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명령어] 스토리지 관리 명령어 (stratis)
Stratis으로 스토리지 관리 Stratis는 Red Hat 및 업스트림 Fedora 커뮤니티에서 개발한 로컬 스토리지 관리 툴이다. Stratis를 사용하 면 스토리지 초기 구성 수행, 스토리지 구성 변경, 고급 스토리지 기능 사용이 더 쉬워진다. Stratis는 물리적 스토리지 장치 풀을 관리하는 서비스로 실행되며, 새로 생성된 파일 시스템의 볼륨을 투명하 게 생성 및 관리한다. Stratis는 씬 프로비저닝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디스크 장치의 공유 풀에서 파일 시스템을 빌드한다. 파일 시스템을 생성할 때 물리적 스토리지 공간을 즉시 할당하는 대신, Stratis에서는 파일 시스템에서 추가 데이터 를 저장할 때 풀에서 공간을 동적으로 할당한다. 따라서 파일 시스템의 크기가 1TiB로 표시될 수 있지..
2023.03.25
[일간 이슈] 3월 25일 (토) IT 뉴스 모음
뉴스를 빠르게 찾기 위해 Ctrl +F 를 눌러 들어오신 키워드를 검색해보세요! 목차 진격의 K방산…수주잔액 100조 넘었다 秋 "용인 반도체단지서 한일 공급망 협력" "스마트폰에 침투한 정찰풍선"… 美, 틱톡CEO 집중포화 LG엔솔 7조원 투자 美에 배터리 新공장 수출효자 게임 부진에…SW 18.4억弗 최악 적자 AI·로봇·전자상거래…사우디 다음 유니콘은? 이재용, 3년 만에 중국행…팀 쿡 등 글로벌 CEO 만난다 MS·서비스나우, 노코드와 AI 결합으로 생산성 극대화 [SWxAI]영림원소프트랩, AI로 중소·중견기업 ERP 구축 돕는다 "GPT-4 다음 버전에선 답변으로 '도표'받는 것 가능" "24시간 금융상담 하세요"...AI '챗봇·음성봇' 선봬 민간 클라우드 공공 시장 진출 본격 시동…NIA ..
2023.03.25
[Storage 이론] 스토리지 스택이란?
스토리지 스택은 컴퓨터 시스템의 데이터 스토리지를 관리하고 액세스하기 위해 함께 작동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프로토콜 모음을 나타낸다. 스토리지 스택은 데이터 구성, 검색 및 관리와 같은 다양한 스토리지 관련 작업을 처리하고 데이터 안정성, 성능 및 확장성을 보장한다. 쉽게 이야기하자면 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까지의 구성이 어떤지라고 보아도 무방할듯하다. 구성요소 저장 장치 여기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USB 드라이브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타 물리적 장치가 포함됩니다. 스토리지 스택의 기초를 형성한다. 스토리지 인터페이스 및 프로토콜 컴퓨터 시스템과 스토리지 장치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SATA(Serial ATA), SAS(Seria..
2023.03.24
[Linux 명령어] swap이란? (+ swap 관련 명령어)
SWAP 스왑은 Linux 기반 운영 체제에서 가상 메모리로 작동하는 저장 장치(예: HHD, SSD, 가상 저장 장치)의 전용 공간이다. 시스템의 사용 가능한 메모리가 부족할 때 물리적 RAM(Random Access Memory)을 보충하는 데 사용된다. 스왑 공간을 통해 운영 체제는 덜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를 RAM에서 스왑 영역으로 이동하여 더 중요하거나 자주 액세스하는 데이터를 위해 RAM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스왑 공간은 스왑 파티션 또는 스왑 파일의 형태일 수 있다. 스왑 파티션은 저장 장치의 전용 파티션인 반면 스왑 파일은 기존 파일 시스템 내의 파일이다. 둘 다 동일한 목적을 수행한다. SWAP 장점 메모리 부족 상황 시스템의 RAM이 부족할 때 스왑 공간은 덜 중요한 데이터를 일시..
2023.03.24
[Hardware] 디스크의 종류와 특징
디스크란 운영 체제, 응용 프로그램 및 사용자 데이터와 같은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데 사용되는 저장 장치를 말한다. 디스크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와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의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두 가지 유형의 디스크 모두 컴퓨터 및 기타 디지털 시스템에서 기본 또는 보조 저장 장치 역할을 하여 사용자가 데이터를 저장, 액세스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DD는 Hard Disk Drive의 약자로 컴퓨터 및 기타 전자 장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저장 장치 유형이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는 기본이며 일반적으로 컴퓨터에서 가장 중요한 데이터 스토리지 하드웨어 장치다. HDD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표면에 작은 트랙이 새..
2023.03.24
[Linux 명령어] 파티션과 파티션 분할 (parted)
목차 디스크 파티셔닝 MBR 파티션 체계 GPT 파티션 테이블 파티션 관리 명령어 parted 디스크 파티셔닝 디스크 파티셔닝은 디스크 드라이브를 여러 개의 논리 스토리지 파티션으로 나눈다. 파티션을 사용하면 다양 한 요구 사항에 따라 스토리지를 분할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분할은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 애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한한다. • 사용자 파일에서 운영 체제와 프로그램 파일을 구분한다. • 메모리 스왑을 위해 별도 영역을 생성한다. • 디스크 공간 사용을 제한하여 진단 도구 및 백업 이미징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MBR 파티션 체계 MBR(Master Boot Record) 파티셔닝 체계는 BIOS 펌웨어를 실행하는 시스템의 표준이다. 이 스키마는 최 대 네 개의 주..
2023.03.24
반응형
Stratis으로 스토리지 관리

Stratis는 Red Hat 및 업스트림 Fedora 커뮤니티에서 개발한 로컬 스토리지 관리 툴이다. Stratis를 사용하 면 스토리지 초기 구성 수행, 스토리지 구성 변경, 고급 스토리지 기능 사용이 더 쉬워진다.

 

Stratis는 물리적 스토리지 장치 풀을 관리하는 서비스로 실행되며, 새로 생성된 파일 시스템의 볼륨을 투명하 게 생성 및 관리한다. Stratis는 씬 프로비저닝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디스크 장치의 공유 풀에서 파일 시스템을 빌드한다. 파일 시스템을 생성할 때 물리적 스토리지 공간을 즉시 할당하는 대신, Stratis에서는 파일 시스템에서 추가 데이터 를 저장할 때 풀에서 공간을 동적으로 할당한다.

 

따라서 파일 시스템의 크기가 1TiB로 표시될 수 있지만, 풀 에서 실제로 할당된 실제 스토리지의 크기는 100GiB뿐일 수 있다. 다양한 스토리자 장치에서 여러 개의 풀을 생성할 수 있다. 각 풀에서 하나 이상의 파일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 현재 풀당 최대 2^24 개의 파일 시스템을 만들 수 있다.

 

Stratis는 Stratis 관리 파일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 요소를 표준 Linux 구성 요소에서 빌드한다. Stratis는 내부적으로 LVM도 사용하는 장치 매퍼 인프라를 사용한다. Stratis는 관리 대상 파일 시스템을 XFS로 포맷 한다. Stratis는 하드 디스크 또는 SSD와 같은 블록 스토리지 장치를 풀에 할당하며, 이러한 장치는 각각 풀에 실제 스토리지를 제공한다. 그런 다음 풀에서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고, 필요에 따라 실제 스토리지를 각 파일 시스템에 매핑한다.


주의점

Stratis에서 생성한 파일 시스템은 Stratis 툴 및 명령으로만 재구성해야 한다. Stratis는 저장된 메타데이터를 사용하여 관리되는 풀, 볼륨 및 파일 시스템을 인식한다. Stratis 명령이 아닌 명령을 사용하여 Stratis 파일 시스템을 수동으로 구성하면 해당 메타데 이터를 덮어쓰고 Stratis가 이전에 생성한 파일 시스템 볼륨을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명령어 사용 예

1. 다운로드 및 설치

sudo dnf install stratis-cli

systemctl enable --now stratisd

2. 다음으로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블록 장치를 나열한다. Stratis 풀을 생성하려면 이 정보가 필요하다. 사용 가능한 장치를 나열하려면 lsblk 명령을 사용할 수 있다.

lsblk

3. 사용 가능한 블록 장치 중 하나(예: /dev/sdb)를 사용하여 mypool이라는 새 스토리지 풀을 만든다.

sudo stratis pool create mypool /dev/sdb

4. 풀이 성공적으로 생성되었는지 확인한다.

sudo stratis pool list

5. mypool 스토리지 풀 내에 myfs라는 새 파일 시스템을 만든다.

sudo stratis filesystem create mypool myfs

6. 파일 시스템이 성공적으로 생성되었는지 확인한다.

sudo stratis filesystem list mypool

7. 새로 생성된 파일 시스템의 장치 매퍼 경로를 찾는다.

sudo stratis filesystem list mypool

출력되는 메시지는 DeviceNode 열 아래에 장치 매퍼 경로를 표시한다(예: /dev/stratis/mypool/myfs).

8. 이제 새 파일 시스템의 마운트 지점을 생성한다.

sudo mkdir /mnt/myfs

9. 이전에 얻은 장치 매퍼 경로를 사용하여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한다.

sudo mount /dev/stratis/mypool/myfs /mnt/myfs

10. 파일 시스템이 성공적으로 마운트되었는지 확인한다.

df -h

출력되는 메시지에는 /mnt/myfs에 마운트된 새 파일 시스템이 표시되어야 한다.

11. 부팅 시 파일 시스템이 자동으로 마운트되도록 하려면 /etc/fstab 파일에 항목을 추가한다.

vi /etc/fstab (vi, vim 등 파일 편집기 사용)

/dev/stratis/mypool/myfs /mnt/myfs xfs defaults 0 0

이 예에서는 Stratis 스토리지 풀을 생성하고 풀에 파일 시스템을 추가하고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는 방법을 보여주었다. stratis 명령은 스냅샷 생성, 파일 시스템 크기 조정과 같은 Stratis 스토리지 관리를 위한 다른 많은 작업을 제공한다. 

 

원래는 RHEL 9 버전에서 출시할 예정이었으나 아직 안정적이지는 않은지 아직 제대로 나오지는 않은 것 같다. 때문인지 쉽게 스토리지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명령어지만 어려운 느낌이 든다.

반응형
반응형

뉴스를 빠르게 찾기 위해 Ctrl +F 를 눌러 들어오신 키워드를 검색해보세요!


목차

  1. 진격의 K방산…수주잔액 100조 넘었다
  2. 秋 "용인 반도체단지서 한일 공급망 협력"
  3. "스마트폰에 침투한 정찰풍선"… 美, 틱톡CEO 집중포화
  4. LG엔솔 7조원 투자 美에 배터리 新공장
  5. 수출효자 게임 부진에…SW 18.4억弗 최악 적자
  6. AI·로봇·전자상거래…사우디 다음 유니콘은?
  7. 이재용, 3년 만에 중국행…팀 쿡 등 글로벌 CEO 만난다
  8. MS·서비스나우, 노코드와 AI 결합으로 생산성 극대화
  9. [SWxAI]영림원소프트랩, AI로 중소·중견기업 ERP 구축 돕는다
  10. "GPT-4 다음 버전에선 답변으로 '도표'받는 것 가능"
  11. "24시간 금융상담 하세요"...AI '챗봇·음성봇' 선봬
  12. 민간 클라우드 공공 시장 진출 본격 시동…NIA 사업 공모
  13. AI 디지털교과서 발굴 지원...클라우드 방식 접목

헤드라인

진격의 K방산…수주잔액 100조 넘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52兆·KAI 24兆·LIG넥스원 12兆 등
5~6년 일감 이미 확보…무기수요 늘며 올해도 수출 탄력


요약

한국의 주요 방산업체 5개사의 수주 잔액이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높은 가성비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100조원을 돌파했다는 보도다. 작년 기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항공우주산업(KAI), LIG넥스원, 대우조선해양, 현대로템 등 5개사의 수주 잔액은 100조 4834억원으로 업체별로 K9 자주포 등을 생산하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수주 잔액이 가장 많았다. 세계적으로 방위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서 작년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두 배 이상 늘어난 만큼, 이번 해도 ‘수주 잭팟’을 기대하고 있다.


수치이슈

1. 국내 주요 5개 방산업체의 수주 잔액이 100조원을 돌파

2.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럽 지역을 중심으로 급증한 무기 수요를 빨아들인 결과

3. 미국(10%), 일본(26%), 인도(13%) 등 주요국 대부분이 국방비 지출 예산을 늘렸다


본문

국내 주요 5개 방산업체의 수주 잔액이 100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K방산 제품의 높은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가 부각된 덕분이다. 세계 각국이 방위비를 경쟁적으로 늘리고 있어 추가 수주 가능성도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24일 주요 방산업체가 제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국항공우주산업(KAI), LIG넥스원, 대우조선해양, 현대로템 등 5개사의 방산 수주 잔액은 작년 말 기준 100조4834억원으로 집계됐다. 업체별로는 K9 자주포 등을 생산하는 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수주 잔액이 52조6586억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KAI 24조5961억원, LIG넥스원 12조2651억원, 대우조선해양(특수선 사업 부문) 6조4213억원, 현대로템 4조5423억원 순이다. 업계에서는 최소 5~6년치 일감을 확보한 것으로 평가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유럽 지역을 중심으로 급증한 무기 수요를 빨아들인 결과다. 스웨덴 싱크탱크인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IPRI)에 따르면 세계 방산 수출시장에서 한국의 점유율(2018~2022년)은 2.4%로, 직전 5년(1.3%) 대비 두 배 가까이로 높아졌다. 이에 따라 방산업체의 작년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많게는 두 배 이상 늘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은 역대 최대 이익을 냈다.

업계는 세계 주요국이 방위비 지출 규모를 확대하는 추세여서 올해도 작년을 뛰어넘는 ‘수주 잭팟’을 기대하고 있다. 미국(10%), 일본(26%), 인도(13%) 등 주요국 대부분이 국방비 지출 예산을 늘렸다. 이에 따라 정부도 올해 방산 수출 목표를 사상 최대인 170억달러(약 22조원) 이상으로 높여 잡았다. 최기일 상지대 군사학과 교수는 “K방산의 경쟁력은 충분히 입증됐다”며 “방산업체 대형화를 통해 한국판 록히드마틴이 등장해야 한다”고 말했다.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824784

 

진격의 K방산…수주잔액 100조 넘었다

국내 주요 5개 방산업체의 수주 잔액이 100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크라이나 전쟁을 계기로 K방산 제품의 높은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가 부각된 덕분이다. 세계 각국이 방위비를 경쟁

n.news.naver.com



헤드라인

秋 "용인 반도체단지서 한일 공급망 협력"

비상경제장관회의서 밝혀
내달 15개 산단 시행자 선정


요약

한일 정부가 관계 개선을 추진하면서 양국 간 경제협력이 확산되고 있다. 우선 경기 용인에 일본 기업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세계 최대 규모의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에 양국 간 공급망 협력을 구체화하는 관계부처 협의체를 가동할 것이다. 이에 따라 국토교통부는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등 15개 신규 국가산업단지 후보지의 사업시행자를 다음달 선정할 예정이며, 범정부 추진지원단을 구성하여 신속한 사업 투자를 위한 역량을 모은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글로벌 산업 경쟁에서 승리할 수 있도록 입지 조성과 육성 정책, 규제 완화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수치  이슈

1. 정부는 우선 경기 용인에 들어서는 세계 최대 규모의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에 일본 기업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경제협력에 나서기로 

2.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등 15개 신규 국가산업단지 후보지의 사업시행자를 다음달 선정한다.(4월 초예정)


본문

한일 정부가 관계 개선에 속도를 내면서 양국 간 경제협력이 반도체와 같은 첨단산업은 물론 인력 교류, 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까지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다. 정부는 우선 경기 용인에 들어서는 세계 최대 규모의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에 일본 기업의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경제협력에 나서기로 했다.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사진)은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에서 "신산업, 공동 투자, 공급망 등 여러 분야에서 한일 간 협력을 적극 추진하겠다"며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에서 양국 간 공급망 협력을 구체화하기 위한 관계부처 협의체를 가동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국토교통부는 이날 '국가첨단산업벨트 세부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등 15개 신규 국가산업단지 후보지의 사업시행자를 다음달 선정한다고 밝혔다. 특히 빠른 사업 추진이 필요한 경우에는 공공기관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속 예타로 간소화해 추진하고 심사 우선순위를 부여할 방침이다.

신규 산단을 조성하기 위한 '범정부 추진지원단'도 구성해 이달 31일 첫 회의를 열 예정이다. 이원재 국토부 1차관이 추진단장을 맡고 기재부·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와 지방자치단체, 사업시행자가 참여한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이날 "입지 조성과 육성 정책, 규제 완화를 적극적으로 지원해 글로벌 산업 경쟁에서 승리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범정부 역량을 모아 신속한 사업 투자가 필요하면 2026년에 착공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106587

 

秋 "용인 반도체단지서 한일 공급망 협력"

비상경제장관회의서 밝혀 내달 15개 산단 시행자 선정 한일 정부가 관계 개선에 속도를 내면서 양국 간 경제협력이 반도체와 같은 첨단산업은 물론 인력 교류, 인프라스트럭처 네트워크까지 전

n.news.naver.com



헤드라인

"스마트폰에 침투한 정찰풍선"… 美, 틱톡CEO 집중포화

美하원, 틱톡 청문회서 직격
블링컨도 안보 위협 강조
저우 CEO "中 기관원 아냐"
틱톡 해외사업 매각 검토에
中 "투자자 신뢰 훼손" 반발


요약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이 미국 정치권의 비난과 국가 안보 위협에 직면했다. 미 하원은 틱톡 청문회를 열고, 금지법안을 통과시키며, 틱톡 모회사 바이트댄스의 중국 지분 매각을 요구하는 등 전면 압박을 가하고 있다. 미 정치인들은 틱톡이 중국 공산당에 의해 조종되고, 미국 안보를 위협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저우 CEO는 바이트댄스가 중국 정부의 기관이 아니며, 중국 정부 요청에 따라 콘텐츠를 삭제하지 않는다고 강하게 반발했다. 중국은 이러한 미국의 움직임을 비판하고, 해외 매각 반대를 선언했다. 현재 틱톡 사용자는 전 세계에서 10억명 이상이며, 미국에서는 1억5000만명이 이용하고 있다.


수치  이슈

1.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부 장관 "(금지)할 수 있는 방법이 여러 가지 있는데, 어떤 방법으로든 위협을 끝내야 한다"

2. 저우 CEO는 강하게 반발 "우리는 중국 정부 요청에 따라 콘텐츠를 홍보하거나 삭제하지 않는다"

3. 틱톡 사용자는 현재 10억명 이상이며 미국에서만 1억5000만명이 이용


본문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TikTok)이 미국에서 퇴출 위기에 몰렸다. 전 세계적으로 10억명 이상이 사용하는 틱톡이 중국 공산당의 조종을 받고 있다고 미국 정치권이 거세게 몰아붙였기 때문이다.

미국 하원은 23일(현지시간) 틱톡 청문회를 열어 저우서우쯔 틱톡 최고경영자(CEO)를 증인으로 세웠다. 미국 하원이 민간에서 틱톡 이용을 전면 금지하는 권한을 행정부에 부여하는 법안을 통과시켰으며, 재무부 산하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가 틱톡 모회사 바이트댄스를 상대로 중국인 지분 매각을 요구한 데 이은 전방위 압박이다.

미국 하원 에너지통상위원장인 캐시 맥모리스 로저스 의원(공화당·워싱턴주)은 "틱톡은 위치는 물론이고 사람들이 무슨 말을 하는지를 비롯해 생물학적 정보 등 상상 가능한 거의 모든 자료를 수집한다"며 "우리는 틱톡이 자유와 인권, 혁신이라는 미국의 가치를 포용한 적이 단 한 번이라도 있다고 보지 않는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또 그는 "중국 공산당이 미국 전체를 조종하는 데 틱톡을 사용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앞서 마이클 매콜 미국 하원 외교위원장이 "틱톡은 스마트폰에 침투한 정찰풍선"이라고 목소리를 높인 것과 같은 맥락이다.

이날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 역시 틱톡이 미국 안보를 위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블링컨 장관은 청문회에서 "행정부가 틱톡이 제기한 도전을 해결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그는 틱톡이 안보를 위협하느냐는 질문에 "그렇게 생각한다"며 "(금지)할 수 있는 방법이 여러 가지 있는데, 어떤 방법으로든 위협을 끝내야 한다"고 답했다.

증인으로 출석한 저우 CEO는 강하게 반발했다. 그는 "바이트댄스는 중국 혹은 다른 어떤 나라의 기관원이 아니다"면서 "우리는 중국 정부 요청에 따라 콘텐츠를 홍보하거나 삭제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중국은 미국의 틱톡 퇴출 움직임을 비판했다. 중국 외교부는 이날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의 움직임은 전 세계 투자자의 신뢰를 심각하게 훼손할 것"이라고 주장했고, 중국 상무부는 "틱톡을 해외에 매각하려면 중국 정부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 단호히 반대하겠다"고 밝혔다.

틱톡 사용자는 현재 10억명 이상이며 미국에서만 1억5000만명이 이용하고 있다. 미국 정치권은 2019년 10월 처음 틱톡이 중국 공산당에 의해 조종되고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논란이 거세지자 틱톡은 모든 미국 사용자 정보를 텍사스에 있는 미국 기업 오라클 소유 서버로 이전하겠다는 대책을 내놓았다. 하지만 틱톡의 한 내부 고발자가 특정 도구를 사용하면 중국 직원이 미국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사태가 더 크게 악화했다. 틱톡 지분은 현재 장이밍·량루보 바이트댄스 창업자와 임직원이 각각 20%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매각 공세가 거세지자 바이트댄스는 미국 의존도를 낮추고자 해외 사업을 모기업과 분리 매각하는 한편, 호주에 새 거점을 마련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106530

 

"스마트폰에 침투한 정찰풍선"… 美, 틱톡CEO 집중포화

美하원, 틱톡 청문회서 직격 블링컨도 안보 위협 강조 저우 CEO "中 기관원 아냐" 틱톡 해외사업 매각 검토에 中 "투자자 신뢰 훼손" 반발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TikTok)이 미국에서 퇴출 위기에

n.news.naver.com



헤드라인

LG엔솔 7조원 투자 美에 배터리 新공장

애리조나에 43GWh 규모
전기차·ESS 배터리 생산
국내업계 단일투자 '최대'


요약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애리조나주 퀸크리크에 7조2000억원을 투자해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원통형 배터리 공장과 ESS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공장을 짓는 계획으로, 총생산능력은 43GWh이며 이는 LG에너지솔루션 단독 공장으로는 최대 규모다. 이번 투자로 LG에너지솔루션은 북미에서 7곳의 생산기지를 확보하게 되며, 2026년 기준 연간 생산 규모는 293GWh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투자는 전기차 시장 성장세가 가장 빠른 북미에서 전기차와 ESS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수치  이슈

1. LG엔솔이 7조2000억원으로 미국 애리조나주에 배터리 공장을 짓는다. 총생산능력은 43기가와트시(GWh)로 LG엔솔 단독 공장으로는 최대 규모

2. 신규 원통형 배터리 공장은 올해 착공해 2025년 양산을 목표

3. 이번 투자로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에서 생산기지 총 7곳을 확보


본문

LG에너지솔루션이 7조2000억원을 투입해 미국 애리조나주에 배터리 공장을 짓는다. 총생산능력은 43기가와트시(GWh)로 LG에너지솔루션 단독 공장으로는 최대 규모다. 국내 배터리 업체가 진행하는 단일 투자로도 최대다. 세계에서 전기차 시장 성장세가 가장 빠른 북미에서 전기차는 물론 에너지저장장치(ESS)까지 압도적 우위를 차지하기 위한 베팅이다.

24일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 애리조나주 퀸크리크에 4조2000억원을 투자해 원통형 배터리 공장, 3조원을 투자해 ESS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공장을 짓는 계획을 이사회가 승인했다고 밝혔다. 완공 후 원통형 배터리 생산량은 고성능 순수 전기차 35만대에 탑재할 수 있는 막대한 물량이다.

신규 원통형 배터리 공장은 올해 착공해 2025년 양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공장에서는 '2170' 원통형 배터리를 생산한다. 니켈·코발트·망간(NCM)을 양극재로 사용한 지름 21㎜, 길이 70㎜ 배터리다. 업계는 애리조나 공장에서 생산한 배터리가 테슬라에 대규모로 공급될 것으로 보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테슬라에 배터리를 공급하는 일본 파나소닉과 함께 미국에서 원통형 배터리 양강 체제를 형성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투자로 LG에너지솔루션은 미국에서 생산기지 총 7곳을 확보하게 된다. 2026년 기준 연간 생산 규모는 293GWh에 달할 전망이다. 전기차용 배터리만 추산하면 고성능 전기차를 연간 350만대 생산할 수 있는 물량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번 공장과 합작공장을 포함해 북미에만 누적 27조1000억원을 투자하게 됐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해 3월 애리조나주에 1조7000억원을 투자해 11GWh 규모로 원통형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가 재검토에 들어간 바 있다. 경기 둔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공장 건설 비용이 치솟았기 때문이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시행으로 미국에서 고품질·고성능 배터리 공급 요청이 크게 증가했다"며 "기존에 계획했던 투자를 대폭 확대해 시장 수요에 적극 대응해나가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9/0005106590

 

LG엔솔 7조원 투자 美에 배터리 新공장

애리조나에 43GWh 규모 전기차·ESS 배터리 생산 국내업계 단일투자 '최대' LG에너지솔루션이 7조2000억원을 투입해 미국 애리조나주에 배터리 공장을 짓는다. 총생산능력은 43기가와트시(GWh)로 LG에

n.news.naver.com



헤드라인

수출효자 게임 부진에…SW 18.4억弗 최악 적자

K콘텐츠 수출 양극화
日선 영상·음악 2.3억弗 흑자


요약

한국의 지식재산권 무역수지가 2년 연속 적자를 기록한 이유는 중국의 게임 규제 등으로 게임 수출이 부진해진 영향이 크다. 하지만 K팝과 K드라마 등을 통해 일본과 미국 등 일부 지역에서는 양호한 성적을 보이며, 문화예술저작권 무역수지는 일본에서 특히 흑자를 기록했다. 영상·음악 저작권에 관해서는 미국은 수입과 수출이 같았지만, 일본에서는 2억3000만달러의 흑자를 올렸다. 산업재산권 수지는 특허와 실용신안권 등으로 인해 26억2000만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수치  이슈

1. 게임이 대부분인 컴퓨터 프로그램 무역수지가 사상 최대 적자(-18억4000만달러)

2. 대중(對中) 컴퓨터 프로그램 무역수지는 2020년 18억6000만달러 흑자로 최대치를 기록한 뒤 2년 연속 감소세, 한한령(한류제한령)을 내린 뒤 한국 게임에 대한 규제를 강화한 탓

3. 지난해 사상 최대 흑자(6억달러)를 기록한 문화예술저작권 무역수지 (일본 : 2억3천(작년 1억 9천), 미국 5000만 *기준 달러)


본문

지난해 지식재산권 무역수지가 2년 연속 흑자에 실패한 것은 한국 콘텐츠 수출의 효자 노릇을 하던 게임이 부진에 빠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중국이 규제를 강화한 영향이 크게 작용했다. 그나마 K팝과 K드라마가 한국 수출의 새로운 효자로 자리매김하면서 전체 지식재산권 적자 폭을 줄였다. 특히 주요국 가운데 일본에서 문화예술저작권 흑자 증가세가 이어졌다.

게임이 대부분인 컴퓨터 프로그램 무역수지가 사상 최대 적자(-18억4000만달러)를 낸 것은 국내 게임회사의 수출이 얼어붙으면서다. 최대 시장인 중국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무역수지는 14억1000만달러 흑자로, 전년(17억9000만달러) 대비 21.1%(3억8000만달러)나 감소했다. 대중(對中) 컴퓨터 프로그램 무역수지는 2020년 18억6000만달러 흑자로 최대치를 기록한 뒤 2년 연속 감소세다. 중국이 2017년 한국의 사드 배치에 반발하며 한한령(한류제한령)을 내린 뒤 한국 게임에 대한 규제를 강화한 탓이다.

지난해 사상 최대 흑자(6억달러)를 기록한 문화예술저작권 무역수지는 특히 일본에서 2억3000만달러 흑자로, 전년(1억9000만달러)보다 21%(4000만달러) 늘었다. 일본 내 한류 바람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세계 최대 콘텐츠 강국인 미국을 상대로도 5000만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2021년 1억2000만달러 적자에서 1년 만에 흑자 전환했다. 중국에서는 8000만달러 흑자를 올렸지만 전년(1억7000만달러)과 비교하면 흑자 폭은 반토막 났다.

문화예술저작권 가운데 영상·음악 저작권만 따로 보면, 일본에서 2억3000만달러 흑자를 올렸다. 미국은 수출액과 수입액이 같았다. 불과 1년 전 1억3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한 데 비해 개선됐다. 중국에서 영상·음악 저작권 무역수지는 6000만달러 흑자를 냈다.

지식재산권을 유형별로 보면 산업재산권 수지가 특허·실용신안권(-18억7000만달러) 등을 중심으로 26억2000만달러 적자였다.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824814

 

수출효자 게임 부진에…SW 18.4억弗 최악 적자

지난해 지식재산권 무역수지가 2년 연속 흑자에 실패한 것은 한국 콘텐츠 수출의 효자 노릇을 하던 게임이 부진에 빠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중국이 규제를 강화한 영향이 크게 작용했다. 그나

n.news.naver.com



헤드라인

AI·로봇·전자상거래…사우디 다음 유니콘은?

'BIBAN 2023' 참가기업 눈길


요약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린 중동 최대 스타트업 행사 'BIBAN 2023'에서는 사우디의 전통 강세였던 핀테크와 전자상거래 분야를 비롯해 AI 등을 활용한 플랫폼 스타트업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전자상거래 소프트웨어(SW)업체 지드는 2024년 사우디 증시 상장을 앞두고 있으며, 레스토랑 관리 솔루션 푸딕스, 할부 결제 플랫폼 타마라, 트럭 서비스업체 트러커 등도 대규모 투자를 받았다. 이번 행사에는 이집트 스타트업도 참가해 이목을 끌었다.


수치  이슈

1. 전통적 강세였던 핀테크와 전자상거래 분야를 비롯해 AI 등을 활용한 플랫폼 스타트업이 점차 늘어나

2. 사우디에서는 지난해 레스토랑 관리 솔루션 푸딕스(시리즈C·2240억원), 할부 결제 플랫폼 타마라(시리즈B·1300억원), 트럭 서비스업체 트러커(시리즈C·1300억원) 등이 대규모 투자를 받았다 


본문

파란 바닥에 흰 줄이 교차한 작은 실내 코트. 사우디아라비아 스타트업 이페들의 공동창업자 네 명이 전통 터번 ‘구트라’를 쓰고 라켓을 휘둘렀다. 테니스와 스쿼시가 결합된 게임 ‘페들 테니스’다. 트래킹 카메라가 움직임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인공지능(AI)이 운동량을 분석해 기록하자 관람객의 탄성이 터져나왔다.

맞은편 부스에선 로봇 스타트업 퀄리티서포트솔루션의 ‘암 로봇’(사진)을 체험해보려는 줄이 길게 늘어섰다. 연동된 태블릿PC에 영어로 이름을 쓰자 펜을 든 로봇이 아라비안 문자로 번역하기 시작했다. 지난 9~13일 열린 중동 최대 스타트업 행사 ‘BIBAN 2023’에서 펼쳐진 풍경이다.

사우디는 스타트업 불모지였다. 벤처를 육성하기 위한 정부기관 몬샤아트도 2016년에야 설립됐다. 시장조사업체 루니콘에 따르면 사우디의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조원 이상 스타트업)은 핀테크 업체 STC페이가 유일하다. 하지만 전통적 강세였던 핀테크와 전자상거래 분야를 비롯해 AI 등을 활용한 플랫폼 스타트업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전자상거래 소프트웨어(SW)업체 지드는 2024년 사우디 증시 상장을 앞두고 있다. 무아트 알쿠라피 지드 제품총괄은 “우리 플랫폼은 온라인 스토어를 낼 수 있게 돕고, 회계 마케팅 등 170개 앱을 연결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고 했다. 지드는 사우디 사상 최대 투자 호황기였던 지난해 660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

사우디에서는 지난해 레스토랑 관리 솔루션 푸딕스(시리즈C·2240억원), 할부 결제 플랫폼 타마라(시리즈B·1300억원), 트럭 서비스업체 트러커(시리즈C·1300억원) 등이 대규모 투자를 받았다.

BIBAN 2023 행사에는 40곳 넘는 이집트 스타트업이 참가해 이목을 끌기도 했다.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824720

 

AI·로봇·전자상거래…사우디 다음 유니콘은?

파란 바닥에 흰 줄이 교차한 작은 실내 코트. 사우디아라비아 스타트업 이페들의 공동창업자 네 명이 전통 터번 ‘구트라’를 쓰고 라켓을 휘둘렀다. 테니스와 스쿼시가 결합된 게임 ‘페들 테

n.news.naver.com



헤드라인

이재용, 3년 만에 중국행…팀 쿡 등 글로벌 CEO 만난다

현지 사업장 찾아 현황 점검
25일부터 중국발전포럼 참석


요약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이 약 3년 만에 중국 출장을 다녀온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 출장은 중국 사업 현황을 점검하고 네트워크를 확장하기 위한 목적이다. 이 회장은 중국 법인을 방문해 사업 전략을 논의할 예정이며, 중국발전포럼(CDF)에도 참석한다. 이번 출장을 통해 경제활동이 재개되고 있는 중국에서 삼성전자의 사업 전략에 대한 변화와 발전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 회장은 다음달 미국 방문도 예정되어 있어 글로벌 경영 활동이 계속될 전망이다.


수치  이슈

1.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사진)이 약 3년 만에 중국 출장길로

2. 삼성전자의 지난해 중국 매출은 2021년(45조5714억원) 대비 21.8% 급감한 35조6257억원을 기록

3. 이 회장은 25~27일 베이징에서 열리는 중국발전포럼(CDFChina Development Forum)에도 참석


본문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사진)이 약 3년 만에 중국 출장길에 올랐다. 코로나19의 여파에서 벗어나고 있는 중국의 사업 현황을 점검하기 위해서다. 글로벌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이 모이는 포럼에 참석해 네트워크를 확장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본지 3월 15일자 A12면 참조

24일 산업계에 따르면 이 회장은 지난 23일 오후 베이징에 도착했다. 이 회장의 중국 출장은 2020년 5월 시안 반도체공장 방문 이후 약 3년 만이다.

이 회장은 이번 출장 기간 현지 법인을 방문해 사업 전략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중국 매출은 2021년(45조5714억원) 대비 21.8% 급감한 35조6257억원을 기록했다. 삼성전자는 중국 사업 태스크포스(TF)까지 조직해 반전을 노렸지만 고전하고 있다. 기대할 만한 점은 오랜 기간 이어졌던 중국의 코로나19 봉쇄가 풀리며 경제활동이 재개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 회장은 현지 임직원들을 격려하고 분위기 반전을 위한 ‘승부수’를 모색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회장은 25~27일 베이징에서 열리는 중국발전포럼(CDFChina Development Forum)에도 참석한다. CDF는 중국 정부가 2000년부터 2021년까지 매년 주최한 행사로, 중국 경제의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다. 올해는 ‘경제 회복: 기회와 협력’이라는 주제로 열린다.

주요 이벤트로는 오는 27일에 잡혀 있는 리창 중국 신임 총리와 글로벌 기업인들의 개별 면담이 꼽힌다. 이 행사엔 팀 쿡 애플 CEO, 앨버트 불라 화이자 CEO 등과 함께 이 회장도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회장의 글로벌 경영은 다음달에도 계속될 전망이다. 이 회장은 4월 하순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에 동행한다. 텍사스주 테일러에 건설 중인 반도체 공장에 들를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5/0004824753

 

이재용, 3년 만에 중국행…팀 쿡 등 글로벌 CEO 만난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사진)이 약 3년 만에 중국 출장길에 올랐다. 코로나19의 여파에서 벗어나고 있는 중국의 사업 현황을 점검하기 위해서다. 글로벌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이 모이는 포럼에

n.news.naver.com



헤드라인

MS·서비스나우, 노코드와 AI 결합으로 생산성 극대화

 

복잡해지는 프로젝드와 제한된 비용 해결 위해 생산성과 편의성 강화


요약

주요 IT 기업들이 노코드-로우코드(NCLC) 플랫폼에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도입하고 있다. 이는 디지털 전환과 인공지능(AI)·클라우드 등의 도입으로 인해 개발 프로젝트 규모가 커지고 복잡해지는 가운데 생산성과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로우코드 개발자 파워플랫폼에 GPT의 LLM 기술을 도입해 챗GPT 등을 적용할 예정이다. 또한, 서비스나우는 빅코드 프로젝트를 개발 중이며, 이를 로우코드 플랫폼과 결합해 다양한 업무와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해 앱을 개발할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앰빗도 GPT를 이용해 별도의 코딩 없이 업무용 앱과 자동화 프로세스를 구축할 수 있는 노코드 플랫폼을 공개했다.


수치  이슈

1. MS, 서비스나우 등 주요 IT기업에서 노코드로우코드(NCLC) 플랫폼에 챗GPT 등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도입

2. 두 서비스를 결합하는 이유는 생산성 및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함

3. 지속적인 불황으로 개발인력이나 외주사업 등에 투자할 수 있는 비용이 제한되면서 생산성에 극대화에 대한 고객사의 요구가 더욱 높아지고 있기 때문


본문

마이크로소프트, 서비스나우 등 주요 IT기업에서 노코드로우코드(NCLC) 플랫폼에 챗GPT 등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도입하고 있다.

두 서비스를 결합하는 이유는 생산성 및 편의성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최근 디지털전환과 함께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등의 도입으로 전 산업에서 개발 프로젝트 규모가 점차 크고 복잡해지고 있다.

하지만 지속적인 불황으로 개발인력이나 외주사업 등에 투자할 수 있는 비용이 제한되면서 생산성에 극대화에 대한 고객사의 요구가 더욱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로우코드 개발자 파워플랫폼에 GPT의 LLM 기술을 도입한다. 파워플랫폼은 애플리케이션 제작, 데이터분석, 챗봇 개발 등 전문적인 개발 기술을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서비스다.

챗GPT는 파워플랫폼 내 파워앱스와 파워 버추얼 에이전트에 우선 적용될 예정이다.

파워앱스는 업무용 모바일 앱을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는 로우코드 앱 개발 플랫폼이다. 챗GPT 지원으로 원하는 기능을 프롬프터에 적는 것 만으로도 간단한 앱을 제작할 수 있게 될 예정이다.

예를 들어 “일정 및 비용 보고서를 작성 및 제출할 수 있는 용 앱을 만들어줘”라는 문장을 입력하는 것 만으로 바로 앱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필요한 기능을 프롬프터 입력이나 템플릿 드래그 등으로 추가하거나 변경할 수 있을 예정이다.

파워 버추얼 에이전트는 기업 내 챗봇을 만들고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지능형 챗봇 개발 플랫폼이다.

기존 AI 대신 챗GPT가 챗봇의 역할을 대신함으로써 기업 내 자원과 데이터에 더욱 쉽고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보다 자연스러운 언어로도 소통할 수 있는 챗봇을 구현할 수 있도록 돕는다.

 

서비스나우는 허깅페이스와 함께 LLM 개발 프로젝트인 빅코드(BigCode)를 개발 중이다.

150억 매개변수로 교육 중인 빅코드는 전문 개발자를 비롯해 비개발자도 쉽게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사용해 앱을 개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언어모델이다.

서비스나우의 로우코드 플랫폼과 결합해 보다 광범위한 산업에서 다양한 업무와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해 앱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서비스나우는 먼저 큰 데이터 세트를 구축해 충분히 최신 언어 모델을 교육시킨 후 릴리스할 예정이다. 오픈소스의 경우 허용 가능한 라이선스만 데이터 세트에 포함한다.

앰빗도 GPT를 이용해 별도의 코딩 없이 업무용 앱과 자동화 프로세스를 구축할 수 있는 노코드 플랫폼을 공개했다.


출처

https://zdnet.co.kr/view/?no=20230324113422 

 

MS·서비스나우, 노코드와 AI 결합으로 생산성 극대화

마이크로소프트, 서비스나우 등 주요 IT기업에서 노코드로우코드(NCLC) 플랫폼에 챗GPT 등 대규모 언어모델(LLM)을 도입하고 있다.두 서비스를 결합하는 이유는 생산성 ...

zdnet.co.kr



헤드라인

[SWxAI]영림원소프트랩, AI로 중소·중견기업 ERP 구축 돕는다

AI 알고리즘·챗봇 탑재해 경영 분석 기능↑...클라우드형 ERP로 구축 비용 낮춰


요약

영림원소프트랩은 기업용 ERP 제품군에 AI를 탑재한 '케이시스템AI 경영분석'과 '시스템에버'를 출시했습니다. '케이시스템AI 경영분석'은 AI 알고리즘과 챗봇을 활용하여 ERP 내외부 데이터와 지표를 통합해 분석하고 경영 전략을 예측합니다. 이를 통해 중소·중견기업의 경영 인사이트를 도출하고 구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시스템에버'는 클라우드형 ERP로,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AI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솔루션은 IT 전문가 부족으로 IT 확충이 어려운 기업에게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수치  이슈

1. 인공지능(AI)이 연구실을 넘어 산업 곳곳에 스며들기 시작

 

* 기업마다 이슈를 짧게 정리해주고 있어 본문을 읽거나 사이트에 접속해 읽어도 좋을 내용들이므로 한번씩 읽어보는 것을 추천한다. 


본문

인공지능(AI)이 연구실을 넘어 산업 곳곳에 스며들기 시작했습니다. AI는 전사적자원관리(ERP), 고객관계관리(CRM), 인적자본관리(HR)시스템 등 기업용 SW에 들어섰습니다. 이를 통해 기업용 SW 성능을 끌어올리고 있습니다. [SWxAI]는 기업용 SW에 스며든 AI 역할과 강점을 보도하겠습니다. [편집자주]

영림원소프트랩(대표 권영범)은 ERP 제품군에 인공지능(AI)를 추가했다. 대표 솔루션은 '케이시스템(K-system)AI 경영분석'과 '시스템에버'다. 고객 대상도 명확하다. 중소·중견 기업이다. 케이시스템AI 경영분석은 AI 알고리즘과 챗봇으로 데이터 분석을 IT전문가 분석 수준으로 제공한다. 시스템에버는 클라우드형 ERP 솔루션이다. AI을 탑재해도 구축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다.

케이시스템AI 경영분석 "AI 데이터 전문가로 활용"

케이시스템AI 경영분석은 AI 알고리즘으로 경영 전략을 예측하는 솔루션이다. 기존 ERP 케이시스템 확장 버전으로 지난해 8월 나왔다.

 

케이시스템AI 경영분석 안에 있는 알고리즘은 ERP에 있는 기업 데이터를 수집, 분석한다. 환율, 유가, 경쟁사 실적, 경기지표 등 외부 데이터를 끌어오기도 한다. 한정된 ERP 데이터를 보완하기 위해서다. 알고리즘은 ERP 내외부 데이터와 지표를 통합해 분석한다. 이를 통해 ▲시장 수요 예측 ▲매출 전망 ▲경영 전략 적합성 등을 알려준다.

 

이 알고리즘은 중소·중견기업에 최적화된 분석 기능도 갖췄다. 일반적으로 소규모 회사는 기업 정보 관리 툴을 보유하지 않을 수 있다. 매출 정보나 거래처 현황 등을 꼼꼼히 관리할 자원이 부족할 수 있어서다. 이럴 경우 기존 ERP 플랫폼은 해당 정보를 분석에 반영하지 않는다.

 

케이시스템AI는 이를 보완할 수 있다. 일반 워드나 엑셀에 있는 데이터·정보까지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의미다. 영림원 측은 AI로 이를 기업 내외부 데이터와 조합, 분석해 경영 전략 제시에 활용한다는 입장이다.

AI 챗봇 탑재...ERP 데이터 정보 제공 '척척'

영림원은 AI 챗봇 '케이봇'을 케이시스템에 올해 추가했다. 케이봇은 자연어를 통한 대화형 질의응답 AI 서비스다. 기업에 유용한 트렌드 분석, 데이터 항목 간 상관관계 예측, 재고 파악, 모니터링에 관한 질문에 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올해 재고는 얼마나 남을지 분석해줘"라고 하면 케이봇은 ERP 내 데이터를 AI 알고리즘으로 계산해 답변한다. 또 "내년 매출 예측 데이터를 메일로 보내줘"라 하면 이를 바로 분석해 발송한다.

클라우드형 ERP '시스템에버'...AI 기능 저렴하게 활용

시스템에버는 클라우드를 ERP에 접목한 서비스 소프트웨어(SaaS)형 솔루션이다. 기능은 일반 ERP 시스템과 동일하다. 올해 초 AI 경영분석 기능을 추가했다.

 

가장 큰 장점은 ERP에 있는 AI 기능을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기업이 구축형 ERP를 사용하려면 라이선스 구매부터 컨설팅비까지 최대 4억원을 지불해야 한다. 초기비용의 15%가 매년 발생한다. 서버, 운영체제(OS), 시스템 관리 비용은 별도다.

 

여기에 AI 기능을 추가하면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일반 중소·중견 기업이 ERP를 구축하는데 부담스러운 가격이다. 반면 시스템에버는 구축 초기비용이 100만원 내외다. 서버, OS, 하드웨어 구입 비용은 없다.

"AI와 ERP 결합, 중소·중견기업 비용 부담 줄어"

케이시스템AI 경영분석과 시스템에버는 적은 IT 전문가로도 기업 인사이트를 편리하게 도출할 수 있다. IT 인력 확충이 어려운 기업이 해당 솔루션을 대안으로 활용할 수 있다.

 

AI를 탑재하지 않은 기존 ERP는 기업 데이터를 표면적으로 수집하는 것에 그쳤다. 양적인 데이터 수집엔 능숙하지만, 이를 조합해 기업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건 서툴다. 또 경영분석에 필요한 인사이트를 ERP로 도출하려면 기업 내 직원이 데이터 결과를 일일히 조합해 계산해야 했다. 분석 시간도 오래 걸렸다. 


출처

https://zdnet.co.kr/view/?no=20230324130256 

 

[SWxAI]영림원소프트랩, AI로 중소·중견기업 ERP 구축 돕는다

인공지능(AI)이 연구실을 넘어 산업 곳곳에 스며들기 시작했습니다. AI는 전사적자원관리(ERP), 고객관계관리(CRM), 인적자본관리(HR)시스템 등 기업용 SW에 들어섰...

zdnet.co.kr



헤드라인

"GPT-4 다음 버전에선 답변으로 '도표'받는 것 가능"

엔비디아 젠슨 황, 오픈AI 공동 창립자 수츠케버와 대담
엔비디아 AI컨퍼런스인 GTC 2023서 진행
GPT-4, 챗GPT, 딥 러닝의 미래 등 논의
"보다 큰 것이 더 좋은 성능낼 것"
"최우선 순위는 AI 신뢰성"


요약

GPT-4는 사용자가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도표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대해 일리야 수츠케버와 젠슨황이 이야기를 나누었다. 두 사람은 GPT-4와 챗GPT(ChatGPT)가 역사상 가장 인기 있는 컴퓨터 애플리케이션이라고 짚고 넘어갔다. 수츠케버는 GPT-4가 여러 측면에서 개선되었으며, 이미지 뿐만 아니라 텍스트도 읽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향후 버전에서는 사용자가 응답으로 다이어그램을 받을 수도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GPT는 두 단계의 학습을 사용하며, 첫 번째 단계는 다음 단어를 예측하고, 두 번째 단계는 모델을 더 신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대화를 주고받으며 두 사람은 AI의 신뢰성이 최우선 순위라는 데 동의했다.


수치  이슈

1. GPT-4의 다음 버전에선 사용자의 질문에 답변으로 도표를 받는 게 가능해질 것이란 전망

2. 챗GPT와 비교했을 때 GPT-4는 여러 측면에서 상당한 개선이 이뤄졌으며, 새 모델은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도 읽을 수 있다

3. GPT-4에 추론 능력이 있느냐는 질문에 수츠케버는 이 용어는 정의하기 어려우며, 아직은 개발 단계일 수 있다


본문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꼽히는 GPT-4의 다음 버전에선 사용자의 질문에 답변으로 도표를 받는 게 가능해질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오픈AI의 공동 설립자인 일리야 수츠케버(Ilya Sutskever)는 최근 엔비디아 AI 컨퍼런스인 ‘GTC2023’에서 젠슨황 엔비디아 CEO와 만나 이 같이 밝혔다.

일리아 수츠케버와 젠슨황은 먼저 GPT-4와 챗GPT(ChatGPT) 같은 생성형 AI 모델은 이미 역사상 가장 인기 있는 컴퓨터 애플리케이션이 됐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수억 명의 사용자의 상상력을 사로잡고 있는 심층 신경망의 기능, 한계, 내부 작동 방식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수츠케버는 “챗GPT와 비교했을 때 GPT-4는 여러 측면에서 상당한 개선이 이뤄졌으며, 새 모델은 텍스트뿐만 아니라 이미지도 읽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특히 그는 “향후 버전에서는 사용자가 응답으로 다이어그램(도표)을 돌려받을 수도 있을 것”이라고 했다.

GPT는 두단계 학습 사용

젠슨 황은 “챗GPT가 하나의 큰 언어 모델이라는 오해가 있지만, 그 안에는 여러 시스템이 존재한다”라고 말했다.

수츠케버는 “오픈AI가 두 단계의 학습을 사용한다”며 “첫 번째 단계는 일련의 다음 단어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이고 두번 째는 더 신뢰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신경망이 학습하는 것은 텍스트를 생성한 과정의 일부이며, 이는 세상을 투영한 것”이라며 “두 번째는 가드레일(보호막)을 포함해 우리가 원하는 것을 신경망에 전달하여 더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해지도록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창조의 순간에 함께

수츠케버는 대규모 데이터 세트로 훈련된 심층 신경망의 힘을 최초로 보여준 사람 중 한 명이다. 학술 경연 대회에서 AI의 선구자인 지오프 힌튼(Geoff Hinton)과 알렉스 크리제브스키(Alex Krizhevsky)와 함께 시연했던 알렉스넷(AlexNet) 모델은 인간보다 더 빠르게 이미지를 인식했다.

젠슨 황은 이들의 연구를 AI의 빅뱅이라고 불렀다.

황은 그 결과가 “매우 큰 차이로 기록을 깼고 여기에 불연속성이 있다는 것이 분명했다”라고 했다.

GPU 병렬 처리가 지닌 힘…‘확장’

이러한 혁신 중 일부는 그패픽처리장치(GPU)를 통해 모델에 적용한 병렬 처리에서 비롯됐다.

수츠케버는 “GPU에 매우 적합한 이미지넷 데이터 세트와 컨볼루션 신경망 덕분에 전례 없는 속도로 기존에 없던 새로운 것을 훈련시킬 수 있었다”고 말한다.

초기 작업은 토론토 대학교 실험실에서 몇 대의 지포스 GTX 580 GPU로 실행됐다.

최근에는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icrosoft Azure)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수만 대의 최신 엔비디아 A100 및 H100 텐서 코어(Tensor Core) GPU가 챗GPT(ChatGPT)와 같은 모델에 대한 학습 및 추론을 처리한다.

젠슨 황은 ”우리가 서로 알고 지낸 세월이 10년이다. 그동안 훈련한 모델은 약 백만 배의 성장을 이뤘다. 컴퓨터 과학 업계의 누구도 그 기간 동안 수행된 계산이 백만 배나 더 커질 것이라고는 믿지 않았을 것“이라고 했다.

수츠케버는 ”나는 보다 큰 것이 더 좋은 성능을 지닐 것이라는 강한 믿음을 가지고 있었고, 오픈AI(OpenAI)의 목표 역시 확장이었다“라고 했다.

최우선 순위는 AI 신뢰성

대화를 주고받으며 젠슨 황과 수츠케버 모두 웃음을 주고받았다. 수츠케버가 “인간은 한평생 10억 개의 단어를 듣는다”고 하자, 젠슨 황은 “내 머릿속으로 생각하는 단어도 거기에 포함되는지” 물었다. 그러자 수츠케버는 “그것까지 포함해 20억 개로 정정한다”고 웃으며 답했다.

두 사람은 AI의 전망에 대해 논의하며 한 시간 가까이 진행된 대담을 마무리했다.

GPT-4에 추론 능력이 있느냐는 질문에 수츠케버는 이 용어는 정의하기 어려우며, 아직은 개발 단계일 수 있다고 답했다.

그는 ”우리는 계속해 우리를 놀라게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보게 될 것이다. 최우선 순위는 신뢰성이며, AI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사람들이 믿음을 가지고, AI가 무언가를 모를 때 모른다고 말할 수 있는 지점에 도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황은 세션을 마무리하며 “오픈AI는 정말 놀라운 성과를 이뤘다. 박사 학위 수준을 넘어선, 대규모 언어 모델의 최첨단 기술에 대한 최고의 설명 중 하나”라고 했다.


출처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755206635546600&mediaCodeNo=257&OutLnkChk=Y 

 

"GPT-4 다음 버전에선 답변으로 '도표'받는 것 가능"

젠슨황 엔비디아 CEO(좌)와 일리야 수츠케버 오픈AI 공동 설립자가 현대 인공지능(AI)이 어떻게 시작됐고, 현재 위치는 어디인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인지에 대해 노변 담화를 진행했

www.edaily.co.kr



헤드라인

"24시간 금융상담 하세요"...AI '챗봇·음성봇' 선봬

 


요약

SK증권이 24시간 상담 가능한 인공지능(AI) 챗봇과 음성봇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파이낸셜뉴스가 보도했다.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콘택트센터(AICC)를 구축한 이번 서비스는 고객 요구사항을 신속하게 파악해 대기시간 없이 업무를 처리하며, 고객 상담데이터를 분석하여 불편사항을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개인화된 상담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다. 챗봇은 고객과의 양방향 소통에 중점을 두며, 음성봇은 공모주 청약 안내, 시세 및 지수 조회, 업무제한 안내 등의 대화형 AI상담 서비스를 제공한다. SK증권은 이번 서비스를 시작으로 맞춤형 금융비서, 초개인화 콘텐츠 등 다양한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수치  이슈

1. SK증권이 24시간 금융 상담이 가능한 챗봇 및 음성봇 서비스를 출시

2. 챗봇은 고객과의 양방향 소통에 중점. 최적의 답변 뿐 아니라, 질문의 숨은 의도를 파악해 유사 추천질문까지 제공한다. 답변 후에는 업무처리 화면으로 안내해 고객 편의성을 증진

3. SK증권은 이번 AI 상담 서비스를 시작으로 맞춤형 금융비서, 초개인화 콘텐츠 등 다양한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


본문

[파이낸셜뉴스] SK증권이 24시간 금융 상담이 가능한 챗봇 및 음성봇 서비스를 출시했다.

24일 SK증권에 따르면 이번 서비스는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콘택트센터(AICC) 구축의 일환이다. 인공지능(AI) 상담원이 고객 요구사항을 신속하게 파악하고 대기시간 없이 업무를 처리한다. 고객 상담데이터를 분석해 불편사항을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개인화된 상담 서비스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챗봇은 고객과의 양방향 소통에 중점을 뒀다. 최적의 답변 뿐 아니라, 질문의 숨은 의도를 파악해 유사 추천질문까지 제공한다. 답변 후에는 업무처리 화면으로 안내해 고객 편의성을 증진시켰다.

음성봇은 대화형 AI상담 서비스로 고객 문의가 많은 △공모주 청약 안내 △시세 및 지수 조회 △반송에 의한 업무제한 안내 등을 우선 개시했다. 향후 지속적·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고객 안내·통지 업무를 확대해 나아갈 계획이다.

SK증권은 이번 AI 상담 서비스를 시작으로 맞춤형 금융비서, 초개인화 콘텐츠 등 다양한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다.

최석원 미래전략부문 대표는 "인공지능,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의 정보기술 도입을 넘어 활용과 가치 확산에 매진하겠다"며 "이를 위해 '고객의 소리'에 더욱 귀 기울여 니즈를 적극 반영하고 서비스를 고도화 하는 등 최고의 고객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https://www.fnnews.com/news/202303241704191647

 

"24시간 금융상담 하세요"...AI '챗봇·음성봇' 선봬

[파이낸셜뉴스] SK증권이 24시간 금융 상담이 가능한 챗봇 및 음성봇 서비스를 출시했다.24일 SK증권에 따르면 이번 서비스는 클라우드 기반 인공지능 콘택트센터(AICC) 구축의 일환이다. 인공지능(

www.fnnews.com



헤드라인

민간 클라우드 공공 시장 진출 본격 시동…NIA 사업 공모

'공공 부문 이용 SaaS 개발·검증' 사업 공모


요약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공공 부문 이용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개발·검증'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와 NIA는 공공용 SaaS 제공 및 민간 클라우드 우선 도입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지난해 27개의 SaaS를 지원하였다. 이번 사업에서는 공공 부문에서 이용 가능한 SaaS를 확충하고 국내 기업의 개발 및 유통을 지원할 예정이다. 공공 SaaS 트랙과 교육 SaaS 트랙 두 분야를 지원하며, 최대 2년까지 지원된다. 참여 희망 기업은 4월 25일까지 수행계획서를 제출할 수 있다.


수치  이슈

1.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공공 부문 이용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개발·검증' 사업 공모를 추진

2. 과기정통부와 NIA는 지난해 80억원을 편성해 총 27개의 SaaS를 지원

3. 전체 공공용 SaaS의 40%, 내부 업무·행정용 60%가 증가될 전망


본문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공공 부문 이용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개발·검증' 사업 공모를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NIA는 공공용 SaaS 제공 및 민간 클라우드 우선 도입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공공 부문에서 이용 가능한 SaaS를 확충하기 위한 것으로 과기정통부와 NIA는 지난해 80억원을 편성해 총 27개의 SaaS를 지원했다.

지난해 △내부 업무·행정용(성과 관리, 채용 등) 12개 △공공 혁신 서비스(교통, 임대 관리 등) 분야의 15개 SaaS가 클라우드 보안 인증을 획득하는 과정에 있다. 이로서 전체 공공용 SaaS의 40%, 내부 업무·행정용 60%가 증가될 전망이다.

과기정통부와 NIA는 올해 지난해 대비 40억원 증액된 총 120억원 규모의 '공공 SaaS 트랙'과 '교육 SaaS 트랙' 두 분야를 지원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이번에 공고된 공공 SaaS 트랙의 모집 대상은 공공 부문에서 이용이 가능한 SaaS 개발·유통을 희망하는 국내 기업이다. 유형에 따라 최대 2년까지 지원한다.

SaaS 기업은 CSAP 인증 등 공공 제공 요건을 만족하며 클라우드에서 제공되는 첨단기술, API 등을 활용해 클라우드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는 클라우드 네이티브로 개발한다.

참여 희망 기업은 오는 4월25일까지 수행계획서를 온라인으로 제출하면 된다.

황종성 NIA 원장은 "공공 부문이 이용할 수 있는 SaaS의 개발을 적극 지원하며, 민간기업이 공공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판로 개척을 위하여 다양한 정책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https://www.news1.kr/articles/4992451

 

민간 클라우드 공공 시장 진출 본격 시동…NIA 사업 공모

(서울=뉴스1) 윤지원 기자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공공 부문 이용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개발·검증' 사업 공모를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NIA는 공공용 SaaS 제

www.news1.kr



헤드라인

AI 디지털교과서 발굴 지원...클라우드 방식 접목

과기부 'K-클라우드 프로젝트'사업 통해
발행사의 AI 디지털 교과서 개발 지원


요약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교육부가 협력하여 인공지능(AI) 디지털 교과서 개발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클라우드 방식의 교과서 개발을 쉽게 하고 지원하기로 한 것으로, 이에 대한 발행사 지원을 위해 2년간 최대 3억7000만원의 개발비와 국내 대표 클라우드 기업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SDK), 기술 교육·컨설팅 등을 지원한다. 교육부도 2월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을 통해 오는 2025년부터 수학·영어·정보 과목에 AI 디지털교과서를 도입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으며, 이번 협력을 통해 AI 디지털교과서 개발에 SaaS를 접목하게 됐다.


수치  이슈

1.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교육부와 함께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개발을 지원

2.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을 통해 오는 2025년부터 수학·영어·정보 과목에 AI 디지털교과서를 도입한다는 계획을 발표

3. 교과서 발행사와 정보기술(IT) 기업 간 협력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시간이 필요하다는 현장의 의견을 반영해 당초 3월 31일까지였던 사업 공고 기간을 4월 20일까지 연장하기로


본문

[파이낸셜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교육부와 함께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개발을 지원한다.

24일 과기정통부와 교육부에 따르면 교과서 발행사가 클라우드 방식(SaaS)의 교과서를 쉽게 개발하고 재정·기술적으로 지원키로 했다.

앞서 과기정통부는 추진 중인 'K-클라우드 프로젝트'의 일환인 교육 SaaS 개발 지원사업에서 '디지털교과서' 유형을 신설하기로 협의한 바 있으며, 지난 2월 16일 해당 사업을 공고한 후 발행사에 안내하기도 했다. 교육부도 2월 '디지털 기반 교육혁신 방안'을 통해 오는 2025년부터 수학·영어·정보 과목에 AI 디지털교과서를 도입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정부는 사용자 편의성과 최근 디지털 기술 동향 등을 고려해 AI 디지털교과서 개발에도 SaaS를 접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공감대를 바탕으로 이번 사업을 지원하게 됐다. 발행사는 해당 사업을 통해 2년간 최대 3억7000만원의 개발비와 국내 대표 클라우드 기업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SDK), 기술 교육·컨설팅 등을 지원받게 된다.
과기정통부와 교육부는 교과서 발행사와 에듀테크(교육+기술)·클라우드 기업이 협력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기 위해 2월부터 사업 설명회, 발행사-기술 기업 간담회, 클라우드 기업 서비스 설명회 등을 잇달아 개최했다.

이 과정에서 교과서 발행사와 정보기술(IT) 기업 간 협력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시간이 필요하다는 현장의 의견을 반영해 당초 3월 31일까지였던 사업 공고 기간을 4월 20일까지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향후 과기정통부와 교육부는 AI 디지털교과서 개발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고, 교과서 발행사, IT 기업 등과도 지속적으로 소통해 나갈 예정이다.


출처

https://www.fnnews.com/news/202303241606409177

 

AI 디지털교과서 발굴 지원...클라우드 방식 접목

[파이낸셜뉴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교육부와 함께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개발을 지원한다. 24일 과기정통부와 교육부에 따르면 교과서 발행사가 클라우드 방식(SaaS)의 교과서를 쉽게 개

www.fnnews.com


반응형
반응형

스토리지 스택은 컴퓨터 시스템의 데이터 스토리지를 관리하고 액세스하기 위해 함께 작동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프로토콜 모음을 나타낸다. 스토리지 스택은 데이터 구성, 검색 및 관리와 같은 다양한 스토리지 관련 작업을 처리하고 데이터 안정성, 성능 및 확장성을 보장한다. 쉽게 이야기하자면 하드웨어부터 소프트웨어까지의 구성이 어떤지라고 보아도 무방할듯하다.


구성요소
  1. 저장 장치
    여기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USB 드라이브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타 물리적 장치가 포함됩니다. 스토리지 스택의 기초를 형성한다.

  2. 스토리지 인터페이스 및 프로토콜
    컴퓨터 시스템과 스토리지 장치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SATA(Serial ATA), SAS(Serial Attached SCSI), NVMe(Non-Volatile Memory Express), iSCSI 및 파이버 채널과 같은 SAN(Storage Area Network) 프로토콜이 있다.

  3.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RAID는 여러 물리적 저장 장치를 단일 논리 장치로 결합하는 데이터 저장 가상화 기술이다. 구현된 RAID 수준에 따라 다양한 수준의 데이터 중복성, 성능 및 용량을 제공한다.

  4. 논리 볼륨 관리(LVM)
    LVM은 여러 물리적 장치에서 스토리지 공간을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는 추상화 계층이다. 여러 저장 장치에 걸쳐 있을 수 있는 논리 볼륨의 생성, 크기 조정 및 관리가 가능하다.

  5. 파일 시스템
    파일 시스템은 저장 장치에서 데이터를 구성, 저장 및 액세스하는 방법을 결정한다. 일반적인 파일 시스템에는 ext4, XFS, Btrfs, NTFS 및 HFS+가 포함됩니다. 파일 시스템의 선택은 운영 체제, 성능 요구 사항 및 특정 사용 사례와 같은 요소에 따라 다릅니다.

  6. 스토리지 관리 도구
    스토리지 스택의 다양한 측면을 구성, 모니터링 및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소프트웨어 유틸리티다. 예를 들면 fdisk, parted 및 LVM 명령과 같은 명령줄 도구와 GNOME 디스크 및 디스크 유틸리티와 같은 그래픽 도구가 있다.

  7. 네트워크 스토리지
    NFS(네트워크 파일 시스템), SMB(서버 메시지 블록)/CIFS(공통 인터넷 파일 시스템) 및 iSCSI와 같은 네트워크 스토리지 기술을 사용하면 네트워크를 통해 스토리지 리소스를 공유하고 관리할 수 있다.

  8. 분산 및 클러스터 스토리지
    확장성, 내결함성 및 고가용성을 제공하는 대규모 분산 환경용으로 설계된 스토리지 솔루션이다. 예를 들면 GlusterFS, Ceph 및 Hadoop 분산 파일 시스템(HDFS)이 있다.


스토리지 스택의 구성요소는 원활한 스토리지 경험을 제공하고 다양한 데이터 스토리지 요구 사항을 충족하며 안정적이고 효율적이며 안전한 데이터 관리를 보장하기 위해 조화롭게 작동해야한다.

반응형
반응형
SWAP

스왑은 Linux 기반 운영 체제에서 가상 메모리로 작동하는 저장 장치(예: HHD, SSD, 가상 저장 장치)의 전용 공간이다. 시스템의 사용 가능한 메모리가 부족할 때 물리적 RAM(Random Access Memory)을 보충하는 데 사용된다. 스왑 공간을 통해 운영 체제는 덜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를 RAM에서 스왑 영역으로 이동하여 더 중요하거나 자주 액세스하는 데이터를 위해 RAM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스왑 공간은 스왑 파티션 또는 스왑 파일의 형태일 수 있다. 스왑 파티션은 저장 장치의 전용 파티션인 반면 스왑 파일은 기존 파일 시스템 내의 파일이다. 둘 다 동일한 목적을 수행한다.


SWAP 장점
  • 메모리 부족 상황
    시스템의 RAM이 부족할 때 스왑 공간은 덜 중요한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여 더 중요한 데이터를 실제 메모리에 남길 수 있다.

  • 최대 절전 모드
    최대 절전 모드에서 시스템은 RAM의 전체 내용을 스왑 공간에 저장한 다음 전원을 끈다. 시스템이 다시 켜지면 스왑 공간의 내용이 RAM으로 복원되고 시스템은 이전 상태를 재개한다.

스왑 공간의 개념

스왑 공간은 Linux 커널 메모리 관리 하위 시스템에서 제어하는 디스크 영역이다. 커널은 메모리에 비활성 페이지를 보관하여 시스템 RAM을 보완하기 위해 스왑 공간을 사용한다. 시스템의 가상 메모리에는 결합된 시스템 RAM과 스왑 공간이 포함된다.

 

시스템의 메모리 사용량이 정의된 한도를 초과할 경우 커널은 RAM에서 프로세스에 할당된 유휴 메모리 페이 지를 검색한다. 커널은 유휴 페이지를 스왑 영역에 쓰고 RAM 페이지를 다른 프로세스에 다시 할당한다. 프로그램에서 디스크의 페이지에 액세스해야 하는 경우 커널은 메모리의 다른 유휴 페이지를 찾아 디스크에 쓴 다음 스왑 영역에서 필요한 페이지를 불러온다.

 

스왑 영역이 디스크에 상주하므로 스왑은 RAM에 비해 속도가 느리다. 스왑 공간은 시스템 RAM을 늘리는 데 사용되지만, 워크로드에 비해 RAM이 부족한 경우 스왑 공간을 지속 가능한 해결책으로 간주해서는 안 되며, 물리적 메모리를 늘리는 것이 좋다.


스왑 공간 계산

관리자는 시스템의 메모리 워크로드에 따라 스왑 공간의 크기를 조정해야 한다. 애플리케이션 벤더가 스왑 공간 계산에 대한 권장 사항을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다음 표에는 실제 메모리 총량에 따른 지침이 나와 있다.

RAM SWAP 공간 최대 절전 모드 시 SWAP 공간
2GB 이하 RAM * 2 RAM * 3
2~8 GB RAM과 동일 RAM * 2
8~64GB 4GB 이상 RAM * 1.5
64GB 이상 4GB 이상 권장되지 않음

랩탑 및 데스크탑 최대 절전 모드 기능은 시스템의 전원을 끄기 전에 스왑 공간을 사용하여 RAM 내용을 저장 한다. 시스템을 다시 켜면 커널이 스왑 공간에서 RAM 내용을 복원하므로 완전한 부팅이 필요하지 않다. 해당 시스템의 경우 스왑 공간이 RAM 크기보다 커야 한다.

 

해당 권장 사항은 말 그대로 권장 사항이므로 이렇게 꼭 맞춰서 할 필요는 없다.


스왑 관련 명령어

스왑 공간 활성화 명령어를 시행하기 전에 다음 단계를 수행해야 한다.

 

• 파일 시스템 유형이 linux-swap인 파티션을 생성한다. (parted, fdisk 등 명령어 사용)

• 장치에서 스왑 시그니처를 저장한다. (mkswap 사용)

 

1. SWAP 활설화

sudo swapon /dev/sda5

 

2.  SWAP 비활성화

sudo swapoff /dev/sda5

 

3. 장치 또는 파일에 스왑 영역을 설정

sudo mkswap /dev/sda5


4. 현재 활성화된 스왑 공간을 표시한다.

swapon --show


5.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물리적 메모리와 스왑 메모리의 총량을 표시

free -h

이 예는 사람이 읽을 수 있는 형식(예: MB, GB)의 메모리 및 스왑 사용량을 보여준다.


6. 지정된 크기로 미리 할당된 스왑 파일 생성

sudo fallocate -l 2G /swapfile

이 예에서는 /swapfile이라는 2GB 스왑 파일을 만든다.

 

7. dd: 이 명령은 지정된 입력 파일을 복사하고 변환하여 스왑 파일을 만들 수도 있다.

sudo dd if=/dev/zero of=/swapfile bs=1M count=2048

이 예는 /dev/zero에서 데이터를 복사하여 /swapfile이라는 이름의 2GB 스왑 파일을 생성한다.


8. 스왑 파일의 권한을 변경

sudo chmod 600 /swapfile

이 예제는 /swapfile의 권한을 루트 사용자만 읽고 쓸 수 있도록 설정한다.


9. 시스템이 스왑 공간을 얼마나 적극적으로 사용하는지 결정하는 swappiness 값과 같은 런타임 시 커널 매개변수 구성

sudo sysctl vm.swappiness=10

이 예에서는 swappiness 값을 10으로 설정한다. 즉, 시스템이 덜 적극적으로 스왑 공간을 사용한다.


스왑 공간으로 작업할 때 원하는 결과를 얻으려면 위 예시에서 설명한 명령어들 중 일부를 조합하여 사용해야 할 수도 있다.

반응형
반응형

디스크란 운영 체제, 응용 프로그램 및 사용자 데이터와 같은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고 검색하는 데 사용되는 저장 장치를 말한다. 디스크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와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의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두 가지 유형의 디스크 모두 컴퓨터 및 기타 디지털 시스템에서 기본 또는 보조 저장 장치 역할을 하여 사용자가 데이터를 저장, 액세스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HDD는 Hard Disk Drive의 약자로 컴퓨터 및 기타 전자 장치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이터 저장 장치 유형이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는 기본이며 일반적으로 컴퓨터에서 가장 중요한 데이터 스토리지 하드웨어 장치다.

 

HDD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표면에 작은 트랙이 새겨진 회전하는 자기 디스크 또는 플래터로 구성된다. 회전 플래터 위에 위치한 읽기/쓰기용 헤드는 자기 표면에서 데이터를 읽고 쓴다.

 

하드 드라이브는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 타이틀 및 대부분의 기타 파일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요청된 정보를 읽거나 쓰기 위해 액추에이터 암이 플래터를 가로질러 이동할 때 플래터가 회전한다.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에 비해 HDD는 기계적 부품 때문에 속도가 느리고 내구성이 떨어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장 용량이 크고 가격이 저렴하기 때문에 인기가 있다. 전반적으로 HDD는 디지털 정보의 저장 및 검색을 허용하는 컴퓨터의 중요한 구성 요소다.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Solid State Drive(SSD)는 NAND 기반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여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저장하기 위해 집적 회로 어셈블리를 사용하는 컴퓨터 스토리지 유형으로 좀 더 발전된 저장 장치다. HDD와 달리 SSD에는 움직이는 부품이 없으므로 읽기 및 쓰기 속도가 더 빠르고 전력 소비가 적으며 내구성이 향상된다.

 

SSD는 컴퓨터 저장소 계층 구조에서 보조 저장소 역할을 하며 반도체 저장 장치, 솔리드 스테이트 장치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라고도 한다. 기존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에 비해 SSD는 더 빠르고 내구성이 뛰어나며 에너지 효율적이므로 게임 및 고성능 컴퓨팅 작업에 이상적이다.

 

SSD는 기존 하드 디스크보다 훨씬 빠른 플래시 기반 메모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SSD에는 움직이는 부품이 없으므로 HDD보다 복원력이 뛰어나다. SSD 비용은 최근 몇 년 동안 급격하게 하락했으며 종종 HDD와 거의 동일한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크는 컴퓨터 시스템의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다. 내부 디스크는 컴퓨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일반적으로 SATA, PCIe 또는 NVMe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마더보드에 연결된다. 외부 디스크는 별도의 인클로저에 보관되며 USB, Thunderbolt 또는 eSATA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터에 연결된다.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는 디스크 드라이브가 컴퓨터나 다른 디지털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프로토콜 또는 연결 표준이다. 인터페이스는 디스크 드라이브와 호스트 시스템(예: 컴퓨터의 마더보드) 간에 데이터 및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수년에 걸쳐 다양한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가 개발되고 데이터 전송 속도, 호환성 및 사용 용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선되었다. 몇 가지 일반적인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는 다음과 같다.

  1.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s) / PATA(Paralle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IDE/PATA는 병렬 연결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오래된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 표준이다. 이 인터페이스는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주로 HDD와 CD 및 DVD 드라이브와 같은 광학 드라이브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었다. PATA는 최대 데이터 전송 속도가 133MB/s이고 40개 또는 80개의 전선이 있는 리본 모양의 넓은 케이블을 사용한다.

  2. SATA(Serial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SATA는 HDD 및 SSD의 기본 연결 표준으로 PATA를 대체한 최신 디스크 드라이브 인터페이스다. SATA는 직렬 연결을 사용하여 더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와 더 얇은 케이블을 허용한다. SATA는 여러 개정판을 거쳤으며 SATA III은 가장 최신 버전으로 최대 6Gb/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한다.

  3.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SCSI는 디스크 드라이브, 테이프 드라이브 및 스캐너를 포함하여 다양한 유형의 주변 장치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다목적 인터페이스다. SCSI는 최대 12Gb/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는 최신 표준인 SAS(Serial Attached SCSI)와 함께 여러 개정판을 거쳤다. SAS는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고성능 HDD 및 SSD를 연결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4. PCIe(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
    PCIe는 그래픽 카드, 네트워크 카드 및 SSD를 비롯한 다양한 유형의 주변 장치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고속 인터페이스다. NVMe(Non-Volatile Memory Express) SSD라고도 하는 PCIe 기반 SSD는 SATA SSD에 비해 훨씬 더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NVMe SSD는 일반적으로 고성능 컴퓨팅, 게임 및 전문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된다.

  5. USB(Universal Serial Bus)
    USB는 HDD, SSD 및 광학 드라이브와 같은 외부 디스크 드라이브를 포함하여 다양한 유형의 주변 장치를 연결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인터페이스다. USB는 최대 20Gb/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는 최신 표준인 USB 3.2로 여러 개정을 거쳤다.

  6. Thunderbolt
    Thunderbolt는 Intel과 Apple이 개발한 고속 인터페이스로, 외부 디스크 드라이브 및 디스플레이를 비롯한 다양한 유형의 주변 장치를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Thunderbolt는 최대 40Gb/s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지원하는 최신 표준인 Thunderbolt 4로 여러 개정을 거쳤다.

  7. NVMe
    NVMe는 Non-Volatile Memory Express의 약자로 NAND 기반 플래시 메모리를 사용하는 SSD(Solid-State Drive)용으로 특별히 설계된 통신 프로토콜 및 인터페이스다. NVMe는 최신 SSD의 낮은 대기 시간과 높은 병렬성을 활용하여 SATA와 같은 구형 스토리지 인터페이스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NVMe는 PCIe(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와 같은 고속 연결을 통해 작동하여 기존 SATA 기반 SSD에 비해 더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반응형
반응형

목차

  1. 디스크 파티셔닝
  2. MBR 파티션 체계
  3. GPT 파티션 테이블
  4. 파티션 관리 명령어 parted

디스크 파티셔닝

디스크 파티셔닝은 디스크 드라이브를 여러 개의 논리 스토리지 파티션으로 나눈다. 파티션을 사용하면 다양 한 요구 사항에 따라 스토리지를 분할할 수 있으며, 이러한 분할은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 애플리케이션 또는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한한다.

• 사용자 파일에서 운영 체제와 프로그램 파일을 구분한다.

• 메모리 스왑을 위해 별도 영역을 생성한다.

• 디스크 공간 사용을 제한하여 진단 도구 및 백업 이미징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MBR 파티션 체계

MBR(Master Boot Record) 파티셔닝 체계는 BIOS 펌웨어를 실행하는 시스템의 표준이다. 이 스키마는 최 대 네 개의 주 파티션을 지원한다. Linux 시스템에서는 확장 및 논리 파티션을 사용하여 최대 15개의 파티 션을 생성할 수 있다. 파티션 크기가 32비트인 경우 MBR로 파티셔닝되는 디스크 크기는 최대 2TiB일 수 있다.

 

2TiB의 디스크 및 파티션 크기는 이제 일반적으로 초과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레거시 MBR 체계가 GPT(GUID Partition Table) 파티셔닝 체계로 대체되었다.


GPT 파티션 테이블

UEFI(Unified Extensible Firmware Interface) 펌웨어를 실행하는 시스템의 경우 GPT는 디스크 파티셔닝의 표준이며 MBR 체계의 제한 사항을 처리한다. GPT는 최대 128개의 파티션을 제공한다. GPT 체계는 논 리 블록 주소에 64비트를 할당하여 최대 8제비바이트(ZiB) 또는 80억 테비바이트(TiB)의 파티션 및 디스크를 지원한다.

 

GPT 파티셔닝은 MBR에 비해 더 많은 기능과 이점을 제공한다. GPT는 GUID(전역 고유 식별자)를 사용하 여 각 디스크와 파티션을 식별한다. GPT는 기본 GPT를 디스크 헤드에, 백업 보조 GPT를 디스크 끝부분에 배치하여 파티션 테이블을 이중화한다. GPT는 체크섬을 사용하여 GPT 헤더와 파티션 테이블에서 오류를 감지한다.


파티션 관리 명령어 parted

parted 명령어는 Linux 시스템에서 디스크 파티션을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강력한 유틸리티다. HDD 및 SSD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저장 장치에서 파티션을 생성, 크기 조정, 삭제 및 조작할 수 있다. MBR(마스터 부트 레코드) 및 GPT(GUID 파티션 테이블)를 포함한 다양한 파티셔닝 체계와 ext2, ext3, ext4, FAT 및 NTFS와 같은 다양한 파일 시스템을 지원한다.

1. 파티션 정보 표시

parted /dev/sda print

/dev/sda를 확인하려는 장치로 바꾸십시오. 이 명령어는 크기, 파티션 테이블 유형 및 파티션 목록을 포함하여 장치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2. 새 파티션 생성

parted /dev/sda

다음으로 mklabel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티션 테이블 유형(아직 설정되지 않은 경우)을 설정한다.

(parted) mklabel gpt

이제 mkpart 명령어를 사용하여 새 파티션을 만든다.

(parted) mkpart primary ext4 0% 50%

이 명령어는 ext4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여 사용 가능한 디스크 공간의 0%에서 시작하여 50%에서 끝나는 새 기본 파티션을 만든다.

3. 파티션 크기 조정

parted /dev/sda

다음으로 resizepart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티션 크기를 조정한다.

(parted) resizepart 1 75%

이 명령어는 사용 가능한 디스크 공간의 75%에서 끝나도록 파티션 번호 1의 크기를 조정한다. 파티션 크기를 조정하면 데이터가 손실될 수 있으므로 이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항상 데이터를 백업하는 것이 좋다

4. 파티션 삭제

parted /dev/sda

그런 다음 rm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티션을 제거한다.

(parted) rm 1
이 명령어는 파티션 번호 1을 삭제한다.

5. parted 종료

(parted) qui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