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에서 패키지를 관리하는 데에는 yum과 dnf이 사용된다. yum은 RHEL 계열 배포판에서 사용되어 왔던 패키지 관리자이며, dnf은 yum을 개선한 다음 세대의 패키지 관리자다. dnf는 Fedora 22부터 기본 패키지 관리자로 채택되었으며, RHEL 8에서는 yum을 대체하고 있다.
yum은 C 언어로 작성되어 있으며, 기존의 yum 보다는 속도와 메모리 사용량, 의존성 해결 능력 등에서 개선되었다. 하지만 yum은 여전히 RHEL 계열에서 지원되고 있다.
반면, dnf는 Python으로 작성되어 있으며, 의존성 문제를 해결하는 libsolv와 hawkey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더욱 빠르고 효율적으로 패키지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API 문서도 공식적으로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yum과 dnf은 모두 리눅스에서 패키지를 관리하는 데 사용되지만, dnf은 yum에 비해 더욱 빠르고 효율적인 패키지 관리가 가능하다. 그러나 RHEL 7까지는 yum이 지원되고 있으므로, 배포판에 따라서 어떤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해야 하는지 확인해야 한다.
YUM (Yellowdog Updater Modified)
Red Hat 계열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전통적인 패키지 관리자다. YUM은 대부분의 Red Hat 계열 배포판에서 제공되며, .rpm 파일 형식으로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관리하는 RPM 패키지 관리자의 프론트엔드 역할을 한다. YUM은 APT와 마찬가지로 소프트웨어 저장소를 통해 동작하며, 저장소는 소프트웨어 패키지의 모음을 담고 있는 특별한 디렉토리다.
YUM 명령어는 Red Hat 엔터프라이즈 리눅스(RHEL)의 공식 소프트웨어 저장소뿐만 아니라 다른 서드파티 저장소에서도 RPM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얻고, 설치, 삭제, 조회 및 기타 관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주요 도구다. YUM을 사용하면 시스템 업데이트, 의존성 분석 및 레파지토리 메타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오래된 패키지 처리 등 시스템 업데이트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YUM은 설치된 시스템의 레파지토리에서 뿐만 아니라 .rpm 패키지에서도 패키지를 관리할 수 있다. YUM은 패키지를 설치, 업데이트, 삭제 및 관리하는데 사용된다. YUM 명령어를 사용하면 의존성 해결을 수행할 수 있다.
yum [옵션] [커맨드] [패키지 이름]
-y : -y 옵션은 설치하려는 패키지와 해당 패키지의 의존성 패키지들을 확인하고, 확인 메시지 없이 자동으로 설치한다.
history : yum의 이전 작업 내역을 조회하고, 이전에 수행한 작업을 취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yumplugin :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패키지를 설치, 업데이트 또는 제거하는 데 사용된다.
-exclude : 패키지를 제외하고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downloadonly : 패키지를 다운로드만 하고 설치하지 않는다.
* 다운로드란 인터넷에서 파일을 다른 컴퓨터로 전송받아 자신의 컴퓨터에 저장하는 것이지만 설치는 다운로드한 파일을 실행하여 해당 파일을 사용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DNF(Dandified YUM)
RHEL, Fedora, CentOS, AlmaLinux, Rocky Linux, Oracle Linux와 같은 RPM 기반의 Linux 배포판에서 사용되는 패키지 매니저다. DNF는 YUM 패키지 매니저의 업그레이드 버전으로, RPM 및 libsolv를 사용하여 패키지 관리를 한다. DNF는 패키지 설치, 업데이트, 삭제와 같은 패키지 관리 작업 뿐만 아니라 모듈, 애플리케이션 스트림 및 프로파일과 같은 기능도 제공한다.
DNF는 기본적으로 플러그인을 제공하며, 플러그인은 dnf의 작업을 확장하거나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플러그인 설정 파일에는 항상 [main] 섹션이 있으며, enabled = 옵션을 사용하여 플러그인이 dnf 명령어를 실행할 때 활성화되는지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dnf [옵션] [커맨드] [패키지 이름]
패키지 동기화
dnf distro-sync : 설치된 모든 패키지를 저장소에서 사용 가능한 최신 안정 버전으로 동기화하는 옵션을 제공한다.
패키지 설치
dnf -y install 패키지이름 : 의존성 있는 다른 패키지까지 모두 설치할 수 있다.
dnf install rpm파일이름 : rpm 파일을 설치할 수 있다.
패키지 업데이트
dnf update 패키지이름 : 업데이트 가능한 패키지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패키지 삭제
dnf remove 패키지이름 : 패키지를 삭제할 수 있다.
패키지 재설치
dnf reinstall 패키지이름 : 이미 설치된 패키지를 다시 설치할 수 있다.
패키지 검색
dnf search 검색어 : 패키지를 검색할 수 있다.
저장소 확인
dnf repolist : 시스템에 설정된 저장소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저장소 추가 및 삭제
dnf config-manager --add-repo 저장소주소 : 저장소를 추가할 수 있다.
dnf config-manager --remove 저장소이름 : 저장소를 삭제할 수 있다.
스토리지(저장 장치)는 모든 컴퓨터 시스템의 필수 구성 요소로, 컴퓨터가 데이터를 유지하고 검색할 수 있게 해준다.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보존하는 데 사용되는 메커니즘을 나타낸다. 저장 장치는 사용자가 문서, 이미지, 비디오 및 원시 데이터를 비롯한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컴퓨터 하드웨어의 필수 구성 요소다.
데이터 저장의 기본 목적은 향후 사용을 위해 데이터를 보존하는 것이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플래시 드라이브 및 광학 드라이브를 포함하여 다양한 유형의 저장 장치가 있다.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는 자기 디스크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저장 장치다. 반대로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는 플래시 메모리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므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보다 빠르고 내구성이 뛰어나다.
스토리지 장치는 기본 스토리지와 보조 스토리지의 두 가지 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 기본 저장소는 휘발성 저장소라고도 하며 컴퓨터가 실행되는 동안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에는 RAM(Random Access Memory) 및 캐시 메모리가 포함된다. 보조 저장소는 비휘발성 저장소로 컴퓨터가 꺼져 있어도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플래시 드라이브 및 광학 드라이브가 포함된다.
DAS
DAS(Data Acquisition System)는 실제 소스에서 데이터를 수집, 저장 및 처리하는 데 사용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다양한 센서 또는 기기에서 데이터를 캡처하고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저장, 분석 및 프레젠테이션을 위해 처리하기 위해 함께 작동하는 일련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다.
시스템과 물리적 전용 케이블으로 직접 연결이 돼 속도가 빠르고 비교적 저렴하며 구성이 쉽다는 특징이 있지만, 케이블 길이나 본체에 제한이 있고, 원거리 설치가 불가능 하다는 단점이 있다.
DAS의 주요 구성 요소에는 센서 또는 트랜스듀서, 신호 조정, ADC(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DSP(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데이터 저장 및 분석을 위한 컴퓨터 또는 제어 센터가 포함된다. 센서 또는 트랜스듀서는 온도, 압력 또는 전압과 같은 물리적 매개변수를 전기 신호로 변환한 다음 ADC에 의해 디지털화되기 전에 품질을 개선하도록 조정된다. DSP 장치는 디지털화된 신호를 처리하고 저장 및 분석을 위해 컴퓨터 또는 제어 센터로 보낸다.
데이터 수집 시스템은 모니터링, 측정 및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공학, 과학 및 의학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장치들은 환경 센서, 산업 장비, 의료 기기 및 과학 장비를 포함한 다양한 소스에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NAS
NAS(Network Attached Storage)는 표준 이더넷 연결을 통해 LAN(Local Area Network) 노드에 파일 기반 공유 스토리지를 제공하는 전용 파일 스토리지 장치다. NAS 시스템은 네트워크의 어느 곳에서나 액세스할 수 있는 중앙 위치에서 여러 장치 및 사용자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도록 설계되었다.
NAS 장치는 장치가 네트워크의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하나 이상의 하드 드라이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운영 체제로 구성된다. NAS 시스템은 유연하고 확장 가능합니다. 즉, 필요에 따라 추가 스토리지를 추가할 수 있으며 여러 사용자가 장치에 저장된 파일에 동시에 액세스할 수 있다.
NAS 장치는 독립 실행형 장치로 설정하거나 더 큰 SAN(Storage Area Network)의 일부로 설정할 수 있다. NAS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SAN 시스템보다 관리하기 쉽고 비용이 적게 들기 때문에 중소기업과 가정 사용자에게 널리 사용된다.
NAS 장치 사용의 중요한 이점 중 하나는 컴퓨터, 스마트폰 및 태블릿을 포함하여 네트워크의 모든 장치에서 파일에 액세스할 수 있다는 것이다. NAS 시스템에는 종종 사용자가 데이터를 자동으로 백업하거나 여러 장치에서 파일을 동기화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내장되어 있다.
하지만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는데, 특히 네트워크에 병목 현상이 발생할 경우 이러한 현상이 더 심해진다.
SAN
SAN(Storage Area Network)은 조직의 운영 체제와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특수 네트워크이며 다양한 스토리지 장치로 SAN의 주요 목적은 서버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블록 수준 스토리지를 제공하여 여러 서버가 동일한 스토리지 장치에 동시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NAS의 장점을 살리고 속도를 올렸으며, 광케이블을 사용하는데 비록 DAS보다는 느릴 수 있지만 NAS보다는 훨씬 빠르다. 하지만 별도의 SAN 스위치가 필요하고 시스템에는 HBA 카드가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 측면에서 엄청난 소요가 필요할 수 있다.
SAN은 일반적으로 파이버 채널 스위치와 스토리지 어레이를 사용하여 스토리지 장치를 서버 또는 네트워크의 다른 장치에 연결한다. SAN은 고가용성과 내결함성을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즉, 하나의 저장 장치에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해당 데이터에 의존하는 응용 프로그램이나 서버를 중단하지 않고 다른 장치에서 데이터에 계속 액세스할 수 있다는 뜻이다.
SAN은 전사적 자원 관리(ERP) 및 고객 관계 관리(CRM) 워크로드와 같은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기 위해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SAN 프로토콜은 FCP(Fibre Channel Protocol)로, SCSI 명령이 내장된 파이버 채널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그러나 일부 SAN 배포에서는 iSCSI 및 FCoE와 같은 다른 프로토콜도 사용된다.
클라이언트 운영 체제에서 SAN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은 로컬 서버에 직접 연결된 것처럼 SAN 저장 장치에 액세스할 수 있다. SAN은 종종 NAS(Network Attached Storage)와 같은 다른 스토리지 기술과 함께 사용되어 조직에 완벽한 스토리지 솔루션을 제공한다.
truncate와 dd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파일 크기를 변경하거나, 디스크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디스크 이미지를 복사하는 등 다양한 디스크 관련 작업을 수행하는 명령어다. 아직은 단순 테스트에만 사용중이지만 실 활용에는 더욱 다양하게 사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아직 배우는 입장이다보니 응용에 있어 어려운 부분이 있다.
truncate
truncate 명령어는 파일의 크기를 조정하는 명령어 중 하나로 truncate 명령어를 사용하면 파일의 크기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
truncate 명령어는 파일의 끝을 삭제하거나, 파일의 크기를 줄이는 데 매우 유용하다. 예를 들어, 로그 파일과 같이 큰 파일의 크기를 줄이거나, 일부 미디어 파일에서 헤더를 제거할 때 유용하다. 또한, truncate 명령어는 파일을 생성하거나 파일의 크기를 늘리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다.
truncate 명령어는 파일의 크기를 조정하는 데 매우 빠르며, 다른 명령어에 비해 시스템 자원을 적게 사용한다. 따라서, truncate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파일의 크기를 조정하는 데 매우 유용한 명령어다.
truncate [옵션] 파일이름
- 옵션
-c, --no-create: 파일이 없을 경우 생성하지 않는다.
-o, --io-blocks: 파일 크기를 블록 수로 지정한다.
-r, --reference: 다른 파일의 크기를 참조하여 파일 크기를 조정한다.
-s, --size: 파일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지정한다.
-w, --help: 명령어 사용 방법을 출력한다.
예시
위와 같이 M, G 등 용량을 나타내는 기호를 같이 사용하면 조금 더 편하게 지정 가능하다.
dd
dd 명령어는 데이터를 다른 위치로 복사하거나 디스크 이미지를 생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다. 이 명령어는 블록 단위로 데이터를 처리하며, 주로 디스크 이미지를 만들거나 디스크를 복사하거나 백업하는 데 사용된다. dd 명령어는 강력한 도구이지만, 실수로 사용자의 데이터를 삭제하거나 파일 시스템을 손상시킬 수도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dd [option]...
- 옵션
if : 입력 파일을 지정합니다.
of : 출력 파일을 지정합니다.
bs : 입력 및 출력 블록 크기를 바이트 단위로 지정합니다.
count : 입력 파일에서 복사할 블록 수를 지정합니다.
seek: 대상 파일에 블록을 쓰기 전 건너뛸 블록 수를 지정합니다.
skip: 입력 파일에서 건너뛸 블록 수를 지정합니다.
status: 명령어 실행 시 진행 상황을 표시합니다.
이중에 if, of, bs, count는 꼭 입력해 줘야한다. 특히 count를 입력하지 않는다면 디스크가 다 차오를 때까지 무한 반복되는 불상사가 발생하니 주의하길 바란다.
동영상 기술 전문 스타트업 요쿠스가 글로벌 클라우드 업체 화웨이 클라우드와 전략적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요쿠스는 플립플랍을 바탕으로 다양한 동영상 기술 및 서비스를 제공하며, 화웨이 클라우드는 기존 서비스를 개선해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요쿠스는 이미 국내 대기업들이 사용하는 라이브 뷰티 커머스 서비스인 '마이뷰팁'을 출시한 바 있으며, 이번 파트너십을 통해 태국을 시작으로 다양한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혁신적인 동영상 기술과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수치 및 이슈
1. 요쿠스가 화웨이 클라우드와 전략적 파트너십 계약(MOU)을 체결
2. AI 동영상 처리에 필요한 핵심 소프트웨어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하는 SaaS형 동영상 소프트웨어인 플립플랍을 제공
본문
SaaS형 동영상 솔루션 플립플랍을 운영하는 요쿠스가 글로벌 클라우드 업체 화웨이 클라우드와 전략적 파트너십 계약(MOU)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MOU 체결로 요쿠스는 화웨이 클라우드가 기존에 제공하던 서비스를 개선해 고객에게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게 됐다. 동영상 기술 전문 스타트업 요쿠스는 라이브 커머스를 비롯해 방송 영상, AI 동영상 처리에 필요한 핵심 소프트웨어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하는 SaaS형 동영상 소프트웨어인 플립플랍을 제공하고 있다. 플립플랍을 바탕으로 구현된 라이브 뷰티 커머스 서비스 ‘마이뷰팁’을 2018년에 출시하기도 했다. 해당 서비스는 국내 다양한 대기업들이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플립플랍은 다양한 포맷의 동영상을 모든 모바일 기기에서 재생 가능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는 동영상 변환 기술을 바탕으로 △화질 저하 없이 용량을 최소화하는 획기적인 동영상 압축 기술 △WebRTC, HLS, RTMP를 통한 최고급 화질의 다양한 라이브 동영상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최창훈 요쿠스 대표는 "태국에 마이뷰팁 서비스 론칭 등 해외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는 시점에 화웨이 클라우드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게 됐다”며 “태국 이용자들에게 더욱 편리하고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시작으로 싱가포르, 베트남 등 다양한 동남아시아 국가에서도 혁신적인 동영상 기술 및 서비스를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애저 오픈AI 서비스에 챗GPT 기술을 추가했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애저 클라우드 고객은 최신 AI 모델과 대규모 언어 모델에 이어 챗GPT 기술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활용해 봇 개선, 콜센터 대화 요약, 자동 클레임 처리 등 다양한 상황에서 AI 기반 경험을 커스터마이징하고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다. 애저 오픈AI 서비스는 고객 및 개발자의 별도 신청을 통해 접근이 가능하며, 악용 방지를 위해 특별히 설계된 콘텐츠 필터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책임 있는 AI 실현과 AI 오용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수치및이슈
1.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고객은 GPT-3.5, 코덱스(Codex), 달리 2(DALL·E 2) 등 최신 AI 모델과 애저 슈퍼컴퓨팅 기반 대규모언어모델에 이어 챗GPT 기술도 보안, 컴플라이언스, 책임 있는 AI 등 애저가 제공하는 엔터프라이즈급 기능과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2. 고객은 지금 즉시 챗GPT 기술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격은 1000 토큰당 0.002 달러로 모든 챗GPT 사용에 대한 비용 청구는 13일부터 시작
본문
마이크로소프트는 애저 오픈AI 서비스(Azure OpenAI Service)에 챗GPT(ChatGPT) 프리뷰를 추가했다고 10일 밝혔다.
애저 오픈AI 서비스는 오픈AI의 최신 인공지능(AI) 시스템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로, 지난 1월 공식 출시됐다.
이번 발표로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고객은 GPT-3.5, 코덱스(Codex), 달리 2(DALL·E 2) 등 최신 AI 모델과 애저 슈퍼컴퓨팅 기반 대규모언어모델에 이어 챗GPT 기술도 보안, 컴플라이언스, 책임 있는 AI 등 애저가 제공하는 엔터프라이즈급 기능과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앞으로 개발자들은 애저상의 챗GPT를 활용, AI 기반 경험을 손쉽게 커스터마이징하고 이를 애플리케이션(앱)에 적용할 수 있다. 이는 기존 봇 개선, 콜센터 대화 요약, 개인 맞춤형 제안을 담은 신규 광고 카피 생성, 자동 클레임 처리 등 다양한 상황에서 가능하다.
마이크로소프트 클라우드 고객은 지금 즉시 챗GPT 기술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격은 1000 토큰당 0.002 달러로 모든 챗GPT 사용에 대한 비용 청구는 13일부터 시작된다.
애저 오픈AI 서비스에 대한 접근 권한 부여는 고객 및 개발자의 별도 신청을 요하며, 개발자는 사용 목적 또는 사용 앱에 대해 설명해야 한다. 욕설, 증오 및 불쾌감을 주는 유해 콘텐츠 포착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콘텐츠 필터는 서비스에 입력된 내용과 생성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정책 위반이 확인된 경우 마이크로소프트는 추가 악용 방지를 위해 개발자에게 즉각적인 조치를 취하도록 요청한다.
현재 마이크로소프트는 △앱 보호 △기술 보호 △프로세스 및 정책 보호 △설계지침, 투명성 노트 등 문서화로 이뤄진 4단계 조치를 통해 책임 있는 AI 실현과 AI 오용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클라우드 제공업체는 에너지 산업의 디지털 혁신을 지원하기 위해 산업별 클라우드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클라우드 기술의 통합은 발전소와 그리드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데 매우 중요하며, 특히 신재생에너지 도입과 수요 기반 전력 공급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Duke Energy는 Amazon Web Services(AWS)와 협력하여 미래 수요를 예측하고 데이터 분석을 통해 에너지 효율성을 개선하는 스마트 그리드 솔루션을 개발했습니다. Microsoft는 Azure 클라우드를 사용하여 풍력 발전소의 디지털 트윈을 생성하여 원격 모니터링 및 예측 유지 관리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네이버 클라우드, 베스핀글로벌, 메가존클라우드 등 국내 국내 클라우드 사업자들도 에너지 기업들과 협력해 에너지 수요와 소비를 최적화하는 에너지관리시스템(EMS) 개발에 나서고 있다. 클라우드 기술의 사용은 탄소 중립 에너지 산업을 달성하는 데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됩니다.
수치및이슈
1. 첫 번째는 에너지 전환, 두 번째는 디지털 전환
2. 듀크에너지는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손잡고 지능형 전력망(스마트그리드) 솔루션을 개발
3. 네이버클라우드는 한국전력 자회사인 한전KDN에 클라우드 기반 기술을 지원
본문
[아이뉴스24 김혜경 기자] 올해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에서 '텔코(통신사) 클라우드' 플랫폼이 화두가 된 가운데 국내외 클라우드 사업자들은 산업별 맞춤형 클라우드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탄소중립이라는 인류 공동의 목표가 부각되면서 디지털 전환 핵심인 클라우드는 에너지산업 혁신도 견인하고 있다.
올해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에서 '텔코(통신사) 클라우드' 플랫폼이 화두가 된 가운데 국내외 클라우드 사업자들은 산업별 맞춤형 클라우드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사진=픽사베이]
◆ 美 빅테크-에너지 공룡 '동맹'…스마트그리드·디지털 트윈 구현
에너지산업 화두는 두 가지로 축약된다. 첫 번째는 에너지 전환, 두 번째는 디지털 전환이다. 후자의 경우 클라우드와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기반 기술과의 융합으로 어떻게 발전소와 전력망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것인지가 관건이다.
재생에너지가 전력망에 도입되면서 변동성이 커지고,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기존 온프레미스(기업 내부에 구축된 인프라) 환경에서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중앙집중형에서 분산형으로 에너지 구조가 변화하면서 시스템이 복잡해지고, 수요 예측에 기반한 전력공급이 요구된다.
미국 최대 전력망 운영 사업자인 듀크에너지는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손잡고 지능형 전력망(스마트그리드) 솔루션을 개발했다. 전력 수요와 에너지 효율, 재생에너지 소비 등을 분석한 후 빅데이터를 이용해 미래 수요처를 예측하고 전력망 개선을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기존 전력망은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원을 수요처로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방식, 즉 에너지 전달 수단에 불과했다면 지능형 전력망은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하는 형태다. 전력시스템 복잡성을 해결하고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선 클라우드 등 IT 기술 적용이 필수다.
AWS 측은 "전체 전력망에서 잠재적 최대 수요(피크) 시나리오를 충족하기 위해 모든 전선과 변압기 등을 즉시 교체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데이터 기반 운영이 필요하다"며 "스마트그리드 솔루션은 전력 수요를 예측해 배전 회로를 업그레이드하는 가장 비용 효율적인 방법을 찾거나 보호 장비 추가 위치를 결정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고 전했다.
효율적인 인프라 투자를 위해선 전체 전력망을 대상으로 수억건에 달하는 시뮬레이션을 정기적으로 실행해야 한다. AWS는 "듀크에너지의 기존 IT 환경에서는 7천만건의 시뮬레이션을 실행하려면 최대 6주의 컴퓨팅 시간이 필요했다"며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함으로써 동일한 시뮬레이션을 15분 내에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클라우드를 활용해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고, 탄력적인 전력망 구축이 목표다.
마이크로소프트(MS)는 자사 클라우드인 애저를 활용해 두산에너빌리티의 풍력발전소를 '디지털 트윈'으로 구현했다. 발전소를 원격으로 운영하는 경우 기상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에너지 생산량, 유지 보수 요건 등의 예측이 가능해야 한다. 문제는 이같은 예측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가 방대해 취합‧관리가 어렵다는 것. 발전소를 가상화하면 운영에 필요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통합할 수 있다.
MS 관계자는 "두산에너빌리티는 애저를 기반으로 성능감시가 가능한 '퍼포먼스 와치독'과 전력예측 솔루션인 '파워 프리딕션'을 구현해 에너지 발전량을 예측하고 운영 계획을 개선했다"며 "발전소의 실제 생산량을 예상치와 비교하면서 생산량을 극대화하고 필요한 유지 보수 일정을 쉽게 수립할 수 있다"고 말했다.
◆ 국내 CSP‧MSP도 에너지 기업과 '맞손'
네이버클라우드는 한국전력 자회사인 한전KDN에 클라우드 기반 기술을 지원한다. 한전KDN은 새로운 공공 서비스 개발을 위해 전력 분야 클라우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양사는 에너지 클라우드컴퓨팅 수준을 끌어올려 현 정부가 추진 중인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을 앞당긴다는 목표다.
국내 클라우드 관리서비스 제공사(MSP)인 베스핀글로벌은 중동지역 한 국영 정유사의 클라우드 전환을 도왔다. 베스핀글로벌 관계자는 "본사와 350개의 현지 주유소 간 하이브리드 네트워크 연결을 비롯해 해외 사업 확장을 위한 IT 서비스를 제공했다"며 "주유소 관리 시스템 등 핵심 업무 지원을 위한 호스팅과 업무용 툴도 지원했다"고 말했다.
메가존클라우드도 한국그린데이터와 클라우드 기반 에너지관리시스템(EMS)을 활용, 에너지 사업 부문의 협력을 가속화한다. EMS는 건물과 공장, 가정, 사회 인프라를 대상으로 에너지 수요를 조절하고 최적화를 가능하게 하는 관리 솔루션이다. 양사는 국내 에너지 관리 기술을 고도화한다는 계획이다. 메가존 관계자는 "향후 국내 고객사가 에너지 클라우드 사업 기반으로 해외 진출이 가능하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정부의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는 2020년 10월 시행 이후 누적 계약금액 3,300억원을 돌파했다. 정부는 2025년까지 모든 공공정보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한다는 목표로 현재 클라우드 우선" 정책. 이를 통해 공공기관은 클라우드 보안인증을 획득한 민간기업의 디지털 서비스를 빠르게 도입할 수 있다. 2023년 3월 11일 기준 총 654건, 누적금액 3조 3,610억 원입니다. 클라우드 인프라 및 관련 지원 서비스는 가장 많은 계약 건수를 기록했으며,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채택은 계약 금액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계약 건수를 기록했습니다. 디지털 서비스 지원 시스템은 시스템을 통해 도입할 수 있는 디지털 서비스 목록과 공공 부문의 계약 및 도입 전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디지털 서비스 중 클라우드 IaaS 유형이 계약금액의 62.6%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클라우드 지원서비스가 33.7%, 클라우드 SaaS가 2.6%로 그 뒤를 이었다.
수치및이슈
1. 국가·공공기관과 지방자치단체가 민간 클라우드를 도입한 누적 계약금액 규모가 3300억원을 돌파
2. 'IaaS' 유형이 66.3%(205건)를 차지해 가장 많고 'SaaS' 유형 비중이 그 다음으로 많은 14.9%(46건)다. 'PaaS' 유형은 0.7%(2건)다. 지원서비스 가운데 ‘클라우드 지원서비스’ 유형이 14.2%(44건), ‘컨설팅’ 유형이 1.3%(4건), ‘운영관리’는 0.7%(2건), ‘마이그레이션’은 0.3%(1건)다. 마지막으로 '융합서비스' 유형이 1.6%(5건)
3. 중앙정부부처 가운데 제도 시행 주무기관인 과기정통부가 디지털서비스 계약금액 1877억원으로 기관별 규모 선두를 달리고 교육부가 1196억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32억원, 중소벤처기업부가 31억원, 고용노동부가 23억원, 산업통상자원부가 21억원, 국방부가 17억원, 국토교통부가 11억원 가량을 썼다. 지자체 계약금액 합산 규모가 75억원, ‘기타(7위원회, 2원, 4실, 대통령경호처 등)’가 43억원
본문
정부의 ‘디지털 서비스 전문계약제도’를 통해 국가·공공기관과 지방자치단체가 민간 클라우드를 도입한 누적 계약금액 규모가 3300억원을 돌파했다. 지난 2020년 10월 이 제도 시행 이후 대략 2년 반 만이다. 정부는 오는 2025년까지 모든 공공 정보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하면서 민간 클라우드를 우선 도입하는 ‘민간 클라우드 퍼스트’ 정책을 추진 중이다. 디지털 서비스 전문계약제도로 민간 클라우드 확산이 앞당겨질지 주목된다.
1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이 운영하는 ‘디지털 서비스 이용지원시스템’에 따르면 디지털 서비스 전문계약제도로 체결된 서비스 누적 계약금액은 3361억원, 누적 계약건수는 654건이다. 가상 서버를 비롯한 클라우드 인프라 자원을 활용하는 사례가 계약금액과 건수 모두 최대 비중을 차지한 가운데, 클라우드 기반 소프트웨어 도입 사례가 계약금액 규모 대비 많은 계약건수를 기록했다.
디지털 서비스 전문계약제도는 공공 부문이 클라우드 보안인증(CSAP)을 획득한 민간 기업의 공공기관용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인프라(IaaS)와 소프트웨어(SaaS), 관련 지원 서비스 등 ‘디지털 서비스’를 빠르게 도입할 수 있도록 마련됐다. 기존 조달 절차인 경쟁입찰 대신 수의계약이나 카탈로그 계약 등 간소화한 절차로 앞서 선별된 민간 기업의 공공기관용 클라우드와 AI 서비스, 빅데이터 처리 기술을 쓸 수 있다.
전문계약제도를 통해 도입 가능한 디지털 서비스 목록과 실제 공공부문에서 전반적인 계약·도입 사례와 현황 정보를 제공하는 곳이 디지털 서비스 이용지원시스템이다. 전문계약제도를 시행하고 2년여가 지난 2022년 10월 중순께 누적 계약금액이 2043억원, 누적 계약건수가 527건을 기록했다. 이후 약 5개월 사이에 추가로 체결된 계약이 127건, 이로써 추가로 발생한 계약금액 규모가 1318억원에 달하는 셈이다.
전문계약제도 심사를 거쳐 이용지원시스템에 등재된 디지털 서비스는 총 309종이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가운데 'IaaS' 유형이 66.3%(205건)를 차지해 가장 많고 'SaaS' 유형 비중이 그 다음으로 많은 14.9%(46건)다. 'PaaS' 유형은 0.7%(2건)다. 지원서비스 가운데 ‘클라우드 지원서비스’ 유형이 14.2%(44건), ‘컨설팅’ 유형이 1.3%(4건), ‘운영관리’는 0.7%(2건), ‘마이그레이션’은 0.3%(1건)다. 마지막으로 '융합서비스' 유형이 1.6%(5건)다.
그간 공급된 디지털 서비스 유형 가운데 클라우드 IaaS가 전체 계약금액 62.6%(약 2104억원)를 차지했고 계약건수는 326건이었다. 클라우드 지원서비스가 전체 계약금액 33.7%(약 1133억원) 비중을 나타냈는데 계약건수는 21건으로 단일 계약당 금액 평균치가 높았다. 클라우드 SaaS가 전체 계약금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6%(약 88억원)에 불과했는데 계약건수는 278건에 달해 단일 계약당 금액 평균치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AI·빅데이터 처리 기술을 결합한 융합서비스 유형의 계약금액이 약 33억원으로 전체 1.0% 수준이었다. 클라우드 IaaS, SaaS, 융합서비스 등 기관에서 필요로 하는 디지털 서비스 유형을 판단하고 도입 관련 세부 계획을 세우기 위한 전문가 컨설팅 서비스 유형의 계약금액은 약 3억원, 기존 정보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이전하는 마이그레이션 유형의 계약금액은 약 1억원이었다. PaaS 유형과 운영관리 서비스를 이용한 사례는 없었다.
중앙정부부처 가운데 제도 시행 주무기관인 과기정통부가 디지털서비스 계약금액 1877억원으로 기관별 규모 선두를 달리고 교육부가 1196억원으로 그 뒤를 이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32억원, 중소벤처기업부가 31억원, 고용노동부가 23억원, 산업통상자원부가 21억원, 국방부가 17억원, 국토교통부가 11억원 가량을 썼다. 지자체 계약금액 합산 규모가 75억원, ‘기타(7위원회, 2원, 4실, 대통령경호처 등)’가 43억원이다.
과기정통부는 지난 7일 이용지원시스템 공지사항을 통해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의 민간 클라우드 이용 노력 의무 대상이 확대됐다고 밝혔다. 작년 개정돼 올해 1월 12일 시행된 클라우드컴퓨팅법 제20조 1항에 따라 기존 공공기관뿐 아니라 국가기관·지자체가 업무에 클라우드를 쓰도록 노력해야 하고 2항에 따라 이들이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나 기관 자체 클라우드보다 CSAP를 획득한 민간 서비스 이용을 우선해야 한다고 했다.
위즈, 컨테이너 보안·코드형 인프라 스캐닝 등 지원 총 9억 달러 투자금 확보…인력·글로벌 사업 확대
요약
미국 클라우드 보안 전문 스타트업 위즈(Wiz)가 라이트스피드 벤처 파트너스와 그린오크스 캐피털 파트너스가 공동 주도한 시리즈D 펀딩 라운드를 통해 3억 달러를 조달했다. 이번 투자 자금으로 글로벌 사업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다. 위즈는 클라우드 보안 플랫폼 개발 업체로, 보안 태세 관리, 컨테이너 보안, 코드형 인프라(IaC) 스캐닝,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보호, 취약성 관리, 탐지 및 대응, 권한 관리, 규정 준수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이번 투자를 계기로 인력을 확대하고 유럽,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 태평양 지역으로 사업을 확장할 계획이다. 위즈의 기업 가치는 100억 달러로 평가되었다.
수치및이슈
1. 위즈는 11일 라이트스피드 벤처 파트너스와 그린오크스 캐피털 파트너스가 공동 주도한 시리즈D 펀딩 라운드를 통해 3억 달러(약 3964억 원)를 조달, 이로써 위즈는 총 9억 달러(약 1조 원)의 투자 자금을 확보
2. 위즈는 해커가 자산을 제어하고 민감한 고객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위험 요소가 있는지 파악
3. 위즈에 따르면 포춘 100대 기업 중 3분의1 이상이 자사 플랫폼을 도입해 사용 중
본문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 클라우드 보안 전문 스타트업 위즈(Wiz)가 신규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위즈는 이번 투자 자금을 활용해 글로벌 사업 범위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위즈는 11일 라이트스피드 벤처 파트너스와 그린오크스 캐피털 파트너스가 공동 주도한 시리즈D 펀딩 라운드를 통해 3억 달러(약 3964억 원)를 조달했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 라운드에는 스타벅스 최고경영자(CEO)인 하워드 슐츠와 LVMH그룹 회장인 베르나르 아르노가 엔젤 투자자로 참여했다. 위즈의 기업 가치는 100억 달러(약 13조 원)로 평가 받았다.
이로써 위즈는 총 9억 달러(약 1조 원)의 투자 자금을 확보하게 됐다.
위즈는 클라우드 보안 플랫폼 개발 업체로 △보안 태세 관리 △컨테이너 보안 △코드형 인프라(IaC) 스캐닝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보호 △취약성 관리 △탐지 및 대응 △권한 관리 △규정 준수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위즈는 다른 클라우드 보안 플랫폼과 마찬가지로 해커가 자산을 제어하고 민감한 고객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위험 요소가 있는지 파악한다. 이 과정에서 AWS, 애저, 구글 클라우드 등과 같은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호스팅되는 인프라를 분석한다.
위즈는 지난 2020년 3월 설립됐으며 현재 직원 수는 수백 명에 이른다. 위즈에 따르면 포춘 100대 기업 중 3분의1 이상이 자사 플랫폼을 도입해 사용 중이다.
위즈는 이번 투자 유치를 계기로 인력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유럽과 중동, 아프리카, 아시아 태평양 지역으로 사업을 확장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라파포트 위즈 최고경영자는 “기업들은 위즈를 통해 보안을 개선하고 가시성을 높이며 민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클라우드 환경의 성숙도를 한 단계 끌어 올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체크 포인트 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전세계 사이버 공격은 전년보다 38% 증가했다. 또한 기업 이사회 10곳 중 9곳은 사이버 보안을 단순한 기술이나 IT 문제가 아닌 비즈니스 위험으로 간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솔루션 가이드] IBM 차세대 테이프 스토리지 기술 물리적 에어갭으로 보안 강화하고 탄력성·에너지 효율성 높여
요약
전 세계 테이프 스토리지 시장은 증가세를 보이며, 이는 사이버 범죄와 비정형 데이터의 증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글로벌 기업의 테이프 스토리지 사용 증가 및 ESG 관리 이니셔티브 때문이다. 테이프 스토리지는 백업 및 아카이빙 뿐 아니라 구조화되지 않은 데이터의 보안 및 관리에 사용되며, LTO-9는 고성능과 용량을 제공하면서도 일반 스토리지에도 적용 가능해 백업 시장을 넘어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기업들은 스토리지 용량을 늘리는 동시에 비용을 최소화하려 하므로 디스크 기반 또는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테이프 스토리지는 안정성으로 인해 장기 데이터 저장 및 보호를 위한 인기 있는 선택으로 유지되어 가동 중지 시간 및 하드웨어 유지 관리 비용이 감소하고 생산성이 향상됩니다. 테이프 스토리지는 비용 효율성과 관리 용이성으로 인해 금융, 미디어,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 스토리지, OTT, CCTV 등 다양한 분야에서 채택되고 있으며, 향후 대규모 비정형 데이터 아카이브 장치를 비롯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활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수치및이슈
1. 전세계 테이프 스토리지 시장 규모는 2021년 41억 1000만 달러에서 2022년에 45억 1000만 달러로 연간 9.6%의 성장에 예측되며, 2026년까지 연평균 8.8%의 성장율을 기록하면서 63억 200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
2. LTO(Linear Tape-Open)는 테이프 스토리지를 위한 데이터 표준 포맷으로 지난 2000년 LTO 컨소시엄 발족 후 세대마다 용량과 성능을 2배씩 개선
본문
GII(Global Information) 시장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 테이프 스토리지 시장 규모는 2021년 41억 1000만 달러에서 2022년에 45억 1000만 달러로 연간 9.6%의 성장에 예측되며, 2026년까지 연평균 8.8%의 성장율을 기록하면서 63억 200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는 전 세계 대기업에 의한 테이프 스토리지의 도입 확대가 향후 시장의 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렇게 LTO(Linear Tape Open) 시장이 확대되는 것은 비정형 데이터의 폭발적인 증가와 랜섬웨어등 사이버 범죄에 대한 보호 때문이라고 분석된다. 또한 기업들의 ESG 경영 추진으로 인한 전기 소비와 탄소 배출 저감을 위한 방법으로 테이프 스토리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클라우드 데이터의 장기 보관 등 새로운 영역으로 확장 지금까지 테이프 스토리지의 주요 시장은 백업과 아카이빙이었지만, 이제는 보안과 급증하는 비정형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관리 등으로 용도가 확장되고 있다. 특히 LTO-9는 높은 성능과 대용량을 제공하면서도 범용 스토리지에 적용할 수 있어, 테이프 스토리지 주요 적용 영역이었던 백업 시장이 중복제거나 VTL(Virtual Tape Library)로 인해 줄어들었음에도 클라우드 데이터의 장기보관과 CCTV 영상감시 시장을 중심으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LTO(Linear Tape-Open)는 테이프 스토리지를 위한 데이터 표준 포맷으로 지난 2000년 LTO 컨소시엄 발족 후 세대마다 용량과 성능을 2배씩 개선해왔다.
ESG(Enterprise Strategy Group)가 진행한 ‘LTO 경제성 검증’ 조사 결과를 보면 데이터 보관에 대한 요구사항이 계속 증가함에 따라, 기업들은 전체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보관 용량은 늘리고 싶어 하고 있다. 장기간 저장이나 데이터 보호를 위해 디스크 기반 스토리지나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대한 기업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여전히 응답자의 절반이 장기간 데이터 저장을 위해‘테이프’를 계속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IBM은 이런 하아퍼스케일러 고객의 요구에 맞춰, 다이아몬드백(Diamondback)이라는 대규모 콜드 스토리지를 위한 차세대 테이프 라이브러리를 출시했다. 이 장비는 일반 랙(Rack)과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으며, 1개의 랙에 1548개의 LTO를 장착할 수 있다. 이는 약 27PB의 용량을 단일 랙 사이즈에서 낮은 TCO를 사용해서 보호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IBM은 LTO 컨소시엄(HPE, IBM, 퀀텀으로 구성)중 단독으로 드라이브를 제조함으로 타사 대비 LTO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장점도 있다.
LTO 솔루션은 일반적인 디스크 솔루션에 비해 86% 낮은 TCO를 구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ESG의 연구에 따르면 LTO 기술의 안정성으로 인해 다운타임과 하드웨어 유지보수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으면서도 생산성은 향상되기 때문에 10년간 40만 6000달러의 추가적인 비용 절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클라우드 기반 스토리지에서의 데이터 검색 시 소요되는 높은 클라우드 이그레스(Cloud egress) 비용으로 인해 LTO 솔루션의 TCO는 10년의 모델링 기간 동안 모든 클라우드 TCO의 34%에 불과한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높은 비용효율성과 관리 편의성 이런 높은 비용효율성과 관리 편의성으로 인해 현재 금융, 미디어, 대용량 비정형데이터 저장이나OTT, CCTV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테이프 스토리지의 도입이 이뤄지고 있다. 예를 들면 대부분의 금융기관은 장기 보관 데이터를 테이프로 소산하고 있으며, 방송 등 미디어 시장에서는 영상 편집이나 송출이 완료된 영상의 아카이빙을 위해 테이프 스토리지를 활용하고 있다.
또한 데이터센터 등에서는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테이프 스토리지를 활용하고 있으며, OTT나 CCTV 등의 영상 분야에서는 LTFS(Linear Tape File System)를 이용해 영상을 저장, 관리하고 있다.
이런 테이프 스토리지는 운영비용 절감은 물론 보안성 향상, 그리고 비정형 데이터의 아카이브 구성 등과 같은 장점을 앞세워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으며, 최근에는 오프라인 보관이라는 특징을 물리적인 에어갭으로 활용함으로써 랜섬웨어 등 보안 측면에서의 활용도 늘고 있는 추세다.
아직도 테이프 스토리지는 데이터 소산이나 비정형 데이터의 백업 용도 등 과거의 방식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향후 테이프 스토리지는 잘 사용하지 않는 콜드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 보호를 위한 대용량 비정형 데이터 아카이브 장치 등 점점 더 다양한 용도로의 활용이 기대되고 있다.
사용자가 어느 그룹에 속해 있는지(GID) 혹은 사용자의 아이디(UID)는 무엇인지 확인하는 방법은 아래 페이지에 정리해 놓았다. 오늘은 파일나 디렉토리의 권한을 수정해 볼 것이고, 이 다음에는 특정 사용자나 그룹을 지정해 권한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해볼 생각이다.
chmod
chmod는 리눅스에서 파일과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다. chmod 명령어를 사용하면 소유자, 그룹, 기타 사용자의 읽기, 쓰기 및 실행 권한을 수정할 수 있다.
chmod 명령어 chmod (옵션) (모드) (이름)
옵션은 다음과 같다. -c, --changes: 권한이 변경된 파일만 출력한다 .-f, --silent, --quiet: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지 않고 진행한다 .-R, --recursive: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의 권한도 함께 변경한다.
이 때 모드는 숫자 또는 문자열을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권한 모드를 나타내는 문자열은 r (읽기), w (쓰기), x (실행)로 표시되며, 각 권한에 대해 - (권한 없음)으로 나타낼 수 있다. 권한 모드를 나타내는 숫자는 8진수 숫자 3자리로 나타내며, 각 자리는 소유자, 그룹, 기타 사용자의 권한을 각각 나타낸다.
모드 a : 모두 u : user(소유자) g : group(그룹) o : others(기타 사용자)
예시
이 a 디렉토리와 a.txt 파일에 대해 실습을 진행해 보겠다.
chmod (권한을 변경할 대상) (파일이나 디렉토리 이름)으로 지정을 한다. 이 때 대상과 권한을 지정할 때 w(읽기), r(쓰기), x(열기)를 지정해주어야 하며 - 기호는 권한을 제거, + 기호는 권한을 추가한다. 대상도 한번에 지정이 가능하고, 부여하거나 제거할 권한도 한번에 지정할 수 있다.
주로 이 방법을 더 많이 사용하는데 숫자로 지정하는 것이다. 숫자는 3자리로 구성되고 각각 u, g, o의 권한을 뜻한다. 각 권한을 숫자로 환산하면 다음과 같다.
w : 4
r : 2
x : 1
이 숫자를 권한을 주고 싶은 만큼 더해서 주면 된다. 읽기와 열기 권한을 주고 싶다면 5, 주지 않을 것이라면 0과 같은 조합이 가능하다. 숫자에 조금만 익숙해지면 직관적이고 빠른 타이핑이 가능해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생각된다.