사체를 통한 우주 수송 서비스부터 위성 활용 서비스, 우주 탐사에 이르는 우주 사업 가치사슬을 구축해 국내 최초로 우주산업 토털 솔루션을 제공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누리호 사업에서 체계 총 조립과 1단 추진체 탱크 개발에 참여하며 우주사업 역량을 쌓았던 KAI 역시 한국의 뉴스페이스 시대를 열기 위해 뛰고 있다. 누리호 체계 총 조립을 맡아 KAI는 300여 개 기업이 제작한 부품을 바탕으로 발사체를 완성한 바 있다.
최근 KAI는 발사체 제조뿐만 아니라 위성 활용 서비스시장에까지 진출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지난달 12일에는 강구영 KAI 사장이 "2050년에는 매출 40조원, 세계 7위 우주 기업으로 성장하겠다"는 비전도 선포했다. 특히 우주 사업에 대해선 "기존 중대형 중심의 플랫폼을 소형·초소형까지 확대하고, 고부가가치 위성 서비스시장 진출을 통해 뉴스페이스 시대를 주도적으로 선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들뿐만 아니라 국내 스타트업도 뉴스페이스 생태계 조성을 위해 땀을 흘리고 있다. 이노스페이스와 함께 기술적 성과를 내고 있는 대표적인 발사체 기업으로 꼽히는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 위성체 제작업체인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 드림스페이스월드, 우주로테크 등이 한국의 대표적인 우주 스타트업으로 꼽힌다.
1. KCC는 인공지능(AI) 기반 설계 프로그램을 활용해 색상 배합 설계부터 조색 공정을 5분 안에 끝내는 ‘K-SMART 시스템’을 개발
2. 기존에는 이 같은 공정에 2~3시간이 소요
본문
KCC는 인공지능(AI) 기반 설계 프로그램을 활용해 색상 배합 설계부터 조색 공정을 5분 안에 끝내는 ‘K-SMART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K-SMART 배합은 소비자가 도료를 주문하면 KCC가 50년간 축적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비슷한 색상을 분석하고 품질을 검증해 최적의 색상을 조합해주는 시스템이다. 기존에는 이 같은 공정에 2~3시간이 소요됐다. 모바일과 PC로 24시간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색상을 신속하게 매칭하고 긴급 주문에도 빠르게 대응할 수 있다.
소비자의 요구와 불만 사항을 반영해 개선하는 데도 수월하다는 평가다. KCC는 K-SMART 배합을 공업, 플랜트, 건축용 제품에 적용하고 있다.
1. 중소벤처기업부는 20일 내부 및 산하기관 임직원을 대상으로 챗GPT 활용법 등 디지털 역량 강화 교육
본문
중소벤처기업부는 20일 내부 및 산하기관 임직원을 대상으로 챗GPT 활용법 등 디지털 역량 강화 교육을 했다.
중기부에 따르면 이날 하정우 네이버 인공지능(AI)연구소장은 정부 세종청사에서 ‘GPT4 시대, 초거대 생성AI 대응 전략’을 주제로 특강했다. 이날 강연에선 초거대 생성AI(챗GPT, 하이퍼클로바 등)의 기능을 소개하고 시연했다. 중소기업·스타트업의 생산성 강화 방안, 공공업무와 연계한 활용 방법, 제도 개선 사항 등도 다뤘다. 중기부는 공공분야에서 초거대 생성AI를 활용해 업무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본질적인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사례라고 설명했다.
이용자 폭주로 베타서비스 중단 이미지 그려주고 외국어도 인식 답변 정확도 등 개선점도 많아
요약
카카오는 자회사 카카오브레인이 개발한 한국어 GPT 모델을 활용한 AI 챗봇 서비스 '다다움' 베타 서비스를 시작한 지 하루 만에 잠정 중단했다. 이 회사는 하루 만에 13,300명 이상의 사용자가 서비스에 액세스하는 엄청난 트래픽을 보고하여 중단되었습니다. 다다움은 카카오톡 메신저 앱을 통해 AI와 실시간으로 대화할 수 있는 서비스다. 이 서비스는 카카오브레인의 한국어 중심 언어 AI 모델인 KoGPT와 이미지 생성 AI 모델인 '칼로'를 활용한다. 이 서비스는 다중 모드 AI 처리 및 외국어 인식과 같은 몇 가지 장점을 보여 주었지만 오답을 생성하는 단점도 있었습니다.
수치및이슈
1. 카카오가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반 챗봇 서비스를 하루 만에 잠정 중단
2. 이용자가 한국어로 멀티모달 AI를 쓸 수 있다
3. ‘내일 경기 포천힐스 골프장 날씨’를 입력하면 ‘_do-daum-search_내일 포천힐스 날씨’라는 답변이 나오는 식, 답변 오류도 잇따라
본문
카카오가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반 챗봇 서비스를 하루 만에 잠정 중단했다. 이 회사는 카카오톡 등 자사 서비스에 ‘한국형 챗GPT’를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20일 정보기술(IT)업계에 따르면 카카오의AI자회사 카카오브레인은 전날 오후 8시께 시작한AI챗봇 ‘다다음(ddmm)’ 베타서비스(사진)를 이날 오후 4시께 잠정 중단했다. 카카오브레인 관계자는 “무료 테스트에 하루 만에 이용자가 1만3300여 명까지 몰리는 등 접속이 폭주해 서비스를 중단했다”고 설명했다. 베타서비스 재개 시점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다다음은 메신저 앱 카카오톡 채널을 통해 이용자가AI와 1 대 1로 대화할 수 있는 서비스다. 카카오브레인이GPT-3기반으로 개발한 한국어 특화 초거대 언어AI모델 ‘KoGPT’, 이미지 생성AI모델 ‘칼로’ 등을 활용한다.
시험 서비스를 써보니 장점과 단점이 뚜렷했다. 이용자가 한국어로 멀티모달 AI를 쓸 수 있다는 점은 높이 평가할 만하다. 멀티모달은AI가 텍스트만이 아니라 이미지 등 여러 유형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을 뜻한다. 다다음은 이용자가 만들고 싶은 이미지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 뒤 ‘그려줘’라고 요청하면 이미지를 보내준다.
외국어 인식도 기본 수준에선 무리가 없었다. 스페인어와 영어로 질문해도 답이 나왔고, 한국어 대신 영어로 대답하라는 명령어를 쓰자 질문에 영어 응답이 출력됐다. 문법이 틀린 일본어 문장에 대해서도AI가 적절한 맥락을 추론해 제대로 된 답을 내놨다.
실시간 정보를 처리하는 것도 특징이다. 언어별로 일정 시점까지 데이터를 학습해 제한된 답변을 내놓는 챗GPT와 다르다. 답변은 대부분 다음 검색을 기반으로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검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사례가 있었다. ‘내일 경기 포천힐스 골프장 날씨’를 입력하면 ‘_do-daum-search_내일 포천힐스 날씨’라는 답변이 나오는 식이다. 답변 오류도 잇따랐다. 지난해 골프 마스터스 대회 우승자를 묻자 다다음은 ‘조던 스피스’라고 답했다. 실제는 스코티 셰플러다.
카카오브레인 관계자는 “다다음은AI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모은 뒤 유효성 검사를 거쳐 답변하는 구조”라며 “정보가 너무 많거나 적은 경우 이 과정에서 잘못된 답변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운영비 1억원·업무공간 제공 이재용 회장 '동행 철학' 확산 "청년 일자리 창출 등에 기여"
요약
삼성전자가 AI 혁신 허브로 거듭나는 광주에 스타트업 인큐베이터 'C랩 아웃사이드'를 열었다. 인큐베이터는 광주 창업생태계를 활성화하고 지역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업계 전문가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은 삼성의 "상생" 경영 철학의 일부입니다. AI, 헬스케어, 소재 분야 스타트업 5개사가 1차 입주기업으로 선정됐다. 이들은 삼성전자로부터 1억 원의 펀딩과 전용 업무 공간, 컨설팅 지원을 받게 된다. 또한 삼성 청소년 소프트웨어 아카데미(SSAFY), Hope-Start(청소년 자립 지원) 등 광주 지역 사회공헌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수치및이슈
1.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혁신거점’으로 거듭나고 있는 광주에 외부 스타트업 육성 기관인 ‘C랩 아웃사이드’ 캠퍼스를 열었다
2. AI, 헬스케어, 소재 분야의 스타트업 다섯 곳이 1차 입주기업으로 선정
본문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혁신거점’으로 거듭나고 있는 광주에 외부 스타트업 육성 기관인 ‘C랩 아웃사이드’ 캠퍼스를 열었다. 광주 스타트업 창업 생태계에 활기를 불어넣고 지역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기 위해서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상생 경영’ 철학이 전국으로 확산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삼성전자는 광주 서구 삼성화재 상무사옥에서 ‘C랩 아웃사이드 광주캠퍼스’ 개소식을 열었다고 20일 발표했다. C랩 아웃사이드는 삼성전자가 2018년 시작한 외부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이다. 국내 창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양질의 청년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목적에서 마련했다. 서울 이외 지역에 C랩 아웃사이드 캠퍼스가 조성된 건 지난 2월 대구에 이어 두 번째다.
AI, 헬스케어, 소재 분야의 스타트업 다섯 곳이 1차 입주기업으로 선정됐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1월 광주 소재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공모전을 열고 전문가의 심사를 거쳐 입주사를 뽑았다. 이들은 삼성전자로부터 1억원과 전용 업무 공간, 컨설팅 지원 등을 받는다.
이날 개소식엔 강기정 광주시장과 광주에 지역구를 둔 송갑석(더불어민주당)·양향자(무소속) 의원, 김완표 삼성글로벌리서치 사장 등이 참석했다. 강 시장은 “광주에 글로벌 스타트업이 많이 나와 대한민국의 실리콘밸리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스타트업의 혁신성, 역동성과 삼성의 노하우, 인프라, 네트워크가 시너지를 내면 새로운 혁신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는 광주 사랑이 남다르다는 평가를 받는다. 삼성전자 광주사업장은 임직원 3400명이 일하며 연 5조원의 매출을 올리는 핵심 생산시설이다. 1~3차 협력업체만 200여 곳에 이를 정도로 지역경제의 중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재용 회장도 작년 10월 취임 후 첫 현장 행보로 광주지역 협력사를 방문했다. 당시 이 회장은 “협력회사가 잘돼야 우리 회사도 잘된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삼성청년소프트웨어아카데미(SSAFY), 희망디딤돌(청소년 자립 지원) 등 대표CSR프로그램을 광주에서 운영 중이다.
[DD주간브리핑] 'IT 비용절감' 해법은?… 23일 ‘클라우드 임팩트 2023’ 컨퍼런스 개최
- 3월 美 기준금리 결정위한FOMC정례회의 21~22일 개최
- 21일, '애플페이' 마침내 국내서 정식 서비스
-‘GDC2023’가 오는 20일~24일 미 샌프란시스코서 개최
- 워크데이, 23일 '일하는 방식의 혁신' 조찬 세미나
요약
X (본문의 내용이 길긴하나 한주의 이슈를 모아주어서 본문을 읽어보거나 링크를 통해 접속해 읽어보는 것도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각각의 내용이 이미 요약이 되어있다 볼 수 있다.)
수치 및 이슈
1. 많은 기업들이 인재 부족을 겪고 있는 현 상황에서 AI와 ML을 활용하여 직원의 현재 스킬을 파악하고 향후 기업에서 필요로 할 스킬과 관련된 인재 프로그램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2. 우주항공청 설립 움직임에 맞선 대안으로 독립‧범부처 우주 전담기구 설치 방안을 모색하는 ‘우주항공청특별법의 문제 분석과 대안 입법을 위한 토론회’ 개최
3. GDC는 게임산업 트렌드와 최신 기술, 노하우를 공유하는 자리로, 위메이드, 넥슨, 넷마블, 컴투스 등 국내 주요 게임사들도 부스를 내거나 강연자로 나선다
본문
[편집국 종합] 지난 주는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됐던 '인터배터리 2023' 행사가 큰 관심을 모으며 진행됐다. 이번 주에도 클라우드 혁신 전략을 비롯한 다양한 주제로IT컨퍼런스가 진행된다.
이번 주 20일부터는 지하철, 버스 등 대중교통에서도 마스크 쓰기가 해제된다. 출퇴근 등 혼잡시간에는 마쓰크 쓰기가 권고되나 의무는 아니다. 병원 등 취약시설등을 제외하곤 3년만에 완전히 코로나19 시대와의 결별을 상징한다.
지난주 미국 실리콘뱅크은행(SVB)의 파산 여파, 이어진 유럽 대형 은행인 크레딧스위스(CS)은행의 신용위기로 미국 뿐만 아니라 국내 증시의 변동성도 매우 높아졌다.
이번 주에도 증시의 변동성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오는 21일~22일(현지시간) 미국 연준(Fed)이 3월 기준금리 결정을 위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진행한다.
당초 여전히 과열된 미국의 고용 및 물가지표탓에 '빅스텝'(0.5%P 기준금리인상)까지도 예상됐었으나 이후 돌출된SLB파산의 여파로 현재로는 '베이비스텝' 또는 동결까지도 일각에선 점치고 있다.
금융권에선 21일 국내에서 정식 출시되는 '애플페이'(ApplePay)가 관심사다. 국내 아이폰 사용 고객은 비접촉식NFC결제 단말기가 설치된 가맹점에서 결제를 할 수 있다. 일단은 서비스가 시작되더라도 현대카드를 통해 제공되고 이후 여러 카드사들이 연계에 서비스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2023년 최신 클라우드 전략은? = 올해 클라우드보안등급제, 공공 클라우드 개방, 금융권 클라우드 확대 등 국내 시장의 변혁이 예고된 가운데 <디지털데일리>는 오는 3월22일 오전 9시30분부터 서울 서초구 양재동 엘타워에서 ‘클라우드 임팩트 2023 콘퍼런스’를 개최한다.
경기침체와 함께 시장 불확실성도 커짐에 따라 기업들의IT비용 최적화 전략이 본격화되는 상황에서 ‘생존의 시대, 기업 리빌딩을 위한 클라우드 전략’을 주제로 산업계 전문가들의 인사이트가 공유될 예정이다.
이날 콘퍼런스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CSAP등급제 추진현황 및 계획을 발표한다. 또 한국IBM, 델(Dell) 테크놀로지스, 영림원소프트랩, 몽고DB,LGCNS, 베리타스코리아,SKC&C, 이지서티, 베스핀글로벌, 아카마이,NHN클라우드, 한국 리눅스재단, 메가존클라우드 등 주요 클라우드 전문 기업들이 최신 기술 트렌드와 각사의 기술력, 베스타 레퍼런스를 공유할 예정이다.
◆방송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 올라갈까=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21일 방송법과 방문진법, 교육방송공사법 등의 본회의 부의 요구 건을 처리할 예정인 가운데, 여야 간 격돌이 예상된다. ‘공영방송 정치독립법’으로 불리는 방송법 개정안은 지난해 12월 상임위 전체회의 문턱을 넘었지만 법제사법위원회가 이를 다시 돌려보냈다.
이에 과방위 더불어민주당 위원들은 지난 16일 본회의 직권회부 의결을 시사했다. 그러자 박성중 과방위 국민의힘 간사는 “방송법 개악을 위해 애초부터 여당을 패싱하고 강행처리를 준비 중”이라고 비난하고 나섰다.
이번 개정안의 핵심은 현재 9~11명 규모인KBS·MBC·EBS이사회를 21명으로 늘리고 직능단체별 2인씩 추천한 인사의 이사회 참여를 보장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 국민 100명으로 구성된 사장후보추천위원회를 구성해 사장 후보를 추천하고 이사진 3분의2 찬성으로 사장을 결정하는 내용도 담겨 있다.
그동안 여야는 이 개정안을 두고 여러 차례 충돌해왔다. 민주당은 공영방송 지배구조 개선을 통해 정치권력의 방송장악을 막기 위한 법이라고 피력했지만, 국민의힘은 민주노총을 위한 악법 중의 악법이라며 반대하고 있다.
◆AI와 일하는 방식의 변화는? = 현대 기업에게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ML)이 효과적인 데이터 전략으로써 비즈니스 결과를 좌우하는 주요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워크데이가 오는 23일 오전 7시부터 서울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데미안 리치(DamianLeach) 워크데이 아시아태평양 및 일본지역의 CTO가 AI와 ML의 차이와 ‘일의 미래’를 형성하고 있는 실제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이미 혁신적인 기업들은AI와ML을 통해 효과적인 인력 및 전사 계획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많은 기업들이 인재 부족을 겪고 있는 현 상황에서AI와ML을 활용하여 직원의 현재 스킬을 파악하고 향후 기업에서 필요로 할 스킬과 관련된 인재 프로그램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워크데이는 이 자리에서 전세계 기업의 인재 프로그램 혁신 전략을 살펴볼 계획이다.
◆우주항공청 설치 특별법 토론회 잇따라 열려=‘우주항공청’ 설립을 둘러싼 토론회가 연이어 열린다. 먼저 20일 하영제 의원실(국민의힘) 주관으로 ‘성공적인 우주항공청 설립을 위한 우주항공청 특별법 세미나’가 개최된다. 우주항공청 성공을 위해 정책과제 점검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다.
이어 22일에는 국회 과방위 소속 변재일·이인영·조승래·윤영찬·이정문·장경태 의원괴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이원욱 의원 등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우주항공청 설립 움직임에 맞선 대안으로 독립‧범부처 우주 전담기구 설치 방안을 모색하는 ‘우주항공청특별법의 문제 분석과 대안 입법을 위한 토론회’를 연다.
우주항공청은 과기정통부 소속 청에 불과해 위상과 독립성 면에서 범부처 조정 기능이 어렵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이날 과방위 야당 간사인 조승래 의원이 현재 구상 중인 대체 입법 방향을 설명하는 시간도 갖는다.
◆박완주 의원실, 22일 망이용대가 토론회 개최=박완주 의원(무소속)이 22일 오전 망이용대가 토론회를 개최한다. 최근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MWC2023에서도 인터넷서비스사업자(ISP, 통신사)와 콘텐츠제공사업자(CP)가 인프라 투자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진 바 있다.
박 의원은 그동안 이에 대한 대안으로 망 기금 설립 방식을 제안해 왔다. 망을 고도화하고 유지하는 비용을CP와ISP가 공정하게 분담해 이용자에게 전가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다만ISP입장에선 당연히 받아야 할 망이용대가를 기금으로 대체할 수 없다고 보고 있다.
◆카카오게임즈 ‘아키에이지워’, 21일 정식 서비스 시작=카카오게임즈는 엑스엘게임즈가 개발 중인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 ‘아키에이지 워’를 오는 21일 정식 출시한다. 아키에이지 워는 원작 아키에이지 지식재산권(IP)를 활용한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이다.
PC·모바일에서 즐길 수 있으며, 원작 대비 짙어진 전쟁과 전투 요소가 부각됐다. 사전 다운로드는 오는 20일부터 시작된다. 이용자들은 20일 오전 11시부터 구글 플레이 및 애플 앱스토어, 다음 게임에서 아키에이지 워를 미리 내려받을 수 있으며, 다음 날인 21일 오전 11시 정식 출시 후 게임을 즐길 수 있다.
◆블록체인·웹3·메타버스 등 신기술 향연…‘GDC2023’개최=세계 최대 게임 개발자 콘퍼런스로 꼽히는 ‘GDC(GameDevelopersConference)2023’가 오는 20일부터 24일까지 미국 샌프란시스코 모스콘 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다.
GDC는 게임산업 트렌드와 최신 기술, 노하우를 공유하는 자리로, 위메이드, 넥슨, 넷마블, 컴투스 등 국내 주요 게임사들도 부스를 내거나 강연자로 나선다. 유니티와 에픽게임즈는 게임 제작부터 운영, 성장 등 게임 전반을 아우르는 다양하고 유용한 내용을 개발자들에게 공유할 계획이다.
◆2차전지·IT부품 업계 주총 열려=지난주 삼성 계열사 등을 시작으로 대기업 및 중견 기업들이 정기주주총회 시즌에 돌입했다. 이번 주도 굵직한 업체들이 1년 성과를 평가받는 자리를 가진다.
산업계에서 ‘뜨거운 감자’인 2차전지 분야에서는 20일 포스코케미칼, 22일 엘앤에프·영풍, 24일LG에너지솔루션 등이 주총을 진행한다. 이들 업체는 지난해 전방산업 성장세에 맞춰 호성적을 거둔 바 있다. 다만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유럽 핵심 원자재법(CRMA) 등 대응 방안이 상승 곡선을 유지하기 위한 관건으로 꼽힌다.
전기차 생산을 본격화한 현대자동차, 태양광 해외 투자에 박차를 가한 한화솔루션은 23일이다. 정보기술(IT) 부품업체인LG디스플레이와LG이노텍은 각각 21일과 23일에 주주들을 맞이한다.LG디스플레이와LG이노텍의 경우 모바일 및TV시장 부진에 따라 실적이 좋지 않았다. 향후 사업 전략에 대해 주주들의 시선이 쏠린다.
삼성SDS가 기업용 클라우드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황성우 대표는 클라우드 전환에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하는 국내 유일한 클라우드 기업으로서, 차별화된 맞춤형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SCP, MSP, SaaS 등 세 가지를 모두 할 수 있는 인프라를 갖추고, 클라우드 심플리 핏이라는 맞춤형 정장 같은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이 삼성SDS의 차별점이다. 이를 위해 국내 최초 고성능 컴퓨팅 전용 동탄 데이터센터를 올해 초에 문을 연 바 있다. 동탄 데이터센터는 고객에게 초고속대용량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안정성과 최적의 에너지 효율을 확보하기 위해 고도화된 전력 설계를 적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삼성SDS는 기업 맞춤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여 디지털 비즈니스 혁신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수치및이슈
1. 삼성SDS는 클라우드 전환에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유일한 클라우드 기업
2.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CP), 클라우드 관리서비스 제공사(MSP),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를 종합적으로 제공
본문
삼성SDS가 국내 클라우드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 복잡했던 기업용 클라우드를 맞춤형으로 제공해 경쟁력을 갖추겠다는 전략이다. 황성우 대표는 후발주자지만 30여년 넘게 쌓아온 정보기술(IT) 노하우를 기반으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선사하겠다는 각오다.
황 대표는 지난 3월10일 삼성SDS잠실캠퍼스 '클라우드 미디어데이'에서 기업용 클라우드 시장을 본격적으로 공략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삼성SDS는 시스템통합(SI)을 해왔지만 지난 2년 동안 뼈를 깎는 노력을 통해 클라우드 사업을 준비했다"며 "기업들이 클라우드에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는 게 우리의 목표"라고 했다.
삼성SDS는 클라우드 전환에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유일한 클라우드 기업이다.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CP), 클라우드 관리서비스 제공사(MSP),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를 종합적으로 제공해 다양한 기업이 필요로 하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를 구축할 수 있다.
삼성SDS의 차별점은 '클라우드 심플리 핏'이다. 클라우드 전환을 원하는 기업들에게 맞춤 정장 같은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의미다. 삼성SDS가SCP,MSP,SaaS등 세 가지를 모두 할 수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클라우드 심플리 핏을 실현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 '동탄 데이터센터'가 꼽힌다. 올해 초 문을 연 국내 최초 고성능 컴퓨팅(HPC) 전용 동탄 데이터센터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분석, 연구개발(R&D) 업무 등 복잡한 연산이 필요한 고객에게 초고속대용량 클라우드 서비스를 쉽고 빠르게 제공한다.
화재나 정전 등 재해가 발생하더라도 신속하게 서비스 재개가 될 수 있도록 안정성을 높였고 고도화된 전력 설계를 적용해 최적의 에너지 효율을 달성했다. 황 대표는 "앞으로 기업 맞춤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여 미래 성장에 필수적인 디지털 비즈니스 혁신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AI 스타트업 라운드테이블에서 플레이태그, 휴멜로, 소이넷이 소개됐다. 플레이태그는 AI를 활용해 영유아 교육 현장의 맞춤형 교육을 위한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으며, CCTV를 활용해 아이의 행동을 파악해 학부모와 교사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휴멜로는 AI 기술을 활용해 목소리를 다양한 방식으로 변조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며, 실제 성우의 목소리와 비슷한 TTS 기술을 제공한다. 소이넷은 AI 기술을 활용해 각종 AI 서비스의 실행을 최적화하는 솔루션을 제공하며, AI 기업의 서비스와 AI 앱의 실행 속도를 높이면서 메모리와 GPU 사용량을 줄이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AI미래포럼과 KB인베스트먼트가 주최한 이번 행사는 유망 AI 스타트업과 투자자를 이어주는데 목적이 있다.
수치및이슈
1. 폐쇄회로TV(CCTV)로 아이의 행동을 구체적으로 파악해 학부모의 교육 요구를 충족하고 유치원 교사의 업무 부담은 줄일 수 있다
2. 플레이태그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등 영유아 교육 현장의 맞춤형 교육을 위해 AI 기술을 개발
3. 휴멜로는 AI 기술을 음성합성에 활용해 실제 성우가 녹음한 것과 비슷한 TTS(texttospeech) 기술을 제공
본문
“유치원에 다니는 아이의 행동을 인공지능(AI)이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맞춤형 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죠.”
AI기반 영유아 및 노인 행동 분석 업체 플레이태그의 박현수 대표는 지난 16일 열린 ‘AI스타트업 라운드테이블’ 행사에서 “폐쇄회로TV(CCTV)로 아이의 행동을 구체적으로 파악해 학부모의 교육 요구를 충족하고 유치원 교사의 업무 부담은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AI미래포럼(AIFF)과KB인베스트먼트가 주최한 이번 행사는 유망AI스타트업과 투자자를 이어주기 위해 마련됐다. 플레이태그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등 영유아 교육 현장의 맞춤형 교육을 위해 AI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휴멜로는AI를 기반으로 개인의 목소리를 다양한 방식으로 변조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자룡 휴멜로 대표는 “이용자가 2분만 목소리를 녹음하면 다양한 형태로 목소리를 변형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휴멜로는 AI 기술을 음성합성에 활용해 실제 성우가 녹음한 것과 비슷한 TTS(texttospeech) 기술을 제공한다.
소이넷은 각종AI서비스의 실행을 최적화하는 솔루션을 제공하는AI스타트업이다.AI기업의 서비스와AI앱의 실행 속도를 높이면서 메모리,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의 사용량을 줄이는 솔루션을 개발했다.
5년간 군산·말레이 공장 증설 폴리실리콘 年4만여t 설비 확충 텍사스 태양광공장도 추가투자
태양광·바이오·부동산 개발 등 신사업 성장 위해 지주사 전환
"대주주 지분확대 의도" 우려엔 "글로벌 인재 확보 위한 것" 설명
요약
OCI 부회장은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현재 OCI 주가가 너무 저평가된 상태라고 지적하면서 지주회사 체제로의 전환을 강조했다. 또한 OCI는 폴리실리콘 생산능력을 현재의 두 배 이상으로 키우겠다는 계획이다. 말레이시아 공장의 규모도 증설할 예정이다. 이 부회장은 태양광 사업도 키우겠다며 미국 태양광 모듈 공장의 규모도 3GW까지 확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인적분할 방식을 활용한 지주사 전환에 대한 우려와 관련해 대주주 지분 강화가 목적이었다면 자사주를 미리 사뒀거나 신설회사가 가져가는 분할 비율을 높였을 것이라고 말하면서 인적분할이 회사를 나누는 최선의 방식이라고 판단했다고 전했다. 이 부회장은 지주사 체제 전환을 통해 인재를 적극적으로 영입하고 폴리실리콘 사업에서 한우물을 파 시장 우위를 확립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수치및이슈
1. OCI의 폴리실리콘 생산능력은 연 3만9000t인데, 향후 5년간 연 4만2500t 생산설비를 추가하겠다
2. OCI가 폴리실리콘 투자를 늘리는 건 이 시장이 앞으로 최소 10배 이상 커질 것
3. 2005년 당시 540㎿에 불과했던 세계 폴리실리콘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210GW로 400배 불어났다
본문
이우현OCI부회장은 지난 17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회사 주가가 너무 저평가된 상태라고 거듭 강조했다. 그는 “현재OCI의 주가수익비율(PER)은 3배 안팎으로, 동종업계 글로벌 기업 대비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며 “회사의 내실에 비하면 너무 냉혹한 평가”라고 지적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지주회사 체제로의 전환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부회장은 “기존 제조회사 체제에선 우리가 필요한 인력을 영입하기 어렵다”며 “지주사 체제로 전환하면 다양한 분야의 유능한 인재를 적극적으로 영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주가 저평가 요인도 하나씩 없앨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OCI홀딩스 사장으로 서진석 전EY한영 대표를 영입한 것을 예로 들었다. 이 부회장은 “화학뿐 아니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부동산 개발, 에너지 개발, 바이오 등 서로 다른 분야의 사업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선 관련 전문가를 지주사로 대거 영입해야 한다”고 했다.
말레이시아 신재생에너지 생산 거점
이 부회장은OCI의 폴리실리콘 생산능력을 지금의 두 배 이상으로 키우겠다고 밝혔다.OCI의 폴리실리콘 생산능력은 연 3만9000t인데, 향후 5년간 연 4만2500t 생산설비를 추가하겠다는 것이다. 그는 “국내(전북 군산)와 말레이시아에서 모두 폴리실리콘 생산설비를 확대할 것”이라며 “특히 말레이시아 공장은 5년간 현재 생산능력(연 3만5000t)과 맞먹는 연 3만t 규모를 증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부회장은 또 “말레이시아에선 금호피앤비화학과의 합작사인OCI금호가 연 10만t 규모로 에피클로로히드린(ECH) 공장을 짓고 있다”며 “세계에서 유일하게 태양광과 풍력 발전의 주요 원자재를 공급하는 생산기지”라고 소개했다.ECH는 풍력 발전용 날개 제조에 주로 쓰이는 원료다.
OCI가 폴리실리콘 투자를 늘리는 건 이 시장이 앞으로 최소 10배 이상 커질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이 부회장은 “OCI가 처음 폴리실리콘 사업에 뛰어들었던 2005년 당시 540㎿에 불과했던 세계 폴리실리콘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210GW로 400배 불어났다”며 “미국의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을 기회로 삼아 투자를 계속해서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신규 사업도 중요하지만 폴리실리콘 사업에서 한우물을 파 시장 우위를 확립하는 것이 최우선”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등에 태양광 사업도 키울 것”
이 부회장은 미국 태양광 모듈 공장도 규모를 키우겠다고 밝혔다. 그는 “자회사 미션솔라에너지의 텍사스 공장 규모를 210㎿에서 1GW로 증설할 예정인데, 추가 투자를 통해 최소 3GW까지는 확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3GW면 미국 가구 평균 기준으로 연간 약 60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이 부회장은 “IRA시행 이후 미국에서 1억달러를 투자하면 미 정부로부터 3000만달러를 세액공제로 돌려받을 수 있는데, 이렇게 되면 사업성이 굉장히 좋아진다”며 “현재 태양광 발전 사업에서만 연 400억원의 이익을 내고 있는데, 공장 규모를 3~4배 정도로 키우면 이익 규모도 1000억원 정도로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태양광 사업을 북아프리카 지역까지 확장해 나갈 구상도 밝혔다. 이 부회장은 “이집트 알제리 튀니지 모로코 등 나라들의 인구를 합하면 3억 명쯤 되는데, 전기가 굉장히 모자란 곳들이어서 사업성이 충분하다”고 말했다.
OCI는 지난해 2월 부광약품 인수를 통해 제약·바이오 사업 진출을 공식화했다. 이 부회장은 “늘어나는 수명과 낮아지는 출산율을 고려하면 일생을 책임지는 ‘라이프사이언스’ 산업이 뜰 것”이라며 “외부 회사와의 적극적인 파트너십을 통해 신약 개발에도 뛰어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지분 늘릴 거면 다른 방식 택했다”
인적분할 방식을 활용한 지주사 전환에 대한 시장 일각의 우려와 관련해 이 부회장은 “대주주 지분 강화가 목적이었다면 자사주를 미리 사뒀거나 신설회사가 가져가는 분할 비율을 높였을 것”이라며 “인적분할이 불필요한 유출 없이 회사를 나누는 최선의 방식이라고 판단했고, 자사주를 사둔 바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OCI홀딩스와OCI의 분할 비율은 69 대 31이다.
이 부회장은 “기업분할은 기업 가치를 제대로 평가받기 위한 일환으로 몇 년 전부터 고민해왔다”며 “코로나19 확산 시기에는 구조조정과 회복에 집중했고, 더 이상 늦출 수 없어 발표한 것”이라고 했다.
주주총회 이후부터 이 부회장은OCI홀딩스 부회장으로서 서 전 대표와 함께 지주사를 관할한다. 사업회사OCI는 김택중 현OCI사장이 대표이사 부회장을, 김유신 현OCI최고마케팅책임자(CMO·부사장)가 사장을 맡는다.OCI홀딩스 회장으로 취임할 가능성과 관련해 이 부회장은 “이사회에서 결정될 사안이고, 거기에 따를 것”이라며 말을 아꼈다.
OCI주총은 오는 22일이다. 5월 1일을 기일로 분할이 완료되면 같은 달OCI홀딩스와OCI가 상장한다. 지주사가 정식 출범하는 시점은 10~11월께다. 이 부회장은 “1년에 10% 이상 꾸준히 성장하면서 이익도 계속해서 잘 내는 회사를 만들고 싶다”며 “기존 체제를 완전히 뜯어고쳐 1980년대생 전무가 나올 수 있는 파격적인 인사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체질 개선에도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챗GPT라는 대화형 인공지능 챗봇이 국회에서 활용되고 있다. 김종민 의원을 비롯해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10명 이상의 의원실에서 챗GPT를 사용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지역 행사를 위한 축사 작성이나 법안 작성 등에서 활용되며, 여론 동향 파악에도 유용하다. 이를 통해 업무 시간을 크게 단축시키고 중요한 업무에 집중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수치및이슈
1. 대부분의 의원실에서 챗GPT 활용을 검토 중
2. 복잡하지 않은 업무에선 비서관 한 명의 역할을 톡톡히 해내
3. 정치 성향에 따라 댓글을 구별할 수 있는 데이터 자료를 챗GPT로 가공해 여론을 한눈에 살피고 있다
본문
대화형 인공지능(AI) 챗봇인 ‘챗GPT’바람이 국회까지 번졌다. 법안과 축사 초안 작성부터 여론 동향 파악, 기사 스크랩까지 의정활동에 활용하는 국회의원실이 늘고 있다.
19일 정치권에 따르면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비롯해 민주당 내에서만 10명 이상의 의원실에서 챗GPT를 활용한 업무를 시작했다. 이들 의원실을 중심으로 ‘챗GPT활용법’이 젊은 비서관들 사이에 입소문을 타고 퍼지면서 대부분의 의원실에서 챗GPT 활용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챗GPT를 사용하는 보좌진은 “복잡하지 않은 업무에선 비서관 한 명의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고 만족해했다. 보좌진의 주요 업무 중 하나인 지역 행사를 위한 축사 쓰기가 대표적이다. 행사 내용과 취지, 장소에 더해 여기서 전달해야 할 정책과 핵심 과제 등의 명령어를 나열하면 챗GPT가 초안을 정리해 준다. 이후 “행사 내용을 더 살려줘” “즐겁고 활기찬 분위기를 넣어줘” “관련 연구 결과를 찾아서 반영해 줘” 등의 요구를 추가해 완성도를 높인다.
여론이나 기사의 동향을 파악하는 데도 유용하다. 민주당 재선 의원실 한 비서관은 “정치 성향에 따라 댓글을 구별할 수 있는 데이터 자료를 챗GPT로 가공해 여론을 한눈에 살피고 있다”고 말했다. ‘윤석열’ ‘이재명’ 등 특정 키워드를 등록하면 언급이 많거나, 비슷한 기사 목록을 정리해 이메일로 받도록 활용하기도 한다.
법안 작성 시간도 크게 줄어들었다. 법안의 취지나 내용을 입력하면 챗GPT가 그에 따른 수수료와 과태료, 특례, 적용 대상 등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해준다. 민주당 초선 의원실 관계자는 “반나절 걸릴 업무를 30~40분으로 줄일 수 있어 중요한 정책·정무적 활동에 더 집중할 수 있다”고 전했다.
정보화 예산 한해 5조원이지만 관련산업 투자액 쥐꼬리 그쳐 "민관펀드로 윈윈 모델 만들어야"
요약
한국 기업이 SaaS 시장에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클라우드와 같은 디지털 인프라스트럭처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정부의 IT 정보화 예산의 상당수가 비클라우드 분야 제품 구매에 사용되는 상황이다. 현재 중앙정부와 공공기관의 IT 시스템 중 18%만이 클라우드를 이용하고 있으며, 클라우드 전환율은 3.3%에 불과하다. 업계는 정부의 모든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하고 국산 SaaS 개발과 투자를 적극적으로 단행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는 클라우드 및 SaaS 구매에 예산을 사용할 계획이지만, 비클라우드 업체를 고려해야 할 요소가 있다. 업계는 정부와 힘을 합쳐 1조원 가량의 펀드를 만들어 기존 SI 업체를 SaaS 기업으로 전환시키는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를 위해 새로운 산업 정책이 필요하다. 국내 클라우드보안인증(CSAP) 제도에 대한 기대와 우려의 목소리도 교차하고 있으며, 정부존과 상업존의 구축 비용 차이 등을 고려해 최대한 시장 규제를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수치및이슈
1. 중앙정부와 각종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IT 시스템 1만7243개 가운데 18.0%(3100개)만 클라우드를 이용
2. 올해 클라우드 전환율 역시 3.3%(576개)에 불과
3. SaaS 기업을 키우겠다며 올해 250억원(50개 기업 대상)을 투자하기로 했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게 업계 시각
본문
매년 급성장하는SaaS시장에서 한국 기업이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이에 걸맞은 디지털 인프라스트럭처를 구축하는 게 대단히 중요하다. 그 출발점이 바로 '클라우드'다.
SaaS업계는 글로벌 시장 혁신 속도에 자칫 정부가 보조를 맞추지 못해 시장 추격의 기회를 놓치지 않을까 노심초사하는 상황이다.
예컨대 우리 정부의 한 해 정보기술(IT) 정보화 예산은 5조원 안팎이다. 문제는 해당 예산의 상당수가 비클라우드·비SaaS분야 제품 구매에 쓰이고 있다.
단적으로 중앙정부와 각종 공공기관이 운영하는 IT 시스템 1만7243개 가운데 18.0%(3100개)만 클라우드를 이용하고 있다.
올해 클라우드 전환율 역시 3.3%(576개)에 불과하다. 업계는 최소한 5년 안에 정부의 모든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하고, 국산SaaS개발 및 투자를 매년 '조단위'로 대대적으로 단행해야 한다고 호소한다. 그래야 시장이 급속도로 커가면서 인재도 모이고 이 중 글로벌화할 수 있는SaaS업체가 탄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도 이 같은 지적에 공감하며 다양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IT정보화 예산은 신규와 보수로 나뉠 수 있는데, 향후 신규로 들어가는 예산 약 2조원 중 상당수를 클라우드 및SaaS구매에 사용해야 할 것"이라며 "다만 중소기업과 일자리 보호 등 비클라우드 업체들을 상대로 한 제품 구매 등 정부 입장에서는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인들이 존재한다"고 전했다.
혁신 산업 촉진의 첨병 역할을 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역시SaaS 기업을 키우겠다며 올해 250억원(50개 기업 대상)을 투자하기로 했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게 업계 시각이다. 이한주 베스핀글로벌 대표는 "정부와 업계가 힘을 합쳐서 1조원가량의 펀드를 만들고, 이 펀드를 기존SI업체들을SaaS기업으로 전환시키는 데 사용하면 갈등을 최소화하고 서로 윈윈하는 모델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SaaS산업에 맞는 새로운 산업 정책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하반기에 더 구체화될 국내 클라우드보안인증(CSAP) 제도에 대한 기대와 우려의 목소리도 교차하고 있다.
아직 실증단계여서 확정되진 않았지만 업계는 과기정통부가 공공 부문 클라우드를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센터를 '정부존'과 '상업존'으로 나누고, 정부존 구축에 보다 많은 무게를 둘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부존은 더 많은 백업 서버를 둬야 해서 상업존 대비 2배 이상 구축 비용이 소요된다. 미국의 경우 공공 부문IT시스템의 클라우드화에 상업존(80%)을 적극 채택하고 있다. 전 산업으로 빠르게 확산하는 클라우드 시장의 혁신 속도, 그리고 보안 기술의 발전 등을 고려해 최대한 시장 규제를 낮추고 있는 것이다.
반면 보안 우려를 지나치게 의식해 정부존을 강제할 경우SaaS업체 입장에서는 비용 부담이 가중될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해 과기정통부 측은 "실증 사업을 진행 중으로 (업계의 의견을 수렴해) 하반기에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AI가 피부톤 분석, 색상 추천 로봇이 15분만에 즉석 제조 제품당 선택지 600개 넘어 맞춤형 화장품 年30% 성장 아모레·로레알 등 각축전
요약
아모레퍼시픽과 로레알 등 대표적인 뷰티 업체들이 AI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뷰티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피부 색상에 맞는 입술 색상을 추천해 주거나, 맞춤형 파운데이션·립스틱·립틴트 등을 제작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며, 아모레퍼시픽의 '베이스 피커' 서비스와 같은 경우는 피부 톤을 측정하고 로봇이 즉석에서 맞춤형 제품을 제작해준다. 이러한 맞춤형 뷰티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올해 약 3조원, 2025년에는 5조24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수치및이슈
1. AI를 활용한 '맞춤형 뷰티'가 대세
2. 개인별 피부 톤을 측정한 뒤 로봇이 즉석에서 만들어주는 제품을 수령하기까지 30분~1시간이 걸리다 보니 시간당 정해진 숫자의 고객만 예약을 받아 운영하는데, 2주 단위로 받는 예약이 매번 꽉 찰 정도
3. 출시 초기만 해도 피부 톤 등에 따라 100개 선택지를 제공했지만 최근에는 색상과 제형, 유형까지 세분화해 선택지가 600여 개로 늘어
4. 전 세계 맞춤형 화장품 시장 규모는 올해 약 3조원, 2025년에는 5조24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성장률도 연간 30% 이상이 될 것
본문
# 30대 여성 직장인 A씨는 최근 퍼스널 컬러 진단을 받으면서 갖고 있던 화장품 절반 이상이 본인 피부 톤과 맞지 않는다는 점을 알게 됐다. 인공지능(AI)을 통해 피부 톤을 분석하고 설문 등을 거쳐 A씨가 추천받은 파운데이션 색상은 쿨한 계열이면서 밝은 톤이었다. 색상이 결정되자 로봇이 즉석에서 제품을 만들기 시작했다. 로봇이 A씨를 위한 맞춤형 제품을 제조하는 데 걸린 시간은 15분이었다.
AI를 활용한 '맞춤형 뷰티'가 대세로 떠오르고 있다. 얼굴을 촬영하면 피부색에 적합한 입술 색상을 추천해 주거나, 그날 입은 의상에 맞춰 어울리는 립메이크업 제품을 만들어주는 것이 대표적이다. 뷰티 업계에서도 아모레퍼시픽이나 로레알을 필두로 맞춤형 뷰티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이 서울 성수동에서 운영 중인 체험형 뷰티 라운지 '아모레 성수'에는 월평균 1만여 명이 방문하고 있다.
이 중 상당수는 맞춤형 뷰티 서비스 이용자다. 아모레 성수는 맞춤형 파운데이션과 쿠션을 제조해주는 '베이스 피커', 맞춤형 립스틱·립틴트 등을 만들어주는 '립 피커' 서비스를 제공한다. 개인별 피부 톤을 측정한 뒤 로봇이 즉석에서 만들어주는 제품을 수령하기까지 30분~1시간이 걸리다 보니 시간당 정해진 숫자의 고객만 예약을 받아 운영하는데, 2주 단위로 받는 예약이 매번 꽉 찰 정도로 인기다.
아모레퍼시픽에 따르면 이달 종료한 베이스 피커 서비스의 누적 이용객은 2년간 8000명에 달한다. 출시 초기만 해도 피부 톤 등에 따라 100개 선택지를 제공했지만 최근에는 색상과 제형, 유형까지 세분화해 선택지가 600여 개로 늘어났다.KAIST특허 기술을 탑재한 프로그램으로 피부 톤을 측정하고, 제조 로봇이 그 자리에서 제품을 만든다. 아모레 성수는 본인만의 립 제품을 만들 수 있는 '립 피커 바이 컬러 테일러' 서비스도 병행하고 있다.AI를 활용해 고객 피부 톤에 적합한 입술 색상을 추천하며, 고를 수 있는 색상은 756개다. 베이스 피커와 함께 상용화됐는데, 누적 이용객이 4700여 명이다.
앞서 아모레퍼시픽은 맞춤형 스킨케어 브랜드 커스텀미를 통해 '비스포크 에센스'를 출시했다. 피부 데이터 100만여 건과AI분석 기술을 활용한 제품으로, 고객이 휴대폰 카메라로 찍은 얼굴 주름, 모공, 민감도 등을 분석하고, 생활 습관 등에 대한 설문을 받아 제품을 만들어준다. 또AI알고리즘을 활용해 정밀하게 얼굴 색상을 측정하고, 로봇 팔을 활용해 맞춤형 파운데이션·쿠션·립 제품을 제조해주는 '톤워크'도 만들었다.
세계적인 뷰티 업체 역시 맞춤형 뷰티 시장을 미래 먹거리로 육성하고 있다. 입생로랑의 가정용 립 메이크업 디바이스 등이 맞춤형 뷰티 서비스를 상용화한 대표 사례다.AI컬러 인식 기술과 알고리즘을 사용해 개인에게 맞춤형 립 색상을 제안하는데, 레드·누드·오렌지·핑크 4가지 색상 카트리지 세트를 기반으로 수천 가지 색 조합을 만들어낸다. 원하는 색상을 촬영해 동일한 컬러를 제조하거나, 피부색과 그날 입은 의상 등에 맞춰 제품을 만드는 것도 가능하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전 세계 맞춤형 화장품 시장 규모는 올해 약 3조원, 2025년에는 5조24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성장률도 연간 30%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수술용 의료로봇 기업인 큐렉소가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와 인공지능(AI) 수술 로봇 개발을 위한 협력을 맺었다. 이를 통해 엑스레이나 CT 사진 등으로부터 자동수술 계획을 산출하고 수술 과정 대부분을 수행하는 방식을 구상할 예정이다. 큐렉소는 수술용 로봇 회사로 두각을 나타내며, 2024년 수술 로봇 사업으로 500억원대, 2025년 1000억원대 매출을 올리는 것이 목표이다. 수술용 로봇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약 12조원에 이르며, 정형외과·신경외과 수술로봇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수치및이슈
1. 큐렉소가 마이크로소프트(MS)와 최근 AI 수술 로봇 개발 협력을 맺어
2. 수억 원에 달하는 수술 로봇을 2020년 18대, 2021년 30대, 지난해엔 62대로 두 배 이상 판매하면서 2022년 650억원 매출 가운데 로봇 사업으로만 212억원
3. 큐비스 조인트는 지난해 국내외에서 4000회 수술에 쓰였고, 모닝워크는 4만회 치료를 시행해 임상 가치를 증명
본문
국내 1위 수술용 의료로봇 기업 큐렉소가 인공지능(AI) 챗GPT 열풍을 몰고 온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와 최근 AI 수술 로봇 개발 협력을 맺은 것으로 나타났다. 엑스레이나 컴퓨터단층촬영(CT) 사진 한 장만 갖고도AI로봇이 수술 계획 산출부터 절삭까지 수술의 상당 부분을 책임지는 방식이 국내 최초로 개발될 것으로 보인다.
19일 업계에 따르면MS가 매 해 100여 곳 기업과 전략적 협력을 맺는 프로젝트를 벌이는 가운데 수술용 의료로봇 업체 큐렉소와 사업을 위해 최근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사용서비스 계약을 맺고 프로젝트 협력을 위한 검토 및 준비에 나선 것으로 드러났다.
이재준 큐렉소 대표는 "언제든지 사용자(의사 등)가 노트북 같은 하드웨어 없이도 본인 아이디만 갖고 클라우드에 접속하면AI소프트웨어가CT등 사진을 3차원 이미지로 바꿔 산출해낸 자동수술 계획을 확인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현재 부분적 자동화만 가능한 큐렉소의 수술용 의료로봇들이AI기술을 활용해 최적의 수술 계획을 제시하고, 수술 후에도 결과 이미지를 분석해 다음 수술 계획까지 내놓으면서 수술 과정 대부분을 수행해내는 방식을 구상하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는 척추 및 인공관절 수술 등을 할 때 의사가 직접CT이미지 등을 보고 수술 방향을 정한 뒤 큐렉소 수술 로봇과 함께 집도에 들어가야 한다. 대부분 과정을 의사가 직접 수행한다.AI소프트웨어가 스스로 계획을 짜주고 어떤 방향으로 수술하면 좋을지 등을 결정해 주면서 자동으로 수술에 임하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한 상태다.
이처럼 큐렉소가MS와 개발 협력을 지속할 경우 5년 내 글로벌 의료로봇 기업으로 올라선다는 목표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대표는 "AI, 증강현실(AR), 로봇 기술 기반의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 업체'로 나아가고자 한다"며 "2024년 수술 로봇 사업으로만 500억원대, 2025년 1000억원대 매출을 올리는 기업으로 나아가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큐렉소는 2006년 의료업계에 첫발을 디뎌 2011년 한국야쿠르트에 인수된 곳이다. 2017년까지는 매해 1~2대 로봇을 판매하는 데 그쳤지만, 2017년 현대중공업 의료사업 부문을 인수하면서 수술용 로봇 회사로 두각을 나타냈다. 코로나19 팬데믹에도 수억 원에 달하는 고가 수술 로봇을 2020년 18대, 2021년 30대, 지난해엔 62대로 두 배 이상 판매하면서 2022년 650억원 매출 가운데 로봇 사업으로만 212억원을 올렸다. 이는 모두 야쿠르트 이사 출신으로 2012년부터 큐렉소를 이끌어온 이 대표 주도로 일궈낸 성과다. 이 대표는 "기존 로봇 사업을 뒤엎고 2017년부터 매해 50억~60억원씩 들여 새롭게 로봇을 개발하는 데 집중한 결과"라며 "올해 수술용 의료로봇 사업에서 나오는 매출만 300억원을 넘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큐렉소는 현재 수술용 의료로봇 3종을 직접 개발해 판매하고 있다. 국내 첫 척추 수술 로봇 '큐비스 스파인', 인공관절 수술 로봇 '큐비스 조인트', 보행 재활 로봇 '모닝워크' 등이다. 이 중 큐비스 조인트는 지난해 국내외에서 4000회 수술에 쓰였고, 모닝워크는 4만회 치료를 시행해 임상 가치를 증명한 바 있다.
이미 인도 시장에 출시된 큐비스 조인트의 미국 진출 계획도 순항하고 있다. 이 제품은 미국 관계사 싱크서지컬(TSI)의 인공관절 수술 계획 소프트웨어 '티플랜'과 결합한 시스템이다. 미국 시장에는 '티맥스'라는 제품명으로 2024년부터 판매될 예정이다. 올 상반기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인허가를 신청해 올해 말 승인받는 것이 목표다. 큐렉소가 시스템 개발·생산을,TSI가FDA인허가 절차를 비롯해 마케팅과 판매를 맡는다.
이 대표는 "TSI자문 의사를 통해 이전에 많은 수술 로봇을 판매한 경험이 있는 직원을 중심으로 열심히 피드백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업계 추산으로 수술용 로봇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약 12조원에 이른다. 이 중 76%가 복강경 수술 로봇이다. 올해까지 20조원대로 성장하는 가운데 정형외과·신경외과 수술로봇 비중이 30%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 태양광 기업들의 고용 인원과 시장 규모가 줄어들고 있어, 국내 태양광 생태계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원인은 중국산 태양광의 저가 공세다. 대표적인 국내 태양광 기업인 OCI와 한화솔루션이 태양광 셀 핵심 소재인 폴리실리콘 국내 생산을 멈췄다. 지난해 웅진에너지가 파산을 선고받았으며, LG전자도 태양광 모듈 사업을 접었다. 중국산 태양광의 국내 점유율은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시장에서 유통되는 중국산 비율은 더 높다. 국내 태양광 기업들은 최첨단 설비를 갖춘 마더팩토리를 구축하고 연구개발을 이끌려 하지만 보조금 부족으로 투자가 망설여진다. 한국태양광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은 국내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보조금 지급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3. 중국산 셀을 사서 국내에서 모듈을 만들면 국산으로 분류되다 보니 실제 국내 시장에서 유통되는 중국산 비율은 더 높다는 것이 업계 설명
본문
국내 태양광 기업들이 해외에서 선전하는 사이 국내에선 고용 인원과 시장 규모가 모두 뒷걸음질 쳤다. 중국의 저가 공세가 주원인으로, 업계에서는 국내 태양광 생태계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것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9일 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 통계에 따르면 2015년 8639명이던 태양광 제조업 고용 인원은 2021년 6654명까지 줄었다. 국내 태양광 제조업 내수시장 규모도 2015년 2조2896억원에서 2021년 2조1695억원으로 축소됐다.
원인은 중국산 태양광의 저가 공세다. 국내 대표 태양광 기업인OCI와 한화솔루션이 2020년 태양광 셀의 핵심 소재인 폴리실리콘의 국내 생산을 멈췄다. 같은 해 4월에는SKC가 태양광 모듈에 쓰이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시트 사업을 접었다.
지난해 7월에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태양광용 잉곳과 웨이퍼를 생산하던 웅진에너지가 파산을 선고받았다.LG전자도 6월 태양광 모듈 사업을 접었다.
중국산 태양광의 국내 점유율은 확대되고 있다. 2017년 국내 태양광 셀 시장에서 52%를 차지하던 중국산은 2022년 59%까지 점유율이 높아졌다. 모듈 기준으론 27%에서 32%로 높아졌다. 하지만 중국산 셀을 사서 국내에서 모듈을 만들면 국산으로 분류되다 보니 실제 국내 시장에서 유통되는 중국산 비율은 더 높다는 것이 업계 설명이다.
태양광 업계 한 관계자는 "국내에서 최첨단 설비를 갖춘 마더팩토리를 구축하고 연구개발을 이끌려고 해도 미국 같은 보조금도 없으니 투자가 망설여지고 있다"고 했다. 정우식 한국태양광산업협회 상근부회장은 "국내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한국에 태양광 제조시설이 설립될 경우 보조금 지급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한국의 제조업 경쟁력이 G2인 미국과 중국은 물론 독일, 일본, 대만 등 경쟁국에서도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부가 첨단 분야의 낮은 경쟁력과 디지털화, 탈탄소화에 대한 미흡한 대응 등이 원인으로 지목되었다. 한국은 양적인 지표에서는 독일, 일본, 대만 등을 앞지르지만 고부가 첨단 분야와 디지털화, 탈탄소화 분야에서는 뒤쳐지는 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결과는 인프라 측면에서 강한 정부 규제와 높은 세율, 열악한 창업 인프라, 인재 부족 등이 반영된 것이다. 한국 제조업이 얼마나 혁신적이며 미래에도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독일, 일본, 대만 등은 국가 차원에서 제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으며, 한국 제조업이 변신하지 않으면 대량 파산이나 실직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수치및이슈
1. 국가별 제조혁신지수(BCGMII)를 산출한 결과 한국의 제조 경쟁력은 주요 제조업 경쟁국인 독일 일본 대만 등에 뒤진 7위
2. 제조경쟁력지수(CIP)에서 한국은 최근 10년간 3~5위에 올랐다. 아울러 한국은 국가총생산(GDP) 기준(유엔·2021년) 제조업 비중이 26%로 중국 28%에 이어 두번째
3. 한국 제조업은 제자리걸음 상태다. 지난 15일 6대 첨단산업에 대한 민간투자 유도 정책이 나왔지만 이것이 실효성 있는 대안일지는 좀 더 지켜봐야
본문
한국 제조업의 미래 경쟁력이G2인 미국과 중국은 물론 독일 일본 대만 등 경쟁국에도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는 고부가 첨단 분야의 낮은 경쟁력과 디지털화·탈탄소화에 미흡하게 대응하는 상황이 지목된다. 실제 세계 주요국은 미래 제조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고부가 첨단기술 개발·디지털화·탈탄소화에 전력투구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새로운 제조 패러다임에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 이번 매일경제·보스턴컨설팅그룹(BCG) 조사 결과 드러났다.
매일경제신문 비전코리아 프로젝트팀이BCG와 함께 국가별 제조혁신지수(BCGMII)를 산출한 결과 한국의 제조 경쟁력은 주요 제조업 경쟁국인 독일 일본 대만 등에 뒤진 7위라는 성적표를 받았다. 이는 기존 제조업 경쟁력 관련 평가와 사뭇 다르다. 실제 유엔산업개발기구(UNIDO)가 매년 발표하는 제조경쟁력지수(CIP)에서 한국은 최근 10년간 3~5위에 올랐다. 아울러 한국은 국가총생산(GDP) 기준(유엔·2021년) 제조업 비중이 26%로 중국 28%에 이어 두번째로 높다. 세계 경제 규모 10위권 국가에서는 독일이 21%, 일본이 20%로 그 뒤를 잇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제조업이 한국 수출의 84%를 책임지고 있어 한국이 세계적 제조강국이라는 점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이 같은 지표는 모두 제조업 생산량과 수출량 등 양적 지표에 기반한 결과다. 고부가 첨단 분야 경쟁력을 비롯해 제조 가치사슬 내 디지털 접목 정도와 제조량 대비 탄소배출량 등을 반영한MII분석에서는 순위가 이보다 낮아진다. 한국 제조업의 민낯이 드러난 셈이다.BCGMII지수는 생산과 수출을 기반으로 양적 제조역량을 평가했다. 고부가가치는 반도체·자동차·조선·통신·바이오 등 주요 산업 내 고부가가치 제조산업 비중을, 디지털화는BCG디지털가속화지수와 국가별 100개 공장의 관련 점수를 반영했다. 탈탄소화지수는UNIDO의 국가별 제조업 부가가치와 탄소 배출량을 참조했으며 인프라 부분은 국가별 정부 규제, 세금 강도, 금융, 창업 인프라,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의 고등교육·STEM(과학·기술·공학·수학) 전공자 현황, 산업의 지식기술 집약 노동력 비중 등을 고려해 산출됐다. 황형준BCG코리아 대표는 "한국 제조업이 얼마나 혁신적이며 미래에도 계속 경쟁력을 유지할 것인가는 의문"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반도체 파운드리 분야에서 세계 최고 경쟁력을 갖추고 있지만 제조업 전반에서는 아직 한국보다 한 수 아래로 여겨졌던 대만(5위)에도 뒤처진 것은 충격적인 결과로 받아들여진다. 한국은 양적인 제조 생산·수출 부문에서 14점으로 나타나 7점을 받은 대만을 앞질렀을 뿐 디지털화(71점) 탈탄소화(22점) 인프라(6점)에서는 경쟁 열위에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만에 지난해 1인당 국민총소득(GNI)을 추월당한 데 이어 미래 제조 경쟁력에서도 밀린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한국처럼 자국 시장 규모가 크지 않아 수출 위주 제조전략을 추구하는 독일 일본 대만은 모두 국가 차원에서 제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독일은 2011년부터 '인더스트리4.0' 정책을 통해 선제적으로 제조업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해왔다. 기금지원법으로AR·VR(증강·가상현실) 등 신기술에 파격적 기금을 제공해 제조업의 진화를 돕고 이민법을 개정함으로써 유럽 외에서도 숙련공 유입을 허용했다. 대만은 리쇼어링 기업에 법인세 8%만 부과하는 등 파격적인 세제 혜택과 보조금이나 공장 용지 제공도 마다하지 않고 있다. 일본은 2016년부터 일본 부활 전략을 세워 첨단 제조업에 투자하고 과거 포기했던 반도체 생산을 위해 조 단위 보조금을 제공하며 대만TSMC를 유치했다.
반면 한국 제조업은 제자리걸음 상태다. 지난 15일 6대 첨단산업에 대한 민간투자 유도 정책이 나왔지만 이것이 실효성 있는 대안일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 예컨대 자동차산업은 전기차로 재편되고 있는 데 반해 한국 제조업체는 여전히 90%가 내연기관 부품 생산에 몰두하고 있다. 신속히 변신하지 않으면 경쟁력 저하를 넘어 대량 파산이나 실직 사태까지 우려된다. 이번 결과에는 인프라 측면에서 강한 정부 규제와 높은 세율, 열악한 창업 인프라를 비롯해 인재 부분에서STEM전공이나 전임연구진 비중이 저하되는 인적자원 부족 현상이 반영됐다.
우크라전쟁서 발전 가능성·한계 확인 숙련 장병·군수지원, 승리 최소 조건 첨단기술 빠른 속도로 군사 분야 적용 전통적 군대 개념·역할 변화 불가피
요약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의 지속적인 갈등은 군사 작전에서의 적응력과 탄력성을 강조하는 "모자이크 전술" 개념의 한계를 드러내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군은 이전에 러시아군에 대한 인상적인 전술을 보여주었지만, 러시아 군사용 민간군사 그룹인 바그너 그룹(Wagner Group)의 사용으로 지역의 군사적 균형이 바뀌었습니다. 바그너 그룹은 우크라이나 군의 약점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소규모 팀을 이용해 우크라이나 방어선을 침투하며 그들의 위치를 노출시켜 공격했습니다. 이 갈등은 전술 경험이 있는 병사, 안정적인 군사 지원, 국제 동맹의 중요성 뿐만 아니라 AI, IoT, 빅데이터 같은 고급 기술의 군사 작전 통합의 필요성도 강조하고 있습니다.
수치 및 이슈
1. 러시아군은 최근 우크라이나군이 자랑하는 지휘·통제 프로그램인 GIS 아르타(Arta)를 교란하는 데 성공
2. 최근 급감하고 있는 우크라이나군 포병의 사격 횟수가 단순히 탄약 부족 때문만은 아니라는 분석도 있어
3. 과거와 같은 대규모 상비군 병력의 유지 혹은 대규모 병력의 전쟁 동원이 사실상 불가능해지면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 유/무인 복합체계, 초연결 네트워크, 인공지능 전투참모 등의 최첨단 기술이 더욱 적극적으로 군에 도입될 것
본문
그동안 러시아군을 상대로 놀라운 전과를 거뒀던 우크라이나군이 최근 도네츠크주 바흐무트 북부 외곽지역에서는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해당 지역에서 우크라이나군과 전투를 벌이고 있는 러시아 용병집단 와그너 그룹(Wagner Group)이 공격전술을 바꿨기 때문이다. 최근 도네츠크주 서남부 부흘레다르 지역에서 우크라이나군에게 참패당한 러시아군 제155해군보병여단과 비교하면 그 차이점이 더욱 확연히 드러난다. 놀라운 사실은 와그너 그룹이 우크라이나군의 다양한 전술을 분석하고 취약점을 찾는 것은 물론 실제 강습분견대 운용에도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용병집단이 모자이크전을?
지난해 12월 이후 러시아 용병집단 와그너 그룹은 3명 이내로 구성된 전투팀 혹은 1~2개 분대 병력으로 구성된 강습분견대를 우크라이나군 방어선 안쪽으로 계속 침투시키고 있다. 이들의 임무는 우크라이나군의 공격을 유도해 참호 혹은 벙커 등으로 급조된 우크라이나군 방어진지를 노출시키고, 우크라이나군이 귀중한 탄약을 낭비하게 만드는 것이다.
드론으로 전투지역을 감시하는 와그너 그룹과 러시아군은 포병, 전차포, 심지어 근접항공지원까지 다양한 화력을 동원해 위치가 노출된 우크라이나군 방어진지를 공격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와그너 강습분견대 역시 대규모 병력 손실이 발생하지만 마치 모자이크 퍼즐처럼 희생된 용병들의 빈자리는 즉시 새로운 용병으로 대체되고 있다. 모자이크전에서 지향하고 있는 적응성과 회복탄력성을 갖춘 전력 운용이 러시아 용병집단에 의해 실제로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최초 미국에서 첨단기술을 활용해 병력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등장한 모자이크전 개념이 오히려 러시아에서는 그 반대로 활용되고 있다는 점은 역설이다.
깊어지는 미군 수뇌부의 고민
한편 해당 지역에서 방어작전을 펼치고 있는 우크라이나군은 막대한 병력 손실에도 불구하고 계속 공격을 반복하고 있는 러시아군으로 인해 고통스러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일진일퇴를 반복하는 소모전 형태로 전쟁 양상이 바뀌면서 그동안 우크라이나군의 승리를 보장해 왔던 여러 전략적 이점이 거의 상쇄됐기 때문이다. 특히 전열을 재정비한 러시아군의 전투력이 하루가 다르게 강화되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수세적 입장의 우크라이나군 역시 막대한 희생을 강요당하고 있다.
이것은 우크라이나군을 물심양면으로 지원하는 미군 수뇌부에도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본토가 아닌 해외에서 주요 전투가 진행되고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염두에 둔 미군의 주요 군사교리, 그중에서도 모자이크전이 우크라이나전쟁을 통해 한계를 드러냈다는 주장도 있다. 러시아군과 일진일퇴를 거듭하고 있는 우크라이나군의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듯 독창적인 전술이나 전략은 언제든 새로운 대응전술 혹은 전략으로 인해 무력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례로 러시아군은 최근 우크라이나군이 자랑하는 지휘·통제 프로그램인 GIS 아르타(Arta)를 교란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수의 친러시아계 소식통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군 GIS 아르타의 암호체계를 뚫는 데 성공하고 실제 전투상황에서 우크라이나군 포병이 존재하지도 않는 표적이나 엉뚱한 곳에 포격하도록 교란했다는 것이다.
러시아 측의 주장을 전부 신뢰할 수는 없지만 최근 급감하고 있는 우크라이나군 포병의 사격 횟수가 단순히 탄약 부족 때문만은 아니라는 분석도 있어 궁금증을 더하고 있다. 우크라이나군 포병의 사격 횟수 감소가 GIS 아르타와 같은 지휘·통제체계의 문제 때문일 수도 있다는 의미다.
모자이크전, 만병통치약이 아니다
미군이 물심양면으로 지원하는 우크라이나군을 통해 모자이크전의 발전 가능성과 한계 역시 분명히 확인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군이 모자이크전에 집중하는 이유는 눈앞의 현실적인 문제들 때문이다.
먼저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발목이 잡힌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핵무기를 앞세운 러시아의 군사적 영향력은 여전히 절대적이다. 여기에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태평양으로 세력을 확대하려는 중국의 확장정책 역시 미국은 심각한 안보 위협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런데 미국의 군사력은 여전히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하루가 멀다 하고 신무기를 실전 배치하고 있는 중국과 러시아에 비해 미군이 보유한 주요 무기체계의 교체주기가 너무 길어지고 있다고 우려를 표할 정도다. 여기에 더해 우수한 장병들의 확보가 점점 더 힘들어지고 있는 미국 내 모병현실 역시 심각한 수준이다.
최근 미국의 월스트리트저널은 탐사보도를 통해 숙련된 장병과 탄약이 부족한 우크라이나군의 현실을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엄청난 소모전을 벌이고 있는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양측 모두 비축된 군수물자가 바닥을 드러내고 있고 숙련된 장병들의 전사로 인한 공백 역시 점점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러시아의 무력 침공으로 인해 시작된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은 그동안 우리가 상상해 왔던 전쟁의 미래를 완전히 뒤바꾸고 있다. 여전히 전쟁의 승패를 좌우하는 것은 숙련된 장병과 안정적인 군수지원, 그리고 국제동맹관계이며, 최첨단 무기의 유무는 부차적이라는 사실을 재확인시켰기 때문이다. 여기에 더해 미래 전쟁 수행을 위한 거시적 관점에서의 전략과 이를 구체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전술의 중요성 역시 더욱 높아지고 있다.
미래 전쟁 대비
현재 미군은 다양한 시행착오 속에서도 미 육군의 다영역작전(MDO), 해군의 분산해양작전(DMO), 해병대의 원정기지작전(EABO)을 큰 축으로 미래 전쟁에 대비하고 있다.
모자이크전은 이러한 전략개념을 향후 군사 분야에 적용될 최첨단 기술을 통해 구체적으로 실행에 옮길 수 있도록 돕는 이정표, 즉 작전수행방식이라 말할 수 있다. 또한 과거와 같은 대규모 상비군 병력의 유지 혹은 대규모 병력의 전쟁 동원이 사실상 불가능해지면서 이를 보완하기 위한 유/무인 복합체계, 초연결 네트워크, 인공지능 전투참모 등의 최첨단 기술이 더욱 적극적으로 군에 도입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로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클라우드(Cloud), 빅데이터(Big-data) 등의 첨단기술이 빠른 속도로 군사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최첨단 기술의 군사 분야 적용은 전통적인 군대의 개념과 역할을 완전히 변화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변화로 인해 가까운 미래에 벌어질 전쟁에서는 육·해·공군의 구분이 무의미해지고, 지휘체계의 간소화와 전투병력의 소수정예화가 선택이 아닌 거부할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 될 것이다.
끝으로 작전계획 수립부터 결심, 명령 및 하달, 실제 전투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이 실시간·동시다발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승리를 보장할 수 없다고 단언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모자이크전은 가까운 미래에 벌어질 전쟁에서 승리하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이다. 물론 높은 사기와 전투태세를 갖춘 숙련된 장병들과 충분한 규모의 군수지원이 보장된다는 전제가 충족된 상태에서.
MWC 2023에서는 통신기술 대신 AI 기술이 대세였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국내 이통사들도 AI 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MWC에는 2400여개 기업이 참가하며 방문객 수는 8만8500명에 이르렀다. 하지만 전시회 내용은 'AI'와 '로봇'으로 가득했으며, 내실 면에서는 흠잡을 데가 많았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챗GPT' 기술에 12조원을 투자하고 AI 기반 서비스를 선보였다.
MWC 2023에서 SK텔레콤과 KT는 AI와 로봇 기술을 전시하며 성공적인 현장을 보였다. SK텔레콤은 위치 기반 서비스와 AI를 활용한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플랫폼을 선보였고, KT는 배송 로봇과 AI 방역 로봇 등 로봇 서비스를 소개하며 이를 통한 글로벌 시장 진출을 계획하고 있다. 중국의 화웨이도 MWC 2023에서 AI와 5.5G 기술 등을 전시하며 큰 관심을 받았다.
수치및이슈
1. 이번 행사에는 202개 국가에서 2400여개 기업이 대거 참가했고, 당초 예상보다 10% 늘어난 8만8500명에 달하는 방문객들이 노마스크로 전시를 관람
2. GSMA 장관급 프로그램에는 150개국 이상에서 196명의 대표단과 약 70명의 장관, 100명 이상의 규제 당국 수장이 참석
3. '세계 최고 이동통신 전시회'라는 명성이 무색하게 내용 면에서는 'AI'와 '로봇'이 속을 꽉 채워
본문
[아시아타임즈=이영재 기자] "전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에 통신기술은 없고 온통 'AI' 일색이었다."
MWC 2023 현장을 살펴본 통신업계 관계자들의 공통된 반응이다. 통신산업이 점점 레드오션화 되면서 이통사들은 '탈통신'을 천명한 지 오래다.
국내 통신업계 부동의 1위 SK텔레콤은 일찌감치 'AI 컴퍼니' 전환을 선언한 이후 해당 이슈를 유영상 대표가 직접 챙기고 있고, KT와 LG유플러스 또한 인공지능 산업에서 '미래 먹거리'를 모색하고 있다. 지난 1월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CES 2023에서 배제됐던 중국 기업들 또한 한풀이 하듯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MWC에 대거 몰려들었는데, 이들 역시 전면에 내세운 것은 AI 기술이었다.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2일까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 이번 MWC 2023은 속도(Velocity)를 주제로 △5G 가속화 △실재감 △핀테크 △오픈넷 △모든 것의 디지털화 등 5대 테마에 관한 전시를 선보였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처음으로 전면 오프라인 개최된 이번 행사에는 202개 국가에서 2400여개 기업이 대거 참가했고, 당초 예상보다 10% 늘어난 8만8500명에 달하는 방문객들이 노마스크로 전시를 관람했다.
주최측인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에 따르면, GSMA 장관급 프로그램에는 150개국 이상에서 196명의 대표단과 약 70명의 장관, 100명 이상의 규제 당국 수장이 참석했다. 또한 현장을 방문한 언론인과 애널리스트는 2400여명으로 집계됐으며 MWC 전용 앱을 통해 하루 평균 1만개의 네트워킹 미팅이 이뤄지기도 했다. GSMA는 이번 행사로 3억5000만 유로(약 4879억원)에 달하는 경제적 효과를 냈다고 추산했다.
성과 면에서 흠 잡을 데 없는 훌륭한 행사임에 틀림없지만 내실을 살펴보면 고개가 갸우뚱해지는 것이 사실이다. '세계 최고 이동통신 전시회'라는 명성이 무색하게 내용 면에서는 'AI'와 '로봇'이 속을 꽉 채웠기 때문이다. 먼저 새해 들어 가장 큰 돌풍을 일으켰던 '챗GPT' 기술에 12조원을 투자한 마이크로소프트가 MWC 현장에서 AI 기반 서비스들을 선보여 부스를 방문한 관람객들의 발길을 사로잡았다.
화제의 검색 서비스 '빙', 화상회의 플랫폼 '팀즈', 음성인식 서비스 '뉘앙스' 등에 챗GPT가 탑재된 모델이 마이크로소프트 부스에서 시연됐다. 이에 질세라 국내 이통사 또한 부스를 마련하고 AI 기술을 앞다퉈 전시했다.
SK텔레콤은 초거대 AI 모델 '에이닷'을 주력으로 다양한 기술을 시연했고, KT 초거대 AI '믿음' 또한 글로벌 데뷔전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LG유플러스는 개인정보유출 사태 이후 '피해지원협의체'를 구성해 사태 수습에 총력을 다한다는 방침을 세우면서 MWC 2023 개막이 임박해 부스 설치 계획을 철회한 바 있다.
세부적으로 SK텔레콤과 KT가 MWC 2023에서 소개한 AI·로봇 기술들을 살펴보면, 먼저 SK텔레콤은 LBS테크·사피온 코리아와 함께 ICT를 바탕으로 사회적 약자를 돕는 ESG 관련 기술이나 서비스를 대상으로 하는 ‘접근성·포용성 위한 최고의 모바일 사용 사례’ 부문에서 수상의 영예를 얻기도 했다.
SKT와 LBS테크·사피온 코리아는 기존 시각장애인용 내비게이션이 대부분 GPS 신호를 기반으로 작동해 정확성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 착안해 로봇 자율주행, 스마트 글라스, 디지털 트윈 등을 위해 개발한 VLAM 기술을 세계 최초로 시각장애인용 내비게이션에 적용했다. 이를 토대로 정밀한 위치 측위로 실효성 있는 시각장애인용 내비게이션 ‘G-EYE 플러스’를 개발해 MWC 2023 현장에서 시연했고, 그 결과 수상으로까지 연결된 것이다.
SKT의 AI 기반 위치분석 플랫폼 ‘리트머스’ 또한 관심을 끌었다. 리트머스는 기지국 위치 데이터를 AI가 분석해 이동 상태 및 수단 등 위치 지능형 데이터를 제공하는 기술인데, SKT는 리트머스를 통해 향후 △네트워크 자원 불균형 해소 △교통 및 환경 문제 해소 △도시 안전 확보 △미래 도시 교통 인프라 구축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SKT는 향후 통신 데이터의 특성과 AI 기술을 접목해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해 나간다는 방침이이다. 유영상 SKT 대표는 “SKT의 AI 기술이 적용된 서비스가 글로벌 사업자들에게 인정받아 기쁘다”면서 “SKT는 앞으로도 AI 기술을 토대로 사회에 새로운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계속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KT는 MWC 2023 현장에서 '배송로봇'을 선보여 큰 인기를 끌었다. KT는 로봇 플랫폼을 기반으로 사전컨설팅, 로봇 설치, 원격관제, 현장 애프터서비스, 네트워크 구축 등 종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국내 최대 서비스로봇 선도 사업자다.
KT의 ‘로봇 메이커스’ 플랫폼은 서로 다른 기종의 로봇뿐만 아니라 엘리베이터, 주문·결제 애플리케이션, 출입문, 인터폰, 콜드체인(저온 유통체계) 등 로봇 사용에 필요한 인프라를 하나로 연결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로봇 통합관제 플랫폼이다. 다양한 로봇을 여러 사업에 적용할 수 있는 개방형 구조로, 로봇을 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도록 SDK와 API를 제공한다.
이번 MWC에서 처음으로 선보인 KT 배송로봇은 그동안 KT가 축적한 로봇 서비스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해 최초로 배송로봇에 온·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콜드체인 시스템 기능을 적용했다. 적재함 내 온도뿐만 아니라 습도까지 제어할 수 있어 배송되는 동안 식품의 신선함을 최대한 유지할 수 있다. KT는 향후 배송로봇에 이어 호텔, 병원 등에 설치된 다양한 로봇 서비스에도 이러한 콜드체인 시스템을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KT는 지난해 상용화한 AI 방역로봇을 이번 MWC 2023에서 또 한번 선보이며 본격적인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선다. AI 방역로봇은 MWC 전시장에서 무인 자율주행으로 공기 정화, 공기 중 부유 바이러스 살균, 바닥면 바이러스 살균 등의 기능을 전 세계 관람객들에게 시연해 큰 호응을 받았다는 후문이다. KT는 MWC 현장에서 호평을 받은 AI 방역로봇을 시작으로 앞으로 KT의 로봇 서비스를 전 세계로 확산시킨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KT는 이번 MWC 2023에서 인텔과 함께 Wi-Fi 7을 적용한 공유기인 ‘GiGA WiFi Premium 7’과 인텔의 향후 Wi-Fi 솔루션을 탑재한 인텔 플랫폼 기반 노트북을 전시하여 차세대 Wi-Fi 7 기술을 선보이기도 했다.
앞으로 KT는 한국 최대 WiFi AP(공유기) 개발·운용 역량을 기반으로 AP를 개발하고 인텔은 PC에서 시장 주도권을 지속할 Wi-Fi 7 솔루션을 개발하여 Wi-Fi 7 관련 상호간 호환성 시험을 통한 기술 혁신 및 안정화에 지속 협력할 계획이다. 또한 기존 Wi-Fi 6/6E 보다 기술 난이도가 높은 Wi-Fi 7 AP를 시장에 조기 공급해 Wi-Fi 7 시장 주도 및 새로운 인터넷 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것으로 기대한다. Wi- iFi 7 전세계 표준은 2024년초에 완성될 예정이다.
한편 이번 MWC는 중국의 약진 또한 빼놓을 수 없는 이슈였다. 화웨이는 MWC 참가 기업 중 가장 크게 부스를 차려 이목을 집중시켰다. 전시관 크기만 9000제곱미터에 달해 삼성전자 부스보다 무려 5배나 컸다. 개막 첫날에는 화웨이 부스에 1만명이 넘는 관람객이 다녀가기도 했다. 화웨이 관계자는 "올해는 모든 사업 부문을 한군데에 모아 지난해보다 훨씬 큰 규모로 꾸렸다"고 말했다.
화웨이도 AI를 강조한 것은 마찬가지였다. '지능형 세상'을 전면에 내세운 화웨이는 공공, 금융, 에너지, 운송, 제조 등 다양한 산업과 AI를 접목하는 디지털 전환 사례 등을 소개했다.
아울러 화웨이는 MWC 2023에서 '5.5G 시대'를 선도하기 위한 기술과 솔루션을 발표하고 이동통신사가 주목해야 할 비즈니스 기회를 공유해 큰 관심을 끌었다. 화웨이는 5.5G 시대의 주요 특징으로 △10Gbit/s 경험 △올 시나리오 사물인터넷(all-scenario IoT) △통합적인 센싱과 통신 △L4 자율주행 네트워크 △친환경 ICT 등을 꼽았다. 기술 혁신을 바탕으로 이통사의 네트워크 성능은 5G 대비 10배 향상될 것이라는 전망도 뒤따랐다.
글로벌 유력 투자은행 관계자들이 최근 JP모건 측의 주선으로 SK온의 국내 배터리 사업장을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SK온은 지난달 JP모건 애널리스트와 함께 서산공장을 찾아 사업 현황에 대한 설명을 듣고 생산 설비를 둘러봤다. 이에 따라 SK온이 향후 해외 자금 유치에 속도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SK온은 현재 미국 조지아주에서 1, 2공장을 가동하고 있으며 이들의 생산 능력을 합하면 21.5GWh에 달한다. SK온의 자금 유치에도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수치및이슈
1. JP모건 측의 주선으로 SK온의 국내 배터리 사업장을 방문
2. 서산공장은 3세대 스택킹(stacking) 장비 도입을 통해 생산성을 기존 장비 대비 2배 이상 향상
3. 업계에 따르면 SK온은 1월 말 기준으로 누적 수주액 290조원을 돌파
본문
(서울=연합뉴스) 박진형 장하나 기자 = 글로벌 유력 투자은행 관계자들이 최근 JP모건 측의 주선으로 SK온의 국내 배터리 사업장을 방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SK온이 향후 해외 자금 유치에 속도를 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SK온 차세대 배터리
19일 블룸버그 통신과 업계 등에 따르면 세계 5대 투자 은행에 소속된 투자 전문가들은 지난달 JP모건 애널리스트와 함께 SK온 서산공장을 찾아 사업 현황에 대한 설명을 듣고 생산 설비를 둘러봤다.
해당 애널리스트는 최근 발간한 방문 보고서에서 "서산공장은 3세대 스택킹(stacking) 장비 도입을 통해 생산성을 기존 장비 대비 2배 이상 향상했으며 이 최신 장비들은 SK온의 해외 공장에도 설치되고 있다"며 "향후 공장 자동화에 기반한 추가적인 마진 개선의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2012년 완공된 서산 공장은 SK온 최초의 배터리 생산 시설로, 연산 5기가와트시(GWh)의 생산능력을 갖췄다. 대표적인 생산 제품으로는 하이니켈 배터리인 NCM 811 배터리가 있다.
SK온은 작년 최고데이터책임자(CDO) 직책을 설립하고 이강원 전 SK텔레콤[017670] 인공지능(AI)·클라우드기술 담당을 영입해 스마트 팩토리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인터배터리 SK온 부스
업계에서는 SK온이 향후 서산공장의 생산능력을 추가로 확장할 것이라는 얘기도 나오고 있다.
보고서는 "SK온은 미국 첨단 제조 생산 세액공제(AMPC)의 혜택을 크게 받을 것"이라며 "올해 약 6억9천만달러의 현금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AMPC가 전액 영업이익에 반영될 가능성도 있다"고 분석했다.
AMPC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인센티브 중 하나로, 미국 내에서 배터리 생산 시 1킬로와트시(kWh)당 35달러의 세액공제를 제공하고, 배터리 모듈까지 생산하면 10달러의 세액 공제를 추가로 제공한다. 1kWh당 최대 45달러의 현금을 받을 수 있는 옵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K온은 현재 미국 조지아주에서 1, 2공장을 가동하고 있으며 이들의 생산 능력을 합하면 21.5GWh에 달한다.
김경훈 SK온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달 컨퍼런스콜에서 SK온이 2025년까지 AMPC와 관련해 최대 4조원의 수혜를 볼 것으로 전망했다.
이번 투자 전문가들의 방문과 JP모건 보고서를 계기로 SK온의 자금 유치에도 탄력이 붙을지 관심이 쏠린다.
IB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유력 투자자들의 국내 공장 방문 자체가 의미가 있다"며 "실사를 통해 SK온에 대한 그간의 우려를 해소한 것으로 보이는 만큼 향후 투자로 이어질 가능성도 커 보인다"고 말했다.
SK온 LFP 배터리
SK온은 최근 열린 국내 최대 배터리 산업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3'에서 코발트를 완전히 배제한 '코발트 프리' 배터리와 각형 배터리 등 다양한 셀 포트폴리오를 선보였다. 차세대 기술을 담은 전고체 배터리도 처음 실물을 공개했다.
파우치형 배터리만을 만들어온 SK온은 다양한 폼팩터(형태) 개발을 통해 완성차 업체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고 경쟁력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스웨덴의 완성차 업체인 볼보와도 각형 배터리 공급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게임체인저' 챗GPT 금융권도 활성화 바람 은행, AI로 고객응대·투자 포트폴리오 관리 핀테크는 보험·신용관리 등 AI활용 다각화
요약
한국 금융권에서 AI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움직임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국내 금융분야 AI 시장은 연평균 38.2% 성장하는 등 규모가 크게 확대될 전망이며, 시중은행과 핀테크 기업은 AI를 통해 챗봇, 투자 포트폴리오 관리, 신용관리 등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금융당국도 망 분리, 클라우드 규제 등을 개선하며 금융권의 효과적인 AI 활용을 적극 지원한다는 입장입니다.
수치및이슈
1. 국내 금융분야 AI 시장 규모는 지난 2021년 6000억원에서 5년 후 3조2000억원으로 433% 급증할 예정
2. 수백 장의 보험약관을 자체 개발 AI 기술로 분석, 이를 통해 보험 설계사 7명의 몫을 혼자서 할 수 있고 휴대폰 인증으로 수초 안에 보험 분석이 가능해져
3. 금융당국도 지난 2021년 '금융분야 AI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등 금융사의 AI 활성화를 위해 팔을 걷어붙여
본문
[파이낸셜뉴스] 미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오픈 AI의 ‘챗GPT’가 전 산업군의 게임체인저로 떠오른 가운데 금융권에서도 AI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움직임이 가시화되고 있다. 시중은행은 AI를 통해 챗봇, 투자 포트폴리오 관리 등을 도입했고 핀테크는 보험, 신용관리 등 활용법 다각화를 모색 중이다. 금융당국도 올해부터 망 분리, 클라우드 규제 등을 개선하며 금융권의 효과적인 AI 활용을 적극 지원한다는 입장이다.
금융 AI시장, 연평균 ‘38.2% 성장’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내 금융분야 AI 시장은 오는 2026년까지 연평균 38.2% 성장하는 등 규모가 크게 확대될 전망이다. 한국신용정보원이 발행한 ‘금융 AI 시장 전망과 활용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금융분야 AI 시장 규모는 지난 2021년 6000억원에서 5년 후 3조2000억원으로 433% 급증할 예정이다.
현재 시중은행은 챗봇을 중심으로 AI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KB국민은행이 운영하는 AI 챗봇 서비스는 지난해 말 기준 월간 활성화 이용자 수(MAU)가 100만명을 돌파해 전년 대비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국민은행의 AI 챗봇 문의량(64%)은 지난해 처음으로 전체 고객 문의 중 전화 문의량(36%)을 앞서기도 했다.
신한은행은 지난 2018년 챗봇 서비스를 출시한 후 품질 고도화를 통해 정답률 96%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후 챗봇의 디지털 고도화를 추진 안심전환대출의 상담 및 신청이 가능한 프로세스를 도입하기도 했다. MAU는 지난해 말 기준 120만명 수준이다.
은행권은 AI 챗봇 활성화로 대면 인력 감축도 추진한다는 입장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비용 절감 차원에서 대면 창구 인력을 줄이려는 추세”라며 “이에 챗봇, AI은행원 등 여러 형태의 비대면 AI 서비스를 정교화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국내은행에서 근무하는 정규직원 수는 지난해 12월 기준 10만4000여명으로 전년 대비 3000명 가량 줄었다.
빅데이터를 활용해 패턴 및 추세 분석이 가능한 AI인 만큼 은행권은 고객의 포트폴리오 관리에도 이를 활용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AI 기반 시장분석 시스템 ‘딥센싱’을 내부 자산관리시스템과 연계해 포트폴리오 관리 서비스를 제공 중이다. 우리은행에 따르면 딥센싱의 지난해 지수 하락 예측률은 78.8% 수준으로 일반 투자 전문가 전망보다 30% 이상 높았다. 하나은행도 AI 자산관리 서비스인 ‘하이로보’를 통해 고객별 투자 성향과 목적에 맞는 금융상품 포트폴리오를 추천 중이다.
핀테크社 “AI 활용법 다각화”
핀테크도 AI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마이데이터 기반 보험 핀테크사 해빗팩토리는 설계사가 기존에 수작업으로 정리하던 수백 장의 보험약관을 자체 개발 AI 기술로 분석했다.
이를 통해 보험 설계사 7명의 몫을 혼자서 할 수 있고 휴대폰 인증으로 수초 안에 보험 분석이 가능해져 업무 생산성을 높였다는 설명이다. 또 미국 주택담보대출 시장에도 AI 기술을 적용해 대출 심사 시간을 3일에서 1분으로 단축시키고 실시간 모기지 금리 조회 기능도 추가했다.
온라인투자연계금융기관 피플펀드는 최근 AI 기반 무료 신용관리 앱 크레딧플래닛을 출시했다. 알고리즘을 통해 신용점수를 올릴 수 있는 방법 등을 개인에 맞춰 제공한다. 신용진단 탭을 누르면 'A씨는 신용점수를 최대 110점 더 올릴 수 있어요'와 같은 문구로 향후 최대로 올릴 수 있는 신용점수 예측치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바이브컴퍼니의 핀테크 자회사 퀀팃은 자체 금융시장 AI 분석 모델을 국민연금공단의 '지능형 연금복지 통합플랫폼 구축 사업’에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퀀팃은 시장 동향 및 주식 종목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취합 및 분석하는 '핀터랩스'를 통해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신한은행 등에 AI 분석 리포트를 제공하고 있다.
금융당국 “망 분리·클라우드 규제 개선”
금융당국도 지난 2021년 '금융분야 AI 가이드라인'을 마련하는 등 금융사의 AI 활성화를 위해 팔을 걷어붙이고 있다.
특히 올해부터 망 분리·클라우드 규제를 개선했다. 원활한 AI 개발·활용을 위해서는 외부 개발제작도구(API) 및 클라우드 활용이 필수적임에도 그간 복잡한 시스템 중요도 평가 과정, 사전 보고 등의 규제에 막혀 어려움을 호소하는 금융사가 많았다.
이에 금융위는 이용자의 고유식별정보 또는 개인신용정보를 처리하지 않는 것을 전제로 연구·개발 분야에 대해 망 분리의 예외를 허용했다. 또 클라우드 이용업무의 중요도 평가 기준을 구체화해 명시하고, 비중요 업무에 대해서는 클라우드서비스제공자(CSP)의 건전성 및 안전성 평가, 업무 연속성 계획, 안전성 확보조치 절차를 완화해 수행할 수 있도록 했다. 한편 챗GPT 같은 AI 금융비서 출시를 위해서는 금융 '말뭉치(corpus)'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말뭉치는 AI가 언어적 구조를 가지는 문자·음성 데이터를 가공·처리·분석할 수 있는 형태로 모은 자료를 뜻한다.
이성복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금융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인공지능이 '설명가능하거나 책임있는 인공지능'의 요건을 충족하려면 대량의, 양질의 금융 말뭉치가 가장 절실하게 필요하다"면서 "지난해 하반기 착수한 금융 말뭉치 구축사업이 차질 없이 추진되도록 만전을 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LG CNS와 SAP가 협력하여 한국 기업에 최적화된 차세대 ERP 시스템을 구축하고 공동 운영할 예정입니다. LG CNS는 SAP의 ERP 'S/4하나'를 활용하여 인사, 회계, 구매 등 핵심 업무 시스템 처리를 위한 ERP 시스템을 개발하고, 빅데이터, AI, 머신러닝 등의 신기술을 결합하여 안정적으로 운영할 계획입니다. 이번 협력은 LG CNS가 차세대 ERP 역량을 글로벌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SAP는 한국 시장에서의 고객접점을 확대하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LG그룹 내 SAP ERP 수요 확산에 대응하겠다는 취지도 있습니다. LG그룹은 현재 계열사별로 SAP와 오라클 ERP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를 통해 ERP 단일화를 추진할 예정입니다. LG CNS는 ERP 수요가 늘어날 것에 대비하여 관련 조직 규모를 키우고 있으며, SAP ERP 전문가 채용도 진행 중입니다.
수치및이슈
1. LG CNS 대표가 독일을 찾아가 크리스찬 클라인 SAP CEO와 협약을 체결
2. LG CNS는 국내 기업들의 ERP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혁신하고,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ERP에 애플리케이션 현대화(AM), 인공지능(AI), 머신러닝 등 신기술을 결합해 고도화해 나갈 방침
3. LG 그룹 내 SAP ERP 수요 확산에 대응하겠단 취지가 깔려 있다는 분석
본문
【서울=뉴시스】송혜리 기자 = LG CNS가 전사적자원관리(ERP) 글로벌 시장 1위 기업인 독일 SAP와 차세대 ERP 사업을 위해 손을 잡았다. 현신균 LG CNS 대표가 독일을 찾아가 크리스찬 클라인 SAP CEO와 협약을 체결했다.
SAP ERP를 기반으로 한국 기업에 최적화된 차세대 ERP 시스템을 구축하고 공동 운영한다는 것이 골자다. 업계에선 LG CNS와 SAP의 이번 협약이 LG그룹의 차세대 ERP 프로젝트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ERP는 인사·회계·구매 등 기업 핵심 업무시스템 처리에 쓰는 핵심 시스템이다.
"한국 기업의 ERP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혁신"
지난 10일 독일 발도르프 SAP 본사에서 가진 양사의 협약식에는 현신균 LG CNS 대표, 크리스찬 클라인 SAP CEO를 비롯한 양사 고위 임원들이 참석했다.
현신균 대표는 지난 2019년 당시 LG CNS 최고기술책임자(CTO)로 SAP와 스마트팩토리 서비스 개발 협력을 주도한 바 있다. 현 대표는 "이번 파트너십은 LG CNS가 차세대 ERP 역량을 글로벌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SAP는 한국 시장에서의 고객접점을 확대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이를 토대로 양사 고객들의 디지털전환(DX) 여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양 사는 SAP의 ERP 'S/4하나'를 활용해 한국 기업에 최적화된 차세대 ERP 시스템을 구축하고 공동 운영한다.
LG CNS는 국내 기업들의 ERP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혁신하고,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ERP에 애플리케이션 현대화(AM), 인공지능(AI), 머신러닝 등 신기술을 결합해 고도화해 나갈 방침이다. 차세대 ERP 시스템 이용자는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산 영역에서는 공급망 현황 빅데이터를 AI, 머신러닝 등이 실시간으로 분석하면서 효과적인 경영 시뮬레이션을 진행한다.
LG CNS는 "SAP 'S/4하나'를 활용한 사업 협업을 LG 계열사를 포함한 국내 시장에서 시작하고, 점차 글로벌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LG CNS의 ERP 컨설턴트들은 SAP 글로벌 교육센터에서 'S/4하나' 관련 기술, 운영 교육을 이수할 예정이다.
LG그룹 차세대 ERP 수요 대응 차원…SAP로 그룹 ERP 단일화될까?
LG CNS와 SAP 간 협력 강화 배경엔 현신균 LG CNS 대표가 올해 초 화두로 던진 LG CNS의 글로벌 진출 교두보를 마련하겠다는 취지도 있지만, LG 그룹 내 SAP ERP 수요 확산에 대응하겠단 취지가 깔려 있다는 분석이다. LG그룹 사정에 밝은 한 관계자는 "그룹 계열사에서 ERP 수요가 부쩍 늘어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LG CNS는 경쟁사 대비 금융 분야 IT서비스에서 선전하고 있지만 삼성SDS, SK C&C와 같이 그래도 캡티브 마켓(그룹 내부 수요) 수요에 상당부분을 의지한다. 이 회사는 LG전자 등 대부분의 계열회사와 전산정보시스템 기본 계약을 맺고 있으며, 전산시스템 구축 및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실제 이 회사 2021년 내부거래(국내계열사 기준) 비중은 매출은 56.1%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LG그룹은 지난해부터 대규모 '차세대 ERP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ERP 단일화를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클라우드 전환에 따른 핵심 솔루션 표준화가 목적이다.
LG그룹은 현재 계열사별로 SAP와 오라클 ERP를 제각각 사용하고 있다. LG화학, LG유플러스, LG생활건강 등 제조·통신기업들은 SAP의 ERP를, LG전자, LG디스플레이 등 전자부문은 오라클 ERP를 쓰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그룹이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SAP ERP로 통일해 쓰는 것과 대비된다.
이에 대해 LG전자 관계자는 "그룹사 전체 ERP를 어떠한 단일 솔루션으로 전환하는 것에 대해 들은 바 없다"고 일축했다.
"SAP 전문가 찾아요"
LG CNS는 ERP 수요가 늘어날 것에 대비해 관련 조직 규모를 키우고 있다.
이 회사는 지난해 하반기 기존의 ERP담당을 ERP혁신부문으로 격상했다. 이 조직에 속한 ERP 컨설턴트들은 글로벌 ERP를 포함한 클라우드, AI 등 기술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입·경력 ERP 인력 채용도 진행 중이다. SAP ERP 전문가를 주력으로 찾고 있다. 회사는 LG그룹 차세대 ERP를 주도할 SAP ERP 전문가를 찾는다고 공고한 상태다. 다만 LG CNS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SAP와 협력강화 차원"이라고 일축했다.
현대차그룹, 항공모빌리티 육성 인니서 AAM생태계 구축 나서 1987년부터 항공사업 시작 현대정공, 현대우주항공에 이어 현대차, 슈퍼널서 항공비즈니스
요약
현대차그룹이 미래항공모빌리티(AAM) 사업에 진출하고 있다.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그랜드챌린지 실증사업 참가를 위해 KT와 현대건설과 컨소시엄을 구성했으며, 인도네시아에서도 AAM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현대정공(현 현대모비스)의 항공사업과 이어지는 전통이 있다. 1987년 차세대전투기사업(KFP)에 참여하면서 항공업에 진출한 현대정공은 항공기 재생사업대 대한 인가를 취득하고, 러시아 야크와 중형항공기 기술도입 및 합작사업을 모색했다. 현대기술개발(현 대우주항공)은 인공위성용 전력계 개발 및 중형과학로켓 발사통제시스템 개발 등 우주산업관련 업무를 추진했다. 그러나 IMF 체제로 들어가면서 항공우주사업은 위기를 맞았고, 현재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 이양됐다.
수치및이슈
1. 현대자동차는 최근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그랜드챌린지’ 실증사업 참가를 위해 KT, 현대건설과 컨소시엄을 구성
2. 현대차그룹의 미국 UAM 법인 슈퍼널은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플랫폼을 활용해 자율비행, 3D 비행 시뮬레이션, 버추얼 제조·서비스 등 미래항공 솔루션 개발
3. 슈퍼널은 통해 2028년 미국에서 UAM 서비스를 시작하는 것을 목표
* 슈퍼널 : 현대차그룹 미국 내 도심항공모빌리티 법인 이름
본문
[인사이드아웃] 현대차그룹은 미래항공모빌리티(AAM, Advanced Air Mobility)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대자동차는 최근 ‘한국형 도심항공교통 그랜드챌린지’ 실증사업 참가를 위해 KT, 현대건설과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 상용화를 위해서다.
그랜드챌린지는 국토교통부가 2025년 국내 UAM 상용화를 목표로 기체 안전성을 검증하고, 국내 여건에 맞는 운용 개념 및 기술 기준 등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하는 민관 합동 실증사업이다.
현대차그룹의 미국 UAM 법인 슈퍼널은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플랫폼을 활용해 자율비행, 3D 비행 시뮬레이션, 버추얼 제조·서비스 등 미래항공 솔루션 개발에도 나섰다.
슈퍼널은 마이크로소프트의 인공지능(AI) 기반 비행 시뮬레이션 플랫폼 ‘프로젝트 에어심(Project AirSim)’을 개발 초기부터 적용해 자율비행 솔루션을 개발하고, 시험 비행과 실증 사업도 공동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슈퍼널은 통해 2028년 미국에서 UAM 서비스를 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에서도 AAM사업에 뛰어들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해 인도네시아 신수도청과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인도네시아 AAM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상호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현대차그룹은 신수도 AAM 적용 계획을 수립하고 지상·항공 통합 모빌리티 개념을 검증할 계획이다. AAM 시험 비행 등도 준비하고 있다. 인도네시아는 자카르타에서 칼리만탄으로 수도를 이전할 예정이다.
이처럼 정의선 회장 체제에서 현대차그룹은 항공사업을 키우고 있다. 그러데 현대차의 항공비즈니스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정몽구 현대차그룹 명예회장 시절에도 항공비즈니스를 했다.
항공사업에 진출했던 회사는 현대정공(현 현대모비스)이다.
현대정공은 정몽구 대표이사 시절인 1987년 차세대전투기사업(KFP·Korea Fighter Program)에 참여하면서 항공업에 진출했다.
그해 KFP 조립생산업체로 지정받은데 이어 부품생산업체로도 지정받았다. 1988년에는 일본 가아사키중공업과 다목적 쌍발 헬리콥터인 BK-117기의 조립생산계약을 체결했다. 이어 1989년 12월8일 현대헬기1호기를 출고했다.
현대정공의 항공사업은 1991년 11월 부정기 항공사업 및 항공기 사용사업면허를 취득하면서 기틀을 잡아갔다. 1992년 2월에는 항공기 재생사업대 대한 인가를 취득했다.
현대정공은 또한 러시아 야크와 중형항공기 기술도입 및 합작사업을 모색했다. 야크는 조기경보기에서 2인승 경비행기 등 100여종에 이르는 항공기 개발기술을 보유했다. 1993년 11월 현대정공 51%, 야크 49% 지분으로 합작회사를 설립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현대정공 항공사업부는 1994년 3월 현대기술개발이 설립되면서 새 회사에 편입됐다. 현대기술개발은 1994년 8월 정부 국책사업인 ‘다목적 실용위성 개발사업’의 인공위성용 전력계 개발 주관사로 선정됐다. 12월에는 중형항공기 개발사업에 컨소시엄으로 참여했다.
1995년 10월엔 소형 및 대형 고정익 비행기 재생사업과 기기류 동력장치 액체기관 개발사업 허가를 각각 취득했다. 이어 1996년 2월 현대기술개발은 사명을 현대우주항공으로 바꿨다. 사업영역을 우주항공분야로 확장하기 위해서다.
현대우주항공은 인공위성용 전력계 및 중형과학로켓 발사통제시스템 개발 등 우주산업관련 업무를 추진했다.
또한 맥도널 더글라스와 100인승 중형항공기 개발사업에도 참여했다. 현대우주항공은 1999년까지 1조2000억원을 투자해 아시아 최대 우주하옹 생산공장을 건립하기로 계획했다.
하지만 1997년 말 IMF 체제로 들어가면서 사업은 위기를 맞았다. 1998년 정부에서 추진한 사업구조개혁에 의해 우주항공사업이 빅딜 명단에 올랐다. 현대우주항공의 항공우주사업은 1999년 10월 한국항공우주산업(현 KAI)에 현물출자방식으로 이양됐다.
이처럼 현대차그룹의 항공사업은 뿌리가 깊다. 땅에 이어 하늘에 대한 도전은 정몽구 명예회장에 이어 정의선 회장까지 이어지고 있다.
와치텍은 인공지능과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인프라 통합운영관리를 위한 4건의 특허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이번 특허는 이기종 인프라 자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와 장애를 사전에 예측하고 결과를 분석해 사용자에게 시각화하는 기술이다. 이를 활용한 통합운영관리 솔루션 '와치올(WatchAll)'은 언어학적 분석 기법과 AI·머신러닝을 이용해 장애 이벤트를 관리하고, 이기종 장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와 관련된 자원 종류, 이벤트 정보, 제어 이력 등을 학습해 추천모델로 관리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트랜잭션을 학습하고 로그 데이터에 대한 AI·머신러닝을 적용해 이상패턴을 감지하고 비정상 유무를 분석한다. 박권재 와치텍 대표는 이번 기술 개발로 클라우드와 레거시 환경을 모두 아우르는 최적의 통합운영관리 솔루션으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수치및이슈
1. 인공지능(AI)·머신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인프라 통합운영관리에 특화된 4건 특허권 취득을 완료
2. 이번 특허 4건은 서버, 네트워크, 로그, 애플리케이션, 클라우드 등 이기종 인프라 자원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이벤트와 장애를 시스템이 사전에 예측하고 결과를 분석해 이를 사용자에게 시각화해 제공
3. 와치텍은 이번 특허기술을 통합운영관리 솔루션 '와치올(WatchAll)'에 적용
본문
IT통합관리솔루션 전문기업 와치텍(대표 박권재)은 인공지능(AI)·머신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인프라 통합운영관리에 특화된 4건 특허권 취득을 완료했다고 19일 밝혔다.
와치텍은 이를 계기로 하이브리드·멀티 클라우드 환경과 같이 더욱 복잡한 IT 인프라의 구성요소를 보다 효과적으로 예측하고 사용자에 시각화해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특허 4건은 서버, 네트워크, 로그, 애플리케이션, 클라우드 등 이기종 인프라 자원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이벤트와 장애를 시스템이 사전에 예측하고 결과를 분석해 이를 사용자에게 시각화해 제공한다. 사용자가 더욱 안정적인 통합 인프라 운영관리 환경을 실현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네 가지 특허의 주요 기술은 △언어학적 분석 기법을 이용한 인프라 장애 학습·분석 △이기종 장비의 이벤트 제어를 위한 추천모델 생성 △애플리케이션 트랜잭션 학습·실시간 장애 예측과 해결 △스마트 로그병합·추이예측 시각화 시스템 등이다.
와치텍은 이번 특허기술을 통합운영관리 솔루션 '와치올(WatchAll)'에 적용했다. 언어학적 분석 기법을 이용해 장애 이벤트를 하나의 단어로 관리하고, AI·머신러닝을 활용해 언어학적인 유사도 분석과 키워드 도출로 이벤트로 인해 발생할 다른 이벤트도 예측하고 그에 대한 사전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와치올은 AI·머신러닝을 이용한 이벤트 제어로 이기종 장비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와 관련된 자원 종류, 이벤트 정보, 제어이력 등 정보를 하나의 추천모델로 학습해 관리한다. 이를 바탕으로 이벤트 발생 시 협업필터링 알고리즘을 통해 단순히 이벤트에 대한 정보만을 분석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에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제어방안을 추천한다.
더불어 와치올은 애플리케이션 트랜잭션을 학습하고 연관된 인프라의 다양한 성능정보를 관제해 애플리케이션 운용을 위한 통합 모니터링 환경을 제공한다. 기존 애플리케이션 모니터링 시스템은 단일 모니터링으로 단순한 성능 수집에 그쳐 장애발생 시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외 로그 데이터에 대한 AI·머신러닝을 적용해 이상패턴을 감지하고 비정상 유무를 분석한다. 와치올의 로그 발생 추이 분석을 통해 검출된 이상치와 미래에 발생 가능한 예측값을 시각화해 사용자에 제공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인 인프라 정보파악이 가능하다.
박권재 대표는 “특허기술을 적용한 와치올은 이미 3000여개의 국내 최다 고객사를 보유하며 그 활용성을 시장에서 입증 받고 있다”면서 “와치올은 검증된 신뢰성을 바탕으로 독자 특허 기술 확보를 통해 클라우드와 레거시 환경을 모두 아우르는 최적 통합운영관리 솔루션으로 거듭난다”고 말했다.
화웨이의 런정페이 창업자는 미국의 반도체 수출통제로 인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기초과학 투자를 통한 과학기술 연구개발에 나설 것이라 밝혔다. 그는 이전부터 기초이론에 투자해 전문가를 양성했으며, 이들이 과학의 '히말라야산'을 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화웨이는 수출통제로 인해 스마트폰과 통신장비 분야에서 글로벌 점유율이 낮아졌지만, 클라우드와 엔터프라이즈 IT사업을 강화하고 있으며, 인공지능과 5G 기술을 중심으로 산업생산성을 높이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런정페이는 인공지능이 2%만 직접 공헌하고 98%는 공업과 농업 등에서 쓰일 것이라며, AI 서비스가 보급되기 위해서는 5G 기술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수치및이슈
1. 미 정부의 기술통제를 받고 있는 화웨이의 런정페이 창업자가 기초과학 투자를 통해 겨울을 이겨내겠다고 밝혔다
2. 화웨이의 연구개발(R&D) 투자는 238억 달러(약 31조원)에 달했다.
3. 미국은 2019년 5월 행정명령을 내려 화웨이와 70개 계열사를 '수출통제명단'에 포함시켰다.
본문
미 정부의 기술통제를 받고 있는 화웨이의 런정페이 창업자가 기초과학 투자를 통해 겨울을 이겨내겠다고 밝혔다. 지난해 화웨이의 연구개발(R&D) 투자는 238억 달러(약 31조원)에 달했다.
18일 중국 언론에 따르면 런정페이는 지난달 24일 열린 한 전문가 좌담회 자리에서 미국의 반도체 장비 수출통제와 관련해 "우리는 여전히 어려운 시기에 처해 있지만 앞으로 나아가는 길에서 발걸음을 멈추지 않는다"며 이같이 설명했다.
그는 "다행히 우리는 약 20년간 기초이론에 투자를 해 왔고, 거액을 들여 기초이론을 연구하는 과학자와 노하우를 갖춘 전문가를 양성했다"며 "그들은 계속 과학의 '히말라야산'을 오르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가 탄압을 받을 땐 이들 과학자들을 산기슭으로 불러 양을 방목하고 경작을 하도록 하며, '메스'를 들고 돼지를 잡는 전투에 참가하게 한다"고 덧붙였다. 1
미국은 2019년 5월 행정명령을 내려 화웨이와 70개 계열사를 '수출통제명단'에 포함시켰다. 이들 기업과 거래하려면 미국 정부의 허락을 받도록 하는 등 화웨이의 공급망를 묶어두기 위한 고강도 제재를 펼치고 있다. 핵심 반도체 부품을 확보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자 화웨이는 스마트폰, 통신장비 등 핵심 사업에서 글로벌 점유율이 크게 낮아졌다. 이후 클라우드를 비롯한 엔터프라이즈 IT사업을 강화하는 동시에 과학기술 연구개발을 통한 돌파구 마련에 나서고 있다. 지난 2월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MWC2023'에서는 역대급 규모의 부스를 열고 건재함을 강조하기도 했다.
런정페이는 인공지능(AI)에 대해서는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플랫폼 회사가 인류사회에 직접 공헌하는 것은 채 2%가 되지 않을 것이며, 98%는 공업·농업사회 촉진에 기여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AI가 개인과 생활에 필요한 서비스보다는 제조, 농업 등 산업생산성을 높이는 데 더 많이 쓰일 것이라는 의미다. 런정페이 창업자는 그러면서 "AI 서비스가 보급되려면 5G에 연결돼야 한다. 독일이 화웨이의 5G(장비)를 지지하는 이유는 AI가 독일 산업의 진보를 추동하고, 독일의 매우 많은 공장이 생산라인 무인화를 이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